성서지리
고대 이집트 (Ancient Egypt)
고대 이집트 문명은 나일 강 하류에서 번성한 문명이었으며, 최전성기인 기원전 15세기에는 나일 강 삼각주에서 제벨 바르카까지 세력을 뻗쳤으며 이 시기에는 에티오피아와도 교류하기까지 했다. 기원전 3200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3천 년 동안 존재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점령으로 그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집트는 원조 수로 제국으로서 관개 산업에 의존하였던 문명이다.
○ 고대 이집트(Ancient Egypt) 왕조들
.선왕조 시대
.원왕조 시대
.초기왕조 시대: 제1왕조, 제2왕조
.고왕국 시대(피라미드시대): 제3왕조, 제4왕조, 제5왕조, 제6왕조
.제1중간기(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제7, 8왕조, 제9왕조, 제10왕조, 제11왕조 (통일 전)
.중왕국 시대: 제11왕조 (통일 후) 제12왕조
.제2중간기(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제13왕조, 제14왕조, 제15왕조, 제16왕조, 제17왕조
.신왕국 시대(일명 ‘이집트 제국’): 제18왕조, 제19왕조, 제20왕조
.제3중간기(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제21왕조, 제22왕조, 제23왕조, 제24왕조, 제25왕조
.말기왕조 시대: 제26왕조, 제27왕조(아케메네스 왕조의 1차 점령기), 제28왕조, 제29왕조, 제30왕조, 제31왕조(아케메네스 왕조의 2차 점령기)
.헬레니즘 제국의 점령기: 아르게아스 왕조(알렉산드로스 3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지리
이집트 영토의 대부분은 북아프리카에 위치해 있으나 시나이 반도는 서남아시아에 있다. 이 나라는 지중해와 홍해에 해안선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리비아와, 남쪽으로는 수단, 그리고 동쪽으로는 가자 지방과 이스라엘을 마주보고 있다. 고대 이집트 문명은 흔히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로 나뉜다. 나일 강은 남쪽에서부터 지중해를 향해 북쪽을 향해 흐른다. 이집트의 인구는 대부분 나일 강을 둘러싸고 집중되어 있다. 이 강은 석기 시대와 나카다 문화 시대로부터 근근히 이어져온 이집트 문화의 동맥이다. 때문에, 헤로도토스는 이집트를 “나일 강의 선물”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 기후와 자연환경
나일 계곡은 에티오피아(Ethiopia)의 고원에서부터 그 물줄기가 갈라져 내려온다.
나일 계곡 외곽의 사막 지대는 지중해에서 남쪽으로 수단 중북부의 앗바라까지 펼쳐져 있는데, 대부분은 비가 거의 내리지 않으며, 간간이 생기는 오아시스 주변을 빼고는 식물이 전혀 자라지 않는다.
○ 왕조의 성립과 사회 구조
.고대 이집트 제1왕조 : 기원전 31세기 초에 나르메르(Narmer)라는 왕(마네토가 기록한 메네스와 동일인물일 수도 있음)이 당시 남북으로 나뉘어 있던 고대 이집트 왕국을 통합하여 역사상 최초로 거대한 통일왕국을 건설했다. 수도는 멤피스(현재의 카이로 부근)였다. 그는 최초의 보편 종교라 할 수 있는 황소 신앙을 왕국 전역에 전파시켰다.
.고대 이집트 제2왕조 : 이집트 제2왕조는 이집트 초기왕조의 하나로, 기원전 2890년경부터 기원전 2686년까지 존속하였다. 제2왕조의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으며, 고고학적 흔적도 적다. 제2왕조의 1대 파라오인 헤텝세켐위는 순장 풍습을 폐지했으며, 4대 파라오인 세트-페리브센은 기존의 호루스 이름을 버리고 세트 이름을 사용하였다. 다음 파라오인 카세켐위는 하이집트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고 자신의 이름도 호루스와 세트를 모두 상징할 수 있는 이름으로 바꿨다. 마네토의 연대기에는 9명의 파라오의 이름이 적혀 있지만, 고고학적으로 인정된 파라오는 다섯 명이다.
.고대 이집트 제3왕조 : 이집트 제3왕조는 이집트 고왕국 시기를 연 왕조로, 기원전 2686년부터 기원전 2613년까지 존속하였다. 제3왕조의 첫 파라오인 사나크테는 제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카세켐위의 사위로, 시나이 반도의 광산을 개척하였다. 그 뒤를 이은 조세르는 화려한 계단형 피라미드를 지었는데, 이것은 세계 최초의 완전한 형태의 석조 건축물이다. 조세르의 뒤를 이은 두 파라오도 계단형 피라미드를 추구하였으나 짧은 치세때문에 완성되지 못하였다. 마지막 파라오인 후니의 피라미드는 최초의 제4왕조 식 전형적인 스타일의 정방형 피라미드이다. 제3왕조의 파라오들의 역사적인 기록은 빈약한 편이지만, 조세르 대에 크게 융성하여 높은 수준의 문화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량이 제4왕조의 황금기의 바탕이 되었다.
.고대 이집트 제4왕조 : 이집트 제4왕조는 이집트 고왕국의 황금 시기로, 기원전 2613년부터 기원전 2500년까지 존속하였다. 제3왕조의 사나크테가 카세켐위의 사위의 자격으로 제3왕조를 열었던 것처럼, 스네프루 역시 후니의 사위가 되어 새로운 왕조를 개척하였다. 제4왕조의 파라오들은 엄청난 규모의 피라미드 건축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규모가 엄청나기 때문인지 헤로도토스조차 자신의 책 《역사》에서 제4왕조 시기가 최근에 있었던 것처럼 잘못 묘사하고 있다. 쿠푸, 카프레, 멘카우레로 이어지는 3대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기자의 거대한 피라미드 단지를 남겼다. 특히 쿠푸의 대피라미드는 서기 1300년까지 3000년동안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쿠푸와 카프레의 거대한 피라미드 공사 때문인지, 그 뒤를 이은 멘카우레와 솁세스카프의 치세에는 별다른 대공사도, 해외 원정도, 이민족의 침략도 없는 평화의 시대가 계속되었다. 솁세스카프의 사후 멘카우레의 사위인 우세르카프가 파라오 자리를 계승하여 이집트 제5왕조를 열게 된다.
.고대 이집트 제5왕조 : 이집트 제5왕조는 이집트 고왕국의 한 시기로, 기원전 2498년부터 기원전 2345년까지 존속하였다. 제4왕조의 스네프루가 후니의 사위의 자격으로 제4왕조를 열었던 것처럼, 우세르카프도 제4왕조의 파라오 멘카우레의 사위이자 제데프레의 손자의 자격으로 새로운 왕조를 개척하였다.
.고대 이집트 제6왕조 : 이집트 제6왕조는 이집트 고왕국의 한 시기로, 기원전 2345년부터 기원전 2181년까지 존속하였다. 페피 2세 사후 파라오는 허수아비가 되고 귀족들과 사제들이 파라오들보다 더 강한 힘을 갖게 된다. 제5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우나스의 사위 테티가 우나스의 자리를 열어 새로운 왕조를 개척하였다. 하지만 첫 왕인 테티부터 경호원에 살해당하는 등, 제6왕조의 시작은 순탄하지 않았다. 페피 1세, 2세 때는 파라오가 긴 기간 동안 통치했으나, 안정적 통치는 아니었으며, 시간이 흐르자 지방 귀족들이 파라오의 권위에게 도전하기 시작하였다. 페피 2세 이후의 파라오들은 문헌에만 등장하며 마네토의 기록에는 아예 수록되지 않았고 그 어떤 고고학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페피 2세가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제6왕조도 종말을 고하고, 동시에 고왕국 시대도 끝이 난다. 이후 혼란스러운 이집트 제1중간기가 이어진다.
.고대 이집트 제7~8왕조 : 이집트 제7왕조와 8왕조는 이집트 제1중간기의 한 시기로, 극심한 혼란의 시기이다. 마네토에 의하면, 제6왕조의 뒤를 이은 제7왕조에는 70일간 재위한 70명의 파라오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곧이어 17여 명에 달하는 파라오가 통치한 제8왕조가 뒤따랐지만, 이들의 지배권은 모든 이집트의 영토를 잃고 멤피스 일대로 한정됨은 물론, 8왕조 자체도 20년을 넘기지 못했다고 한다. 또한 7, 8왕조 기간 동안 델타 지역은 아시아인들에게 점령당했으며, 중부의 헤라클레오폴리스와 남부의 테베는 각각 독립된 수많은 지방 왕국이 세워졌다고 한다. 다만 마네토의 저술은 오류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이 기록들을 그대로 믿기는 힘들지만 아비도스 왕 목록과 토리노 파피루스를 보면 이 시기의 이집트가 얼마나 혼란스러웠는지를 알수 있다.
.고대 이집트 제9왕조 : 이집트 제9왕조는 이집트 제1중간기의 한 시기이다. 왕조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오래가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시기는 대략 기원전 2160년부터 기원전 2130년까지 30간을 지속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집트 제6왕조가 무너진 후, 전국에 있는 지방 세력들이 각자 자신들의 영역을 구축한다. 제9왕조의 창설자들은 헤라클레오폴리스에 지방 소국으로 자리를 잡았다. 앞선 제7, 제8왕조와 마찬가지로, 제9왕조의 파라오들도 확실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또한 아비도스 왕 목록과 사카라 석판에 이 시기를 고대 이집트의 안좋은 역사로 간주하여 이들의 존재를 고의적으로 지운 흔적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존재를 확인하기란 매우 어렵다. 마네토 역시 케티 1세만 언급하고 나머지 파라오들은 언급하지도 않았다.
.고대 이집트 제10왕조 : 이집트 제10왕조는 이집트 제1중간기의 한 시대이다. 혼란스러운 이집트 제9왕조가 끝난 기원전 2130년부터 제11왕조의 멘투호테프 2세가 이집트를 재통일한 기원전 2040년 경까지 90여년간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제10왕조는 제9왕조의 뒤를 이어 헤라클레오폴리스에 작은 소국으로 자리잡았다. 제10왕조에 대한 기록은 제9왕조보다도 훨씬 적으며 그나마도 알려진 인물이 메리카레가 전부이다.
.고대 이집트 제11왕조 (통일전) : 이집트 제11왕조는 이집트 제1중간기 때에 건립되어 중왕국 시대의 문을 연 왕조이다. 대략적으로 기원전 2134년부터 기원전 1991년까지 존속하였다. 왕조의 개창자인 멘투호테프 1세는 테베의 총독이었으나, 멤피스의 중앙정부가 무너진 이후 독립하여 헤라클레오폴리스의 9, 10왕조와 대립하였다. 인테프 1세부터는 파라오 칭호를 사용하였으며, 이후 3대에 걸쳐 서서히 헤라클레오폴리스가 있는 북쪽으로 진격한다. 4대째인 멘투호테프 2세 대에 이르러 제11왕조는 제10왕조를 정복하고 이집트를 재통일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멘투호테프 2세 사후 20년이 지나지 않아 그의 손자 멘투호테프 4세가 재상 아메넴헤트(아메넴헤트 1세)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혹은 왕위강탈) 왕조의 역사가 끝난다.
.고대 이집트 제11왕조 (통일후) : 이집트 제11왕조는 이집트 제1중간기 때에 건립되어 중왕국 시대의 문을 연 왕조이다. 대략적으로 기원전 2134년부터 기원전 1991년까지 존속하였다.왕조의 개창자인 멘투호테프 1세는 테베의 총독이었으나, 멤피스의 중앙정부가 무너진 이후 독립하여 헤라클레오폴리스의 9, 10왕조와 대립하였다. 인테프 1세부터는 파라오 칭호를 사용하였으며, 이후 3대에 걸쳐 서서히 헤라클레오폴리스가 있는 북쪽으로 진격한다. 4대째인 멘투호테프 2세 대에 이르러 제11왕조는 제10왕조를 정복하고 이집트를 재통일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멘투호테프 2세 사후 20년이 지나지 않아 그의 손자 멘투호테프 4세가 재상 아메넴헤트(아메넴헤트 1세)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혹은 왕위강탈) 왕조의 역사가 끝난다.
.고대 이집트 제12왕조 : 이집트 제12왕조는 이집트 중왕국의 한 시기이다. 12왕조의 왕들 역시 11왕조와 마찬가지로 테베 출신이었다. 마네토는 이 시기에 일곱 명의 파라오가 다스렸다고 기록하였다. 아비도스 왕 목록을 비롯한 다른 사료들 역시 마네토의 기록에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다. 오류로 점철된 마네토의 기록중에서 가장 정확하게 일치한 시기이다. 또한 12왕조 중 세누스레트 1세 시절부터는 공동 통치제가 도입되었다. 후대의 학자들에 의해 소베크네프루라는 여왕의 존재가 추가되었는데, 소바크네프루는 마네토의 기록에 의하면 아메넴헤트 4세와 공동으로 통치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소베크네프루의 존재가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의 공동 통치는 파라오가 재위 말기에 왕세자를 미리 왕으로 승격하는 제도이다. 이 때문에 12왕조 파라오들의 재위기간이 겹치는 경우가 많다.
.고대 이집트 제13왕조 : 이집트 제13 왕조(기원전 1782년경 ~ 기원전 1650년경)는 고대 이집트의 왕조이다. 제13왕조 시대는 고고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이집트 중왕국 시대와 이집트 제2중간기에 존재 했던 왕조였다고 한다. 하지만 왕조가 존재했던 추정 연대가 학자마다 다르게 주장된다. 중왕국시대에 존재하였다는 설은 이집트 제13왕조가 제12왕조를 계승하여 창시한 왕조였다는 설이고 제2중간기에 존재하였다고 하는 설은 통일 국가였던 이집트가 정권이 붕괴되어 제12왕조와 제13왕조가 연속되지 못하고 분단이 되었다는 설로 이 시기가 엄청나게 혼란했던 점을 중점적으로 파악한 설이다.
.고대 이집트 제14왕조 : 이집트 제14왕조는 이집트 제2중간기에 등장한 왕조이다. 13왕조 말기의 혼란기에 나일 강 삼각주의 동부에 자리잡았다. 토리노 파피루스에 의하면 이 왕조 시기에는 30명에 가까울 정도로 수많은 파라오가 난립했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 제15왕조 : 이집트 제15왕조는 이집트 제2중간기에 있었던 왕조이다. 힉소스인들이 세운 왕조이다. 기원전 1663년부터 기원전 1555년까지 존속하였다
제15왕조 파라오들에 대해서는 마네토의 기록과 토리노 파피루스에 언급되어 있다. 마네토는 5명의 파라오를 언급하는 반면,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6명이 100여 년을 다스렸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 제16왕조 : 이집트 제16왕조는 이집트 제2중간기에 있었던 왕조이다. 이집트 제15왕조와 동시대에 존재했으나 기원전 1650년부터 기원전 1580년까지 70년만 존속했기 때문에 남은 기록도 적다. 이들은 힉소스인과 대립하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들의 정체는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마네토에 의하면 이 시기에는 30명이 넘는 파라오가 난립하는 매우 심각한 혼란기였다고 한다. 이집트학 연구가인 킴 리홀트에 따르면, 이들은 테베에 존재했다. 리홀트는 16왕조의 파라오로 여러 명을 제시하고 있는데, 아나트-헤르와 야코바암의 존재가 유적으로 확인되었다.
.고대 이집트 제17왕조 : 이집트 제17왕조는 이집트 제2중간기에 있었던 왕조이다. 힉소스인이 세운 이집트 제15왕조와 경쟁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승리하여 이집트 신왕국 시대를 열었다.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 이집트 제18왕조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의 왕조로, 기원전 1570년부터 기원전 1293년까지 존속하였다. 제18왕조를 개창한 이는 아흐모세 1세로, 그는 제17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카모세의 동생이었다. 이 시기 동안 고대 이집트 문명은 고왕국 시대의 영광을 어느 정도 되찾았으며, 이집트 제19왕조의 황금기의 기틀을 놓았다.
.고대 이집트 제19왕조 : 이집트 제19왕조(기원전 1293년 ~ 기원전 1185년)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의 왕조로, 고대 이집트 시대의 최전성기이자 신왕국 시대의 황금기이다.
.고대 이집트 제20왕조 : 이집트 제20왕조(기원전 1185년 ~ 기원전 1070년)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의 마지막 왕조이다. 이집트 신왕국 시대가 끝나는 기원전 1070년부터 이집트는 정복자가 아니라 피정복자가 되었다.
○ 이집트의 신과 신앙 : 이집트 신화
이집트 신화는 기독교와 이슬람이 확산되기 이전에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생각해온 신들의 체계를 의미한다. 고대 이집트인의 신앙은 대략 3000년에 걸친 긴 기간에 그 사이에 여러번 변화를 거듭해왔다. 일반적으로는 헬리오폴리스에서 신앙되고 있던 엔네아드를 바탕으로 말해지는 것이 많다.
– 믿음
.신전
이집트 각지에 신전이 세워져 신들이 숭배되고 있다. 신들의 서열은 지방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각 지방에서 각각의 지역에서 신앙하는 신의 신전이 건설되었다. 파라오가 이집트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호루스의 후계자로 자리 매김하고 있었기 때문에, 국가에 의해 많은 성전이 지어졌다. 그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부 심벨 신전이다.
.사후세계
이집트 신화에서 인간은 육체, 바 (Ba), 카 (Ka)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 언어와 문자
.신성문자
.신관문자
.민중문자
○ 건축과 미술, 옷
고대 이집트의 건축은 풍부한 석재(石材)를 사용한다. 처음에는 햇볕에 말린 벽돌이 주였으나 제2왕조 이후 왕릉(王陵, 피라미드)과 신전(神殿)은 모두 석조로서 주로 석회암이고 요소에 화강암이 사용되었다. 왕궁과 주택은 왕조시대를 통하여 벽돌과 목재를 썼다. 석재는 아스완의 화강암과 투르의 석회암, 시르시라의 사암(砂岩), 하트느바의 알라바스터 등이 특히 유명하지 않다
– 피라미드
피라미드(pyramid)는 일반적으로 정사각뿔 꼴의 고대 유적을 가리킨다. 고대 중국,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중앙아메리카 등 많은 문명권에서 피라미드 형태의 유적을 만들었다. 고구려의 태왕릉이나 장수왕릉등도 정사각뿔 형태이므로 피라미드의 일종이다.
– 스핑크스
스핑크스(sphinx, 그: Σφίγξ)는 사자의 몸에 사람의 머리가 달린 상상속의 동물이다. 이 괴물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그리스, 동남아시아 등 지역의 설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 이집트 예술의 신(神) 프타는 본디 창조의 신이었다. 이 신이 창조한 질서는 모든 예술에 공통되어 건축도 회화(繪畵)도 조각도 그 근저(根底)에는 이 법칙이 흐르고 있었고, 특히 조형 예술은 우주 만물의 조화에 합치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집트의 미술품은 우리가 말하는 현대의 미술작품은 아니다. 신전(神殿)은 ‘신의 영원한 집’이며, 회화는 현실세계를 재현하는 수단이며, 조각은 신이나 인간의 영혼이 깃들이는 곳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대 이집트의 미술은 실효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신이 정한 법칙이 있는 한 거기에는 엄연하고 일정한 형식이 성립하여 예술가의 개성은 훨씬 뒤로 물러선다. 이집트의 미술품이 일정한 양식을 고수하고 제작자의 이름이 표시되지 않는 까닭이다.
고대 이집트의 미술 활동의 역사는 모두 국왕의 보호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예술활동의 역사는 왕조 흥망의 역사와 일치한다. 미술 제작에 종사하는 자는 곧 국왕을 섬기는 관리였다.
– 네페르타리의 흉상
네페르티티(Nefertiti, NeFeRTiTi, 기원전 1370년경 ~ 기원전 1330년경)는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아크나톤의 왕비이자, 투탕카멘의 이모이다. 이집트 귀족 출신으로 왕과 같이 태양신 아톤을 찬미했다. ‘미녀가 왔다’라는 의미의 이름대로 1914년에 아마르나에서 발견된 석회석 채색 흉상(베를린 알테스 박물관 소장)은 사실의 화려함을 잘 나타낸 당대 최고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미완성의 두상(이집트 박물관 소장) 또한 그의 화려한 미모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아크나톤의 치세 말기에 왕의 총애를 잃고 왕궁에서 물러났지만, 기원전 1334년에 아크나톤이 사망하고, 투탕카멘이 왕위에 오르자, 그를 대신하여 약 2년간 나라를 다스렸다.
– 고대 이집트 옷
뜨겁고 건조한 기후로 인해 고대 이집트인들의 의복은 개방적이고 단순했다. 태양신 외에도 여러 신을 섬겼고, 신에 대한 존경심이 의복에서도 나타났다. 의복에서는 기하학적인 감각을 적용하여 직선적, 규칙적인 모양이 즐겨 사용되었다. 옷의 색상은 단순했으며 화려한 장신구를 걸쳤고, 색상 대부분은 흰색이었다. 왕은 뱀 모양의 유리어스(uraeus)라는 것을 머리와 허리에 달아 권위를 나타냈으며, 권력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넓고 긴 의복, 거대한 가발과 머리장식, 장신구를 착용했다. 옷 문양은 기하학적인 무늬 외에 동물, 식물, 상형문자 등도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복식은 오늘날의 패션에도 다양한 주제로 활용되고 있다.
○ 도시와 유적지
– 기자
기자는 정확하게 말한다면 카이로 서쪽 연안의 지명인데 보통 서쪽 10km의 유적지를 가리킨다. 즉 제4왕조의 파라오인 쿠푸·카프라·멘카우라의 피라미드가 우뚝 서 있고, 그 주변에 신전과 스핑크스와 귀족의 묘지인 마스타바가 무리를 이루고 있다. 오스트리아·미국·아랍연합 등이 이를 조사하였다. 기자 묘의 부조는 사카라의 부조보다 떨어지나 카이로에서의 교통이 편리하여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현재 스핑크스를 중심으로 손 에 르미에르를 실시하고 있다.
– 사카라
사카라는 카이로 남방 25 km 지점에 있는 지명이다. 초기 왕조의 왕묘을 비롯하여 제3왕조 제세르왕의 계단 피라미드, 피라미드텍스트가 있는 제5왕조 우니스왕의 피라미드, 부조의 정수(精髓)라고 하는 티(제5왕조)와 메렐카(제6왕조)의 마스타바 및 성우(聖牛)의 묘 세라페움 등이 있다. 또 나일강 쪽으로 고왕국시대의 수도 멤피스의 유적이 있고 야자수 사이 사이에 라메스 2세가 세운 프타흐 신전의 옛터와 그의 거상(巨像)이 있다.
– 아비도스
아비도스(Abydos)는 카이로 남방 약 550 km 지점에 있는 지명. 초기 왕조의 왕묘와 신전이 세워져 있고, 고왕국 시대에는 오시리스 신(神) 신앙의 중심지였으며, 신왕국 시대 말기에 걸쳐 이집트 각지로부터 성지(聖地) 순례자가 모여들어, 오시리스 신에 바치는 신전과 개인의 묘가 구축되어 신의 가호를 기원하는 스테레(石碑)가 세워졌다. 신전에는 특히 유명한 제19왕조 세티 1세의 아름다운 부조와 채색이 잘 보존되어 있다. 여기에서 출토된 석비와 우샤브티 등은 방대한 수에 이른다.
– 테베
테베(Thebes)는 현재의 룩소르 일대의 옛 이름이다. 이 지방은 제11왕조와 제18왕조 이후 왕국의 수도로 되었다. 나일 강을 끼고 동·서로 나뉘어 동쪽은 국가 수호신이 된 아멘 신의 신전과 시민을 중심으로 하였고, 서쪽은 국왕과 왕족의 능과 묘 그리고 장제전(葬祭殿) 및 귀족의 묘와 같은 사후의 세계가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서쪽에도 왕궁이 있었던 적이 있다(아멘호테프 3세, 라메스 3세 등). 아멘 신전은 카르나크가 본전이고 룩소르가 부전인데 역대의 왕이 계속 덧붙여 건축하였기 때문에 거대한 규모가 되었다.
서쪽 ‘왕가의 계곡’과 ‘왕비의 계곡’은 신왕국 시대 왕족의 ‘영원한 집’으로 계획된 것인데 대개의 것은 즉시 도굴당하였다. ‘귀족의 묘’는 미려한 벽면으로 애호가를 매혹시키고 있다. 데르 엘 바하리(하트솁수트 여왕)와 메디네트 하부(라메스 3세)의 신전은 각각 개성이 있는 대표적 건축이다.
.투탕카멘 왕의 보물
1922년 왕가의 계곡에서 하워드 카터(Howard Carter)가 발견한 그의 왕묘에서 부장품으로 나온 것이다. 그의 재위 기간(기원전 1354~1345)이 짧았으나 그의 묘는 완전히 보존된 유일한 것이기도 하였다. 이 보물은 공예적 가치가 높고 금을 대량으로 사용한 점이 눈에 띈다. 특히 귀금속 공예(미라의 마스크 등), 보석류 세공, 목공예(침대나 의자), 상아 세공, 석제 용기 등이 주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귀금속 공예는 중왕국 시대의 것이 더 우수한 것도 있다. 물론 이것보다 더욱더 많은 유물도 있다
– 누비아
누비아(Nubia)는 아스완부터 제4카타락트 부근까지의 지역이다. 고래로 아프리카 내륙부와 이집트에 중개무역을 하는 사람이 많았고, 또 이 지방은 금의 다량 산출로 역대 이집트 국왕은 누비아를 자기 세력하에 두었으며 여러 곳에 신전과 성채를 구축하였다. 아부심벨 신전과 부헨 성이 그 대표적 유적이고 북누비아의 전 유적지가 아스완 댐의 건설로 수몰되기 때문에, 유네스코가 중심이 되어 세계 40개국의 협력을 받아서 해체 이동 등을 하여 구제되었다.
.아부심벨 신전
아부심벨 신전은 제19왕조 라메스 2세가 아스완의 남방 300 km 지점에 만든 암굴 신전(岩窟神殿)으로 누비아에서 최고의 유적이다. 대신전은 태양신 라하라크티 등에, 또 소신전은 하트홀 여신에게 바친 것이었다. 특히 대신전 전면에 있는 왕의 거상(巨像)은 높이가 20m 이상이나 되고 내부의 벽면에는 카데시 전투 등의 부조가 있다. 아스완 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되게 되는 것을 세계 각국의 협력에 의해 약 3천 6백만 달러의 비용을 들여 구제하였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