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반성의 사회학’ 확립한 앨빈 워드 굴드너 (Alvin Ward Gouldner, 1920 ~ 1980)
앨빈 워드 굴드너 (Alvin Ward Gouldner, 1920년 7월 29일 ~ 1980년 12월 15일)는 미국의 사회학자. 워싱턴대학, 암스테르담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저서 ‘사회학의 재생을 위하여’는 사회학의 비판성 회복에 기여하고 사회과학 전체의 패러다임 논쟁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산업에 있어서의 관료제’ (1955)에서는 자율성을 부여하지 않는 관료조직은 비능률과 갈등을 가져온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했다. 60년대에 서구에 있어서의 사회이론의 역사연구를 통하여 두 가지 주요 흐름인 기능주의, 마르크스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객관적으로 기초지워진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학의 흐름에 반대하여, 독자적 사회학으로 ‘자기성찰의 사회학’을 구상하였다. 저서로 ‘서구 사회학의 위기의 도래’ (1970)가 유명하고, ‘두 마르크스주의’ (1980), ‘지식인의 미래와 새로운 계급의 출현’ (1979), ‘이데올로기와 테크놀로지의 변증법’ (1976) 등이 있다.
– 앨빈 워드 굴드너 (Alvin Ward Gouldner)
.출생: 1920년 7월 29일, 미국 뉴욕
.사망: 1980년 12월 15일, 스페인 마드리드
.학력: 컬럼비아 대학교
.논문: Industry and Bureaucracy (1954)
.박사지도: Robert K. Merton
.유명한 제자: 리차드 A. 피터슨
.조직 설립: Transaction Publishers
뉴욕 출생. 뉴욕학파의 한 사람으로서, R.K.머턴의 지도를 받고 1959~1964년 세인트 루이스의 워싱턴대학 교수로 있다가 1972~1976년 암스테르담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초기의 연구는 M.베버를 중심으로 한 관료제 분석에 집중하여 ‘산업에 있어서의 관료제’ (Patterns of Industrial Bureaucracy, 1955) 등 현장의 관찰조사에 의한 이론을 전개하였다.
1960년대 이후에는 강단사회학 (講壇社會學)과 기계론적 마르크스주의 비판을 바탕으로 ‘자기반성의 사회학’ 확립에 전념하였으며, ‘사회학의 재생을 위하여’ (The Coming Crisis of Western Sociology, 1970)는 사회학의 비판성 회복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전체의 패러다임 (paradigm) 논쟁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1973년 이후 ‘Theory and Society’ 지(誌)를 주재하여 비판사회학의 지적 조직화에도 힘썼다. 만년에는 신(新)헤겔파 사회학이라 자칭하는 입장에서 이데올로기 · 테크놀러지 · 지식인 · 마르크스주의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저서에 ‘The Dialectic of Ideology and Technology’ (1976), ‘The Future of Intellectuals and the Rise of the New Class’ (1979), ‘The Two Marxisms’ (1980) 등이 있다.
○ 업적
‘산업 관료주의의 패턴’과 같은 그의 초기 저작은 기존 사회학 분야에서 일했지만 비판적 지식인의 원칙을 채택한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그의 1964년 저서 ‘Anti-Minotaur : The Myth of Value Free Sociology’에서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여기서 그는 사회학은 객관적 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1970년 저서 ‘서구 사회학의 다가오는 위기’는 아카데미에서 가장 기억에 남을 것이다. 이 연구는 “사회학은 객관적인 진리를 생산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회학과 지식의 주관적인 본질과 그것이 시대의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책은 많은 사회학 분야에서 자신의 이론과 방법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Gouldner는 사회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을 비판한 최초의 사회학자는 아니다 (예를 들어 Theodor W. Adorno의 부정적인 변증법 참조).
그 후, Gouldner의 연구 대부분은 현대 사회학과 지식인의 본질을 비판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그는 이데올로기가 종종 잘못된 전제를 만들어 내고 지배 엘리트에 의해 도구로 사용되었으므로 비판적, 주관적 사고가 객관적 사고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 산업 관료주의의 패턴 (Patterns of Industrial Bureaucracy, 1954)
Gouldner는 ‘ethnographic study’를 이끌었고 그곳에서 관료주의와 관료화의 다양한 패턴을 확인했다. 그는 새로운 관리자를 임명한 후 관료화 과정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분석했다. Gouldner는 그의 연구에서 매우 구체적인 패턴을 가진 세 가지 유형의 관료제를 확인했다.
모의 관료제 (Mock bureaucracy) : 이 유형은 외부 기관에서 제공되며 공식적으로 구현되지만 일상적인 행동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 경영진과 근로자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데 동의한다. 이 경우 규칙은 경영진이나 근로자가 시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것 같다. 이 경우 “흡연”은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금연 규칙은 모의 관료주의의 한 예다.
this type comes from outside agency and is implemented officially, but not in daily behaviors. Both management and workers agree in this case to act the same way. The rules are not enforced in this case, neither by management, nor by the workers. No conflict seem to emerge in this case. “Smoking” is in this case seen as inevitable. The no-smoking rule is an example of mock-bureaucracy.
대표 관료제 (Representative bureaucracy) : 경영진과 근로자 모두이 규칙을 시행했고 긴장을 거의 일으키지 않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영진은 보안 규칙에 대해 무지하고 부주의하다고 생각하는 근로자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안전 프로그램은 대표적인 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회의가 열렸으며 근로자들에게 몇 가지 우려를 표명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경영진에게 이 프로그램은 근로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방법이었다.
both management and workers enforced this rule and it generated very few tensions. In this context, the focus was on the education of workers as management considered them as ignorant and careless regarding security rules. The safety program is an example of representative. Meetings happened regularly to implement this program and it was as well the occasion to voice some concerns for workers. For the management, this program was a way to tighten the control over workers.
처벌중심 관료제 (Punishment-centered bureaucracy) : 이러한 유형의 프로그램은 경영진에 의해 시작되어 많은 긴장을 불러 일으켰다. 경영진은 근로자가 의도적으로 결석 할 의사가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노동자들의 결석을 막기 위해 처벌이 내려졌다. 예를 들어, “결근 금지”규칙은 처벌 중심의 관료주의의 한 예다.
this type of program was initiated by management and generated many tensions. Management viewed workers as deliberately willing to be absent. Therefore, punishment was installed in order to force the workers not to be absent. For example, the “no-absenteeism” rule is an example of the punishment-centered bureaucracy.
– 시스템이론 (Systems theory)
앨빈 W. 굴드너 (Alvin W. Gouldner, 1920년 7월 29일 ~ 1980년 12월 15일)는 조직을 합리적 모형과 자연적 시스템모형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는 조직을 폐쇄적 시스템과 개방적 시스템으로 구분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시스템이론에서는 베르탈란피, 조직론측면에서는 굴드너가 폐쇄시스템과 개방시스템의 개념을 명확히 구별하였다. 굴드너에 따르면 조직은 개방시스템과 폐쇄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개방시스템은 외부환경과 끊임없이 상호 교류를 하는 조직을 의미하며, 폐쇄시스템은 조직 내에서 모든 활동이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요소를 활용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개방시스템과 폐쇄적시스템의 차이는 아래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다.
*구분 : 폐쇄시스템 / 개방시스템
.환경 : 고려하지 않음 / 고려
.조직의 생존과 환경 간 관계 : 자족적 조직 / 외부의존적 조직
.경계 : 고려하지 않음 / 고려
.엔트로피 : 지속적 증가 / 외부요소의 개입을 통한 엔트로피 감소 및 조직안정화 가능
.예시: 프로그램화된 신호제어체제 / 생명체, 기업조직 등
이렇게 조직을 2가지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인간이 있는곳에는 어디든 환경이 있기 때문에 폐쇄시스템의 실제 존재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폐쇄시스템은 연구목적, 예를 들면 질병에 대한 치료약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에서 실시하는 무균실 실험 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론적 관점에서는 조직을 개방체계로 봄에 따라 시스템이론에서는 주로 개방시스템에 대해서 다룬다.
– 굴드너는 관료제의 ‘무사안일성’ 지적
관료제가 왜 문제점이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의견이 있다.
.경직성: Merton 모형. 여기서는 최고관리자의 지나친 통제가 관료제의 병폐를 유발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분할성: Selznik 모형. 여기서는 권한의 위임 및 전문화가 이해관계의 분열, 훈련된 무능 등을 초래하는 문제를 지적한다.
.무사안일성: Gouldner 모형. 여기서는 관료들의 규칙에 의거한 소극적 행동이 병리현상을 초래한다는 점을 다룬다.
막스 베버 역시 관료제의 한계점을 의식하였고, “쇠우리” (Iron Cage)라는 독특한 표현을 사용하여, 본래의 개신교적 윤리라는 색채를 잃어버린 관료제가 껍데기만 남은 채로 굴러가게 되는 것을 경계하였다. 개신교 윤리를 간직한 “관료”(bureaucrat)에 대해 베버가 그렸던 모습을 대강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심이 없으며 공명정대할 것.
.”Job”이 아닌 “Vocation”으로서 필요한 전문적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할 것.
.개인에 대한 충성심이 아니라, 자신의 맡은 역할에 충성할 것.
즉, 위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사람들로 채워진 관료제적 조직은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되며, 이런 조직들로 굴러가는 현대사회는 곧 쇠우리와도 같다는 뜻이 되겠다.
○ 저작들
1950: Studies in Leadership
1954: Patterns of Industrial Bureaucracy
1954: Wildcat Strike: A Study in Worker-Management Relationships
1959: Organizational Analysis
1959: Reciprocity and Autonomy in Functional Theory
1960: The Norm of Reciprocity : a Preliminary Statement
1964: Anti-Minotaur: The Myth of Value-Free Sociology
1967: Enter Plato
1970: The Coming Crisis of Western Sociology
1973: For Sociology: Renewal and Critique in Sociology Today
1976: The Dialectic of Ideology and Technology
1979: The Future of Intellectuals and the Rise of the New Class
1980: The Two Marxisms
1984: Against Fragmentation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