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시원 (始原), 수메르 (Sumer)의 초기 ‘우바이드’ (Ubaid)
수메르 (Sumer)는 바빌로니아 남부에 위치하며 세계 최고 (最古)의 문명이 발생한 지역·민족, 또는 그 문명의 명칭이다. “수메르인”이란 말은 그들의 뒤를 이은 아카드인이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방에 사는 사람을 부르던 말이었다. 현재의 이라크 지방에 해당한다.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대략 기원전 3500년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그 후 기원전 2000년 쯤에 메소포타미아 북쪽의 아카드지방에 살던 셈족 계통의 아카드 사람들이 수메르 지방을 점령하고 바빌로니아를 세웠다.
수메르는 티그리스·유프라테스 두 강으로 형성된 지방으로 BC 5000년경부터 농경민이 정주하여 BC 3000년경에는 오리엔트 세계 최고의 문명을 창조하였다. 이들은 두 강의 중·상류 지역 또는 엘람지방에서 이주하여 온 것으로 보인다. 이 지방에는 소택지 (沼澤地)가 많고 두 강에서 연유한 홍수나 페르시아만 (灣)의 높은 조수로 인하여 일찍부터 간척 · 배수 · 관개 · 축제 (築堤) 등의 토목공사가 필요하여 촌락 간 협동작업이 행해졌고 이를 통해 유력한 씨족은 강력한 발언권을 행사하였다.
이들의 문명은 시기에 따라 알 우바이드기 (期, Ubaid period), 우루크기, 젬데트나스르기의 3기로 구분된다.
① 우바이드기 (Ubaid period)는 BC 3300 ∼ BC 3100년경에 해당하는 문명으로 채색토기를 수반한 펴묻기 [伸葬]와 니그로풍의 여자 토우 (土偶)가 있었으며, 기단 위에 만들어진 신전을 중심으로 한 작은 규모의 도시도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은 비 (非)수메르적인 서아시아 고 (古)민족의 문명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② 우루크기는 BC 3100 ~ BC 2900년경의 문명으로 금속의 사용이나 수메르 문명의 특징인 신전 (지구라트)의 건축이 시작되었고 원통인장 (圓筒印章)도 발명되었다. 또 여러 가지 기술이 발달하여 도시국가가 성립되고, 고형 (古型)의 설형문자가 사용되는 등 수메르문명이 형성되었다.
③ 젬데트나스르기는 BC 2900 ∼ BC 2600년경으로 전기 (前期) 문명이 발전하여 역사시대로 이행하는 시기이다.
○ ‘우바이드’ (Ubaid)에 대하여

남부 이라크의 우르 부근의 우바이드 (Ubaid) 유적은, 선사시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에 걸쳐, 메소포타미아 남부 충적지에 최초로 정착한 사람들의 유적이다
우바이드 문화는 기원전 6500년경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3800년경의 우루크기까지 이어진다.
바퀴의 발명과 청동기시대의 시작은 우바이드 시대에 일어난 일이다.
우바이드기 (期, Ubaid period) 동안에 특징적인 양식을 갖는 양직의 도기류들이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만 영역에 분포되고 있다. 당시 수메르인의 종교적 중심지는 에리두였으나, 인근의 도시인 우루크가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에리두를 추월하게 된다. 고고학적으로 우바이드기에서 우루크기로의 이동은 느린 물레에서 만들어진 채색 토기에서, 빠른 물레에서 양산하여 만든 비채색 토기로 바뀌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제4우바이드기에서 초기우루크기로의 이러한 변화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대략 기원전 4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수메르의 도시국가들은 선사시대의 우바이드기와 우루크기에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29세기경 초기 왕조 시대부터 역사적 기록들이 드물게 발견되기 시작하여, 기원전 26세기경 라가시기부터는 많은 자료들이 발견되고 있다. 고대 수메르는 기원전 24세기에 아카드 제국이 들어서면서 막을 내린다. 이후 구티인 지배 시기를 지나, 기원전 22세기 “수메르 부흥기”를 맞았다가, 20세기경에 아모리인이 침입한다. 아모리인의 이신 왕조는 기원전 1730년, 메소포타미아가 바빌로니아 지배하에 들어갈 때까지 유지된다.
우르 및 에리두·우루크·라가시·키시·납푸르·움마·알 우바이드 등의 발굴은 고도의 도시생활의 자취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우르의 왕묘에서 발견된 많은 유품은 이들의 높은 기술적 수준과 예술적 재능을 나타내고 있다. 두리새김 [丸彫]으로 된 조각으로 우루크의 ‘여성 두상’ (頭像), 텔 아스마르·마리에서 발견된 ‘사제상’ (司祭像), ‘예배자상’이 있고, 부조에는 ‘와르카의 큰 잔’, ‘독수리의 비’(碑)가 대표적이다. 수메르에서는 점토 이외의 원료가 산출되지 않아 석재나 광석·귀금속은 모두 무역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일찍부터 원격지무역이 행해져 동쪽은 인더스 유역, 서쪽은 아나톨리아·시리아·이집트까지 미쳤으며, 그 무역을 통하여 수메르문명은 오리엔트 각지로 전파되었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