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권분립을 제창한 몽테스키외 (Baron de secondat Montesquieu, 1689 ~ 1755)
프랑스의 법률가, 역사가, 정치 사상가. 본명은 샤를루이 드세콩다 (Charles-Louis de Secondat)로 몽테스키외는 그의 작위명 (제2대 몽테스키외 남작, Baron de La Brède et de Montesquieu)이다. 대표작으로는 ‘법의 정신’이 있다.
샤를 루이 세콩다 드 라 브레드 에 드 몽테스키외 남작 (프: Charles-Louis de Secondat, Baron de La Brède et de Montesquieu, 1689년 1월 18일 ~ 1755년 2월 10일)은 계몽주의 시대의 프랑스 정치사상가이다. 권력분립론에 관한 명확한 설명으로 유명한데, 이 권력분립론은 정부에 대한 근대의 논쟁에서 허용되었고, 전세계 많은 헌법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다. 자유주의 입장에서 권력분립에 의한 법치주의를 제창하였다.
법학과 관련해서는, 몽테스키외는 토머스 홉스와 스피노자의 사회물리학 (social physics)의 영향을 받아 법의 연구를 가치판단으로부터 “순수화”시키고 체계적인 경험적 관찰에 기초시키려 시도한 점에서 법사회학적 관점에서도 주목되고 있다.
저서 ‘법의 정신’ (프: Esprit des Lois, 1748년)을 남겼다. ‘법의 정신’은 두 가지 취지를 가지는데, 하나는 법 규범의 형식적인 껍질 아래에서 법 규범과 통치 형태와의 관련성 및 여러 정치적 집단과의 관련성을 탐구하려는 취지이며, 다른 하나는 여러 종류의 정치적·법적 유형의 발생을 다른 여러 사회현상과 관련시켜 설명하여 주는 자연적 법칙을 정립하려는 것이다.
‘법의 정신’에서 ‘여러 사물의 본성 (本性)으로부터 발생하는 여러 관계’를 가지고 법이라 규정하는 인과적 (因果的) · 합리적 (合理的) 방법을 사용하였다. ‘로마인(人)의 성쇠’ (1734년)에서 벌써 취급되었으나 기후· 종교· 민족성 등의 사물을 매개로 하여 법의 정신을 다채롭게 전개하였으며, 중국·일본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 몽테스키외 (Baron de secondat Montesquieu)
.본명: 샤를루이 드세콩다 (Charles-Louis de Secondat)
.출생: 1689년 1월 18일, 프랑스 왕국 지롱드주 샤토 드 라 브레드
.사망: 1755년 1월 10일 (65세), 프랑스 왕국 파리
.성별: 남성
.국적: 프랑스 왕국
.직업: 철학자
.영향을 준 인물: 존 로크, 토머스 홉스, 애덤 스미스, 아리스토텔레스, 르네 데카르트, 장 보댕
.자녀: 장 밥티스트 드 세콘댓, Marie-Catherine de Secondat, Marie-Josèphe-Denise de Secondat
몽테스키외 (Montesquieu, Charles Secondat)는 계몽사상의 대표자 중 한 사람으로 1689년에 보르도 시 근교의 샤토 라 브레드에서 귀족의 아들로 출생했다.
11세때 쥐이의 기숙제 중등학교에 들어가 5년간 데카르트 학파의 철학과 수학을 배우고, 그 후 보르도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한 뒤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25세인 1714년에 보르도 고등법원의 판사가 되고 2년 뒤에 백부가 사망하자 그 관직을 이어받아 원장이 되었다.
1721년 당시의 프랑스를 풍자적으로 비판한 서간체 소설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익명으로 출판했다. 재치있는 기지와 기교에 넘친 이 작품으로 그는 곧 파리 사교계에서 유명해졌다.
그 후 그는 아카데미 회원에 선출되었고, 1728년부터 3년간 로마, 런던 등 유럽 각지를 돌아다니며 여행했다. 이 여행의 성과를 바탕으로 그는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 등을 저술하고, 또 10여 년에 걸쳐 3개의 정체론과 권력 분립론 등을 특징으로 하는 대저 ‘법의 정신’을 완성했다. 이 책은 곧 교황청의 금서 목록에 올랐으나 2년 동안에 22판이나 찍었다.
그는 1755년에 파리에서 유행성 감기가 악화되어 6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 생애 및 활동
몽테스키외는 프랑스의 남서부에 있는 샤토 드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였던 줄리아 컬리지를 졸업한 후 26세에 개신교도였던 아내 장 드 라르티귀를 신부로 맞아들였다.
그의 아내는 부유한 귀족 집안 출신이었으며 결혼 지참금으로 포도 농장의 소유권을 가져왔다. 몽테스키외는 귀족이었으나 장남이 아니었기 때문에 작위와 봉토를 물려받을 수 없는 처지였다.
그러나 결혼한 이듬해에 백부가 사망하였고, 그의 유서에 따라 백부의 작위와 봉토를 계승하여 제2대 몽테스키외 남작 (프: Baron de secondat Montesquieu, 바론 드 세콘다 몽테스키외)가 되었다.
작위를 상속하기 전 몽테스키외의 원래 이름은 샤를 루이 드 스공이었다. 백부의 작위를 상속한 몽테스키외는 백부가 맡고 있었던 보르도의 지방법원의 원장직 역시 계승하게 되었다.
몽테스키외가 보르도 지방법원의 원장에 취임하게 된 무렵 잉글랜드에서는 명예혁명이 일어나 입헌군주제가 선포되었다.
그 후 1707년 연합법에 의해 스코틀랜드가 합병되어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세워졌다.
1715년에 오랫동안 재위하였던 루이 14세가 사망하고 루이 15세가 즉위하였다.
이후 프랑스 왕국의 앙시앵 레짐은 여러 부문에서 파열음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이후 몽테스키외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으며 그의 저작에서 여러 차례 반복되어 서술되고 있다.
1721년에 ‘페르시아인의 편지’라는 글을 발표하여 당시의 정치와 사회를 비꼬았다.
이에 진로를 고심하던 몽테스키외는 세습하여 물려받은 그의 법원 원장직을 경매로 처분하고 파리로 이주하여 연구와 저술에만 전념하게 된다.
그 후 법률 연구를 위하여 각국을 여행하였는데, 특히 영국 정치의 좋은 점에 감명을 받았다.
1734년에 선보인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은 몽테스키외의 이름이 유럽 전체에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 법의 정신
1748년에 ‘법의 정신’을 발표하였는데, 이 책에서 그는 법학 연구에 처음으로 역사 법학적, 비교 법학적, 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법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법의 정신’은 당시 정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는 여기서 군주정, 귀족정, 민주정이라는 과거 이론가들의 고전적 구분법을 버리고 자신의 고유한 분석틀에 따라 각 정부형태들의 활동원리를 정의했다.
그는 공화정은 덕, 군주정은 명예, 독재정은 공포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또 최초로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으로 권력을 나누는 삼권분립설, 입헌 군주 제도론 등을 전개하는 한편, 전제주의를 극력 공격하면서 법은 각국의 여러 환경에 적합한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이런 주장은 인권 선언과 미국 헌법에도 영향을 미쳤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법의 정신’을 금서 목록에 올려 금서로 지정하였다. 몽테스키외는 이에 항의해 1750년 ‘법의 정신에 대한 변론’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그는 디드로, 달랑베르 등이 편찬한 ‘백과전서’에도 협력하는 등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토대를 만드는 데 공헌하였다. 혁명이 시작되자 그의 사상이 실현되는 듯하였으나, 삼권 분립론을 제외하고는 그 영향력을 잃었다.
몽테스키외는 물레방아가 농업 노동자의 일을 빼앗아갔다고 비난한 바 있다.

○ 미국에서의 몽테스키외의 영향
초창기 미국사회에서의 가장 유명한 프랑스인은 온건하고 주의 깊이 몽테스키외였다. 존 로크처럼 그의 작픔인 법의 정신은 실험적이며, 장황하고, 불일치적인 면으로 파편적인 지식을 제공하였다.
추측컨대, 그는 이신론자였을 것이며, 종교를 상대적으로 묘사하였고, 실용주의적인 면에서는 영국의 관용주의자와 같았다.
○ 저서
1716년, 보르도 학술원 회원이 된 몽테스키외는 이미 회고록을 집필하는가 하면 법과 역사, 정치, 물리학, 자연과학 등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논문을 썼다.
1721년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펴낸 뒤로 유명 작가가 되었는데 이 짧은 서한 소설에서 몽테스키외는 하렘에서 허구로 전개되는 이야기를 통해 파리의 풍속을 묘사하고 루이 14세 치하의 정치와 종교 제도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이때 ‘전제주의’라는 용어도 등장한다. 몽테스키외는 계속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의무론》을 쓰기 시작한다.
1728년(39세) 오랜 유럽 여행을 시작해, 유럽 여러 나라를 방문하고 각 도시의 풍습과 제도뿐만 아니라 자연현상에도 관심을 보였다.
1745년 《실라와 외크라트의 대화》를 출판한 후, 1749년에는 다시 오랫동안 심혈을 기울여 집필한 대작 《법의 정신》을 세상에 선보였는데 이때 예순 살이던 그는 과로로 거의 실명 상태였다.
《법의 정신》은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프랑스에서 판매 금지되었다.
2년 뒤, 《‘법의 정신’을 옹호함》(1750년)이 출판되는 등 친구들이 애썼는데도 이 명저는 로마에서도 판금되고 말았다.
그러나 몽테스키외는 《로마인의 위대함과 퇴폐 원인에 관한 고찰》과 《페르시아인의 편지》 재판을 찍고, 디드로와 달랑베르의 《백과전서》를 위해 일했으며, 《취향론》을 쓰기 시작하는 등 열정을 거두지 않았다.

– Works by Montesquieu
Œuvres Complètes, 2 volumes, Roger Callois (ed.), Paris: Editions Gallimard, 1949.
Persian Letters, C. J. Betts (trans.), Harmondsworth, UK: Penguin Books, 1973.
Considerations on the Causes of the Greatness of the Romans and Their Decline, David Lowenthal (trans.), Indianapolis: Hackett, 1999.
The Spirit of the Laws, Thomas Nugent (trans.), New York: MacMillan, 1949.
– Life
Shackleton, Robert, 1961, Montesquieu: A Critical Biograph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Kingston, Rebecca, 1996, Montesquieu and the Parlement of Bordeaux, Geneva: Librairie Droz.
– Selected Secondary Literature
Althusser, Louis, 2007, Politics and History: Montesquieu, Rousseau, Marx, Ben Brewster (trans.), London: Verso.
Berlin, Isaiah, 2001, “Montesquieu”, in Against the Curr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Carrithers, D., Mosher, M., and Rahe, P. (eds.), 2001, Montesquieu’s Science of Politics: Essays on The Spirit of the Law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Cohler, Anne, 1988, Montesquieu’s Comparative Politics and the Spirit of American Constitutionalism, Lawrence KS: University of Kansas Press.
Conroy, Peter, 1992, Montesquieu Revisited, New York: Twayne Publishers.
Cox, Iris, 1983, Montesquieu and the History of French Laws, Oxford: Voltaire Foundation at the Taylor Institution.
Durkheim, Emile, 1960, Montesquieu and Rouseau: Forerunners of Sociology,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n Press.
Hulliung, Mark, 1976, Montesquieu and the Old Régim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Keohane, Nannerl, 1980, Philosophy and the State in France: The Renaissance to the Enlightenm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Krause, Sharon, 1999, “The Politics of Distinction and Disobedience: Honor and the Defense of Liberty in Montesquieu”, Polity, 31 (3): 469-499.
Oakeshott, Michael, 1993,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 of Modern Politics”, in Morality and Politics in Modern Europe: The Harvard Lectures, Shirley Letwin (e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angle, Thomas, 1973, Montesquieu’s Philosophy of Liberalism: A Commentary on The Spirit of the Law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Rahe, Paul, 2009, Montesquieu and the Logic of Liber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Schaub, Diana, 1995, Erotic Liberalism: Women and Revolution in Montesquieu’s Persian Letter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Shackleton, Robert, 1988, Essays on Montesquieu and the Enlightenment, David Gilman and Martin Smith (eds.), Oxford: Voltaire Foundation at the Taylor Institution.
Shklar, Judith, 1987, Montesquieu,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Shklar, Judith, 1998, “Montesquieu and the New Republicanism”, in Political Thought and Political Thinker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ist of principal works
Memoirs and discourses at the Academy of Bordeaux (1718–1721): including discourses on echoes, on the renal glands, on weight of bodies, on transparency of bodies and on natural history.
Spicilège (Gleanings, 1715 onward)
Système des idées (System of Ideas, 1716)
Lettres persanes (Persian Letters, 1721)
Le Temple de Gnide (The Temple of Gnidos, a prose poem; 1725)
Histoire véritable (True History, a reverie; c. 1723–c. 1738)
Considérations sur les causes de la grandeur des Romains et de leur décadence (Considerations on the Causes of the Greatness of the Romans and their Decline, 1734) at Gallica
Arsace et Isménie (Arsace and Isménie, a novel; 1742)
De l’esprit des lois ((On) The Spirit of Law, 1748) (volume 1 and volume 2 from Gallica)
La défense de «L’Esprit des lois» (In Defense of “The Spirit of Law”, 1750)
Essai sur le goût (Essay on Taste, pub. 1757)
Mes Pensées (My Thoughts, 1720–1755)
A definitive edition of Montesquieu’s works is being published by the Société Montesquieu. It is planned to total 22 volumes, of which (at February 2018) half have appeared.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