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의 영화
제이콥의 거짓말 : Jakob the Liar (Jakob le menteur)
감독) 피터 카소비츠 / 주연) 로빈 윌리엄스, 한나 테일러 고든 / 1999년

2차 세계대전, 폴란드의 게토 지역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제이콥은 계속 가게를 열지 못하고 있다. 어느 날, 제이콥은 야간 통행 금지를 어긴 죄로 독일군에게 불려간다. 제이콥이 독일군의 본부에서 처벌을 기다리는 동안 소련군이 폴란드의 가까운 지역에서 독일군을 물리쳤다는 소식을 전하는 라디오 방송을 듣게 된다. 운좋게 제이콥은 죽음을 면하고 몇 년만에 듣는 뉴스를 가지고 마을로 돌아온다. 제이콥은 기쁜 소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그 뉴스를 공유해야 겠다고 생각한다. 그 다음 날, 제이콥은 친구 미샤에게 이 소식을 전하게 되는데 이것 때문에 제이콥이 라디오를 가지고 있다는 소문이 퍼진다. 하지만 라디오 소유는 사형이 적용되는 중죄이다. 그렇지만 제이콥은 거짓으로 연합군이 나찌를 물리치고 진격하고 있다는 뉴스를 중계한다. 이런 희망적인 뉴스는 주민들에게 활기와 희망을 가져다준다. 하지만 제이콥은 자신이 전하는 그 소식 때문에 점점 위험에 처하게 되는데…
○ 제작 / 출연
– 제작진
감독: 피터 카소비츠
각본: 피터 카소비츠 (Peter Kassovitz), 디디에 드콩 (Didier Decoin)
원작: Jacob the Liar
제작: 닉 길로트 (Nicholas Gillott), 로빈 윌리엄스 (Robin Williams)
촬영: 엘레메 라갈리
편집: 클레어 심슨 (Claire Simpson)

음향: 패트릭 도드 (Patrick Dodd)
미술: 루치아나 아리기 (Luciana Arrighi), 이안 휘테이커 (Ian Whittaker)
의상·분장: 위슬라와 스타스키 (Wieslawa Starska)
개봉일: 1999년 9월 24일 (미국)
– 출연진
한나 테일러 고든
로빈 윌리엄스
니나 시마스즈코
아르민 뮐러 슈탈
리브 슈라이버
마티유 카소비츠
야노스 고쯔토니
야노스 쿨카
앙탈 라이젠

○ 시대배경
– 노란 별 뱃지
제 2차 세계 대전일 일어나면서 나치가 폴란드를 점령하게 된다. 독일과 소련 사이에 거주하는 약 200만명의 유태인이 히틀러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는데 나치는 보다 더 조직적으로 유태인 억압정책을 펴 나간다. 1939년 10월말부터 독일 점령지 폴란드 내의 유태인들에게는 노란 바탕의 다윗의 별 배치를 달도록 법령이 시행이 되었고 그 해 12월에는 14세부터 60세까지의 모든 유태인 남자들은 2년동안 강제노동을 위해 입영되었다.
– 유태인 게토지역
1939년 11월과 12월에 모든 유태인들은 도시의 특정 구역인 게토 (Ghetto)로 이주하라는 명령이 떨어졌고 첫 게토는 1940년 2월에 로지에 세웠졌으며 1940년 11월에는 바르샤바 게토가 세워졌다. 1941년 10월에는 게토 밖에서 발견되는 유태인들은 모두 사형에 처해졌다.

– 유태인 등록증
제 2차 세계대전 속 유태인들은 모두 특별한 도장이 찍힌 유대인 등록증을 소지하고 다녀야 했고, 비유태인계 사람들도 유대인 증명서를 발급 받은 사람들도 4만명에 달했다.
– 게토 통치의 목적
게토에서의 통치 목적이 2가지가 있다. 첫째는 유태인들을 감독하고 유태인들의 멸종시키기 위해서다. 두 번째는 이들을 게토에 집중시켜 경제적 착취를 도모하기 위해서다. 게토에서는 군사 물자를 만들도록 하였고, 도로 건설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유태인들으니 최소한의 음식만 제공되었고 인간의 삶은 아니었다. 얼마동안에는 정치, 경제, 사회활동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1941년 중반쯤 되었을 때 기아, 질병, 전염병 등으로 사람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 줄거리
팬케이크 가게를 오랫 동안 열지 못하고 있는 제이콥(로빈 윌리엄스)은 어느날 야간 통행 금지를 어긴 죄로 독일군에게 불려간다. 처벌을 기다리는 동안 소련군이 폴란드 가까운 곳에서 독일군을 물리쳤다는 놀라운 소식을 라디오에서 엿듣게 된다.
그는 운좋게 처벌을 면하고 집으로 돌아가던 중 고아소녀 리나(테일러 고든)를 만나 함께 집으로 간다. 제이콥은 라디오에서 엿들은 기쁜 소식을 친구 미샤에게 전한다. 이 소식은 제이콥이 라디오를 가졌다는 헛소문과 함께 게토 지역 내에 퍼져나간다.

라디오 소유는 사형이 적용되는 중죄다. 위험에도 불구하고 제이콥은 연합군이 나치를 물리치고 진격하고 있다는 희망적인 거짓 뉴스를 계속해서 중계하고 이 뉴스로 인해 게토 지역은 희망으로 넘쳐난다.
제이콥이 흘리는 거짓 희망의 뉴스는 결국 제이콥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유태인들은 수용소로 가는 기차에 실리지만 기차에서 그들은 진군해오는 소련군을 발견하게 된다.
○ 언론소개 : 공동체를 죽이는 거짓말, 살리는 거짓말! <제이콥의 거짓말>
영화 <제이콥의 거짓말> (피터 카소비츠 감독)은 거짓말에 관한 영화라기보다는 오히려 희망에 관한 영화이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 등장한다. 제이콥, 그는 구약 성경에서 거짓말의 대명사인 야곱 (Jacob)을 연상시키는 사람이다.
영화는 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점령한 폴란드 내 유태인 게토 (유대인들의 집단 거주지)를 배경으로 한다.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제이콥 하임 (로빈 윌리엄스 분)은 오랫동안 가게를 열지 못하고 있다. 독일군들이 기본적인 부식도 배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느 날 밤 바람에 날리는 신문지를 좇아가다가 제이콥은 야간 통행금지를 어긴 죄로 독일군 장교에게 끌려간다. 거기서 독일군 라디오 방송을 통해 소련군이 400킬로미터 떨어진 베자니카에서 독일군을 물리쳤다는 소식을 듣는다. 이것이 제이콥이 거짓말을 하게 되는 동기를 제공한다.

일부러 그 말을 전한 것은 아니지만 강제 노역을 하다가 친구인 미샤가 기차 바닥에 구멍을 내며 탈출구를 만들어 개죽음을 당하려고 하자 소련군이 가까이에 있다고 말해준다. 그리고 그 말에 신빙성을 더하기 위해서 엉겁결에 자기가 라디오를 가지고 있다고 거짓말을 한다. 당시 게토 안에서 라디오를 소유한 자는 사형에 처해지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제이콥은 연합군이 독일군을 물리치고 진격하고 있다는 뉴스를 거짓으로 꾸며내 계속 중계한다. 다른 이유가 아니라 거짓으로 꾸며낸 소식이 게토의 동포들에게 희망을 가져다주기 때문이었다. 라디오를 통해 연합군이 가까이에 와서 살아날 수 있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게토의 유대인들은 이후에 한 사람도 자살하지 않았다. 그 이전에는 하룻밤에 세 명 이상이나 자살했는데 말이다.
영화에서는 두 사람이 안타깝게 죽는다. 세계적인 심장병 의사인 커쉬범 교수는 제이콥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게토 안의 유일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제이콥이 거짓말을 하는 것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거짓이 진실이 되기만을 바라자면서 거짓말이 공동체에 가져다주는 유익을 강조했다. 그는 과연 어떤 죽음을 당하는가?

커쉬범 교수는 심장병을 고쳐주기만 하면 수용소에도 끌려가지 않고 목숨을 살려주겠다는 독일군 사령관의 제의를 거절한다. 사령관의 심장병을 고쳐주면 자기는 살 수 있을지 모르지만 게토에 있는 유대인 동족들은 죽을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결국 커쉬범 교수는 사태를 직감한 아내가 넣어준 독약을 마시고 자살한다. 그는 공동체를 위해 희생한 것이다.
제이콥도 커쉬범 교수의 이 죽음과 닮은꼴의 죽음을 당한다. 그는 라디오를 가진 자를 수배하자 인질로 잡힌 열 사람을 희생시키지 않기 위해 자수한다.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실제로 자기는 라디오가 없음을 밝히고 독일의 군인 방송을 듣게 되었던 것을 증언한다. 그러자 독일군 장교는 자신도 문책 받을 것을 염려해 제이콥에게 제안을 한다. 게토에서 소개당해 아우슈비츠로 죽음의 길을 떠나는 동료들에게 라디오는 처음부터 없었고 저항하려는 것도 모두 거짓이었다고 증언하면 목숨을 살려주겠다는 제안을 받는다.
그러나 제이콥은 끌려가는 동족에게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해 라디오가 없었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혼자 사는 것보다 공동체를 살리고 자신은 죽는 죽음을 택한다. 이렇게 이 영화에서 죽은 두 사람 커쉬범 교수와 제이콥은 철저히 공동체의 희망을 위한 장렬한 죽음을 택한 사람들이다.

우리는 성경 속에서 거짓말을 하다가 두 사람이 죽은 기사를 잘 알고 있다. 사도행전 5장에 나오는 아나니아와 삽비라 부부이다. 그들의 죽음은 탐욕으로 인해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었기에 당한 재앙이었지만 거짓말을 하고 또 거짓말을 알고 있던 제이콥과 커쉬범 교수의 죽음은 희생적인 죽음이었다.
우리는 세상 속에서 살아가면서 사소한 거짓말을 하곤 한다. 때로 욕심 때문에 치명적인 거짓말을 해서 곤경에 처하기도 한다. 우리 자신들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이런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을 자주 본다.
그런데 우리가 거짓말을 좀 아껴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가 일생을 살다보면 정말 하나님의 나라와 복음을 위해서 피치 못하게 거짓말을 해야 할 상황이 닥칠 수도 있다. 사람을 살리기 위해서, 교회를 유지하기 위해서 죽음을 담보로 하는 거짓말을 해야 할 때가 있을 것이다. 그런 중요한(?) 거짓말을 위해서 우리가 사소한 거짓말을 좀 아껴야 하지 않겠는가 말이다.
나는 과연 하루에 몇 번씩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2010.11.17, 연합기독뉴스, 원용일 목사)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