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로마신화
데메테르 (Demeter)
데메테르(그: Δημήτηρ, 영: Demeter)는 그리스 신화의 곡물과 수확의 여신이며 올림포스의 12신의 하나이다. 계절의 변화와 결혼의 유지를 관장하는 것으로도 여겨졌다. 올림포스의 12신 이전부터 숭배받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로마 신화의 케레스에 해당된다.
– 데메테르 (Demeter)
.영역: 곡물 · 수확 · 비옥한 땅의 여신
.소속 그룹: 여신 올림포스 12신 테오이 크토니오이
.거주처: 올림포스 산
.배우자: 제우스 · 포세이돈 · 이아시온 ·카르마노르 · 트리프톨레모스 · 오케아노스
.부모: 크로노스와 레아
.형제자매: 헤스티아 · 헤라 · 하데스 · 포세이돈 · 제우스
.자녀: 페르세포네 · 데스포니아 · 아리온 · 플로우토스 · 필로멜로스 · 에우불레우스 · 크리소테미스 · 암피테오스 1세 · 드미아
.로마 동등신: 케레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대지와 농업, 농경, 곡물, 곡식, 계절을 주관한다. 상징 동물로는 돼지·뱀·암소 등등, 상징 식물은 밀·보리·양귀비·박하 등이다. 대표적인 상징물건으로는 밀과 꽃으로 장식된 왕관과 횃불이 있다.
○ 개요
헤라, 헤스티아,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와는 친형제 사이로, 레아와 크로노스 부부의 자녀이다.
올림포스 12신 가운데 몇 안 되는 인자하고 자애로운 성품을 갖춘 신. 그러나 남자 형제들 때문에 신화 속에서 본인은 고생을 많이 한다. 다만 제우스의 바람 상대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헤라에게 괴롭힌 받았다는 전승은 없다.
로마에서는 ‘케레스(Ceres)’라고 부른다.
얌전하고 조용한 성품으로, 올림포스 12신 중 대지의 신인 만큼 그 입지는 크다. 일단 데메테르가 파업이라도 하면 식물 및 농작물이 자라지 못하게 되고, 그러면 인류는 살 수 없게 되고, 가축들도 굶어 죽는다. 이렇게 되면 인간들이 신에게 제물을 바치기도 힘들어지면서, 자연스레 신들도 난감해진다. 즉, 데메테르가 한 번 파업을 일으키면 신이고 인간이고 전멸할 수 있다. 실제로 딸 페르세포네가 납치당했을 때, 모든 정황을 알고 분노하면서 파업한 결과 피해는 컸다.
딸 페르세포네는 하데스에게 납치되어 결혼하게 되면서 저승의 왕비가 된다. 그 외의 자식으로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과 아리온이라는 말, 아레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테베의 용, 그리고 이아시온과의 사이에서 낳은 플루토스와 필로멜로스가 있다.
주로 하데스에게 페르세포네가 납치된 후, 그녀는 노인의 모습으로 그리스 각지를 떠돌며 딸을 찾아다니는 신화가 유명하다.
이것 외에는 자신이 주역으로 나오는 신화가 많이 없으며, 에로스를 찾아 다니던 프시케가 먼지와 세균으로 더럽혀진 데메테르 신의 신전을 깨끗이 청소한 것에 대한 답례로 에로스와 모자 관계를 맺은 미의 신 아프로디테에게 사역해서 그의 분노를 가라앉히라고 조언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두각응 나타내지 않는다. 인간을 먹여 살리는 데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식량과 농사, 풍년을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신화에서의 존재감은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페르세포네를 찾아다닐 때 생긴 엘레우시스 왕가의 트립톨레모스와 관련된 설화에서 비중을 차지한다. 데메테르는 페르세포네를 찾아다니다 엘레우시스에 도달했는데 엘레우시스의 왕 켈레오스와 왕비 메타네이라는 누추한 노파의 모습을 한 그녀를 잘 대접해주었다. 이에 고마움을 느낀 데메테르가 왕자 데모폰에게 불사를 부여하려 했으나 의식 과정이 하필 애를 불에 넣는 것이라, 아이를 죽인다 오해한 왕비가 데모폰을 일찍 꺼내버리는 바람에 데모폰은 죽고 데메테르는 데모폰의 형제였던 트립톨레모스에게 밀 농사를 가르쳐주었다고 한다.
미노스 문명 시대에는 당시의 주신이었던 포세이돈의 배우자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당시의 문서에서는 포세이돈과 함께, 포세이다라는 신이 나오다가, 점차 데마테르(Δημάτηρ)라는 이름으로 바뀌어서 칭해지는데, 이는 고대 도리아어로 추측된다. 미케네시대의 문자로는 이를 E-ne-si-da-o-ne(에시다오네 – 땅을 뒤흔드는 자)라고 표기했는데 여기서 dā가 도리아어로 땅을 뜻하는 γη(ge)의 도리아식 변형이라고 본 것이다. 헤라, 아르테미스, 아프로디테와 마찬가지로 원래부터 고대 그리스인의 신은 아니었으며 나중에 그리스 신화에 합류했다.
데메테르의 이름은 현대 그리스어로는 Δήμητρα (디미트라)라고 부르며, 그리스인의 이름중에 오늘날까지도 살아남아 있는데, 가령 디미트리오스 (Δημήτριος, 고대의 데메트리오스)와 디미트리스 (Δημήτρης), 그리고 슬라브 이름 중에 흔히 쓰이는 드미트리 (Дмитрий,Dmitri)가 여기서 비롯되었다.
원전에선 금발의 미인으로 묘사된다. 까만 망토를 뒤집어 썼으며 한 손에는 황금칼을 들고 머리에 횃불이나 짚단으로 만든 관을 쓰고 다녔다고 한다.
○ 페르세포네 신화
데메테르는 신들의 신인 제우스와의 사이에 딸 페르세포네를 낳았다. 후에 페르세포네는 저승의 신 하데스에게 납치되어 명계로 끌려간다. 딸을 찾아 헤매던 데메테르는 지상 어느 곡물도 열매맺지 못하게 했고, 제우스에게 항의하였다. 제우스는 형인 하데스에게 페르세포네를 놓아주라고 하는데, 하데스는 명계에서 음식을 먹으면 안 된다는 점을 이용해서 페르세포네에게 석류를 권하여 먹게 한다. 결국 데메테르는 일 년의 삼분의 일만 딸과 지내게 되었고 헤어져있는 기간을 겨울이라고 불렀다. 이로써 데메테르는 사계절의 변화를 확립하고 엘뤼시스 제전을 시작하였다.
헤어져있는 기간을 겨울이라는 설도 있지만, 그리스에서는 ‘밀’을 주식으로 삼았기 때문에, 밀의 경작시기인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가 함께 지내고, 헤어져있는 기간은 여름인 6월부터 9월이라고 보는 설도 있다.
○ 엘레우시스 비교(秘敎)
아테네 근처의 엘레우시스에서 행해진 비밀 종교로, 데메테르의 신화는 대부분 이 종교의 성립에 관한 것이다. 대대로 이 땅에 사는 신관들 사이에서 전승되고 있었으며, 의식에 참가하여 입교한 입회자는 누구에게도 의식을 내용을 알리지 않아야 한다.
물론 비밀 종교이기 때문에 기록이 거의 없어서 자세한 교리는 알려져 있지 않다.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엄청나게 오랫동안(로마제국 말기까지) 유지 되었으나 훈족과 게르만족의 침공으로 엘레우시스가 황폐화 되어서 소멸했다.
아마도 사후(死後)의 세계에 관해서 보장을 해주는 가르침이 있었던 것 같고, 데메테르 숭배 외에도 페르세포네 숭배와 깊게 관련되어 있었던 것 같다.
– 아리온과 데스포이나
데메테르가 페르세포네를 찾아 다니고 있을 때, 난데없이 욕정을 일으킨 포세이돈이 나타나 데메테르를 찾자 달아나서 말로 변신해 마굿간에 숨었다. 하지만 포세이돈도 말로 변신해서 관계해 두 신들 사이에서는 한쪽 발이 인간의 손이며 사람의 말을 할 수 있는 말(馬), 아리온이 태어났다. 또한 데스포이나(여주인)이라고만 불리는 본명 불명인 딸도 태어났다.
○ 에리시크톤 이야기
에리시크톤이라고 하는 테살리아의 왕이 있었다. 그는 부유했으나 오만하고 불경하여 신을 공경할 줄 모르는 인간으로, 주위 사람들과 데메테르 여신의 경고가 수 차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한 채 데메테르에게 봉헌된 신성한 숲을 밀어버리면서 여신이 소중히 아끼는 참나무까지도 자기 멋대로 베기에 이르렀다. 이때 도끼에 찍힌 나무에서 피가 흘렀으니, 나무에 깃든 님프 하마드리아데스가 흘린 피였다. 하마드리아데스는 에리시크톤을 향해 데메테르 여신께서 이 원한을 갚아 주실 것이라고 저주하며 죽어갔고 나무도 끝내 쓰러지고 말았으며, 숲에 살던 수많은 정령들도 순식간에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 이에 정령들이 상복을 입고 머리를 산발하고 피눈물을 흘리며 데메테르에게 에리시크톤을 벌해 달라고 울면서 하소연하자, 에리시크톤의 오만함에 격노한 데메테르가 에리시크톤에게 크나큰 벌을 주었다.
데메테르는 에리스의 딸이자 기아의 신인 리모스(로마식 이름으로는 파미나)에게 명령해 에리시크톤에게 아무리 먹어도 채울 수 없는 영원한 식욕을 선사했다. 데메테르의 명을 받은 리모스는 에리시크톤이 자는 사이에 찾아와 그의 피에 자신의 피 일부를 섞어놓고 돌아가 버렸다. 그리고 깨어난 에리시크톤은 아무리 먹고 또 먹어도 계속해서 허기에 시달려, 결국 가지고 있던 엄청난 재산을 음식을 사먹는데 모두 탕진하고 급기야 시종들과 딸 메스트라까지 팔아 음식을 사먹는다. 그러고도 배고픔이 가시지 않아 결국 자신의 몸까지 먹고도 이만이 남아 계속 음식을 탐한다는 이야기다.
참고로 이후 딸 메스트라는 오디세우스의 외할아버지이자 헤르메스의 아들인 아우톨리코스와 결혼한다. 이 전승대로라면 오디세우스의 외증조부가 된다.
– 이아시온
테베를 건국한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결혼식에서 제우스와 플레이아데스 엘렉트라의 아들 이아시온과 눈이 맞아 세 번 경작한 땅에서 동침했는데 감히 여신과 정을 통한 것에 분노한 제우스에 의해 이아시온은 사망한다. 그와 데메테르 사이에 부의 신 플루토스와 필로멜로스가 태어났다. 이아시온은 죽지 않고 늙을 때까지 살아있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군소 농경신이었다고도 한다.
다른 전승에선 데메테르가 부탁해서 제우스는 결국 이아시온을 하급 신으로 부활시킨다. 신으로 부활한 이아시온은 데메테르의 농경신으로 취급되고, 아카디아와 크레타에서는 둘을 부부신으로 섬겼다고 한다. 하지만 제우스는 이아시온에게 앙심을 품고 이아시온이 상급 신이 되는 걸 허락하지 않았다.
○ 에리니에스 테르포우시아
분노한 상태의 데메테르는 테르포우시아(Erinys Telphousia)라는 이름으로 에리니에스로 분류된다.
테르포우시아로서의 데메테르는 아르카디아의 테르포우사 도시에서 숭배됐다. 이 상태의 데메테르는 군신 아레스의 아내로 여겨졌고 둘 사이에서 태어난 게 드라콘 이스메니오스. 이 용은 후에 카드모스에게 죽고 이빨이 뽑혀 테베 건국의 초석이 된다.
신기한 건 데메테르는 후에 자신의 아들을 죽인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결혼식에 참여하는데, 카드모스는 속죄의 의미로 10년간 아레스의 종으로 살다 아레스의 딸과 결혼했다. 그리고 결혼식에 참여한게 테르포우시아가 아니라 자비감이 넘치는 상태인 데메테르라고 하면 어느 정도 설명은 가능하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