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서적소개
결혼과 가정상담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김종환 / e퍼플 / 2022.5.10
본서는 1998년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이 설립되고 국내 최초로 가정사역 전공 석사과정의 필수과목 교과서로 오래 사용되었던 책 ‘가정상담사역’의 개정판이다.
2012년 저자의 정년퇴임과 함께 ‘가정상담사역’은 절판되었다가 저자가 미성대학 (America Evangelical Uni)에서 다시 강의하면서 최근 상담학의 변화를 반영하여 새로운 책 ‘결혼과 가정상담’으로 다시 출판하게 되었다.
‘가정상담사역’ 출판 당시에는 대상관계론이 상담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대상관계론은 후기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을 상징한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당시 뇌과학의 결정론을 따라서 어린 시절의 경험이 평생을 좌우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뇌과학은 결정론에서 신경가소성으로 변하였고, 21세기에 들어와 상담학은 카운슬링 쉬프트 (counseling shift)라고 할 만큼 크게 변화되었다.
프로이트 중심의 전통심리학이 고착 (fixation)과 퇴행 (regression) 중심이라면, 최근 심리학을 대표하는 긍정심리학 (positive psychology)은 고착과 레질리언스 (resilience)를, 또한 IQ, EQ와 함께 AQ (adversity quotient / 역경지수)를 강조한다. 그리고 전통심리학과 최근심리학의 필수적인 균형 (vital balance)이 필요성을 요구한다.
본서는 이러한 심리학과 상담학의 변화들을 결혼과 가정상담에 적용하였다. 크리스천의 입장에서 전통심리학과 최근심리학의 균형을 유지하는 결혼과 가정상담의 대학원 과정의 교과서이다.
○ 목차
제1장 결혼 가정상담의 개념 5
1 크리스천의 결혼-언약/5
2 가정상담사역의 개념/22
3 가정상담사역의 원리/29
제2장 결혼 가정상담의 세 단계 63
1 예비 사역/63
2 치료 사역/89
3 증진 사역/173
제3장 결혼 가장상담의 핵심 187
1 모성애/188
2 모성상실-대상관계론/198
3 레질리언스/233
제4장 한국 전통 가족 239
1 구조적 분석/240
2 가족제도의 변천/246
3 가족 이기주의/253
제5장 부부 상담 261
1 부부의 요소/263
2 부부의 유형/273
3 부부의 역할/277
4 부부의 의사소통/284
5 부부의 성/292
6 부부의 갈등/299
7 부부의 욕구/305
8 부부의 외도/318
제6장 자녀양육 상담 327
1 자아실현/327
2 부모교육이론/329
3 민주적 부모교육/332
4 P.E.T./335
5 스크림 프리/342
제7장 가정상담 분야 353
1 이혼/353
2 고부/368
3 맞벌이/382
4 실버/395
5 싱글/413
부록 423
1 이마고 훈련 프로그램
2 MBTI (교회용)
3 EGO-Gram
4 사랑의 5가지 언어
참고문헌 460
○ 저자소개 : 김종환 박사
저자 김종환 박사 (Th.B., M.A., Ph.D., D.D.) 는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교수를 2012년 정년퇴임하고, 명예교수로 추대되었다.
현재 America Evangelical University 상담학 교수이다.
한국상담대학원협의회 회장, (사)한국가족치료연구소이사장, 한국대상관계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와 한국임상목회협회 창립멤버이다.
미국 Fuller Theological Seminary와 호주 Charles Sturt University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대한민국 근정포장 (2012년)을 받았다.
상담사역론, 가정상담사역론, 부부관계분석, 상담기술연습교본 등의 저서와 목회자의 자아돌봄, 기독교개설 등의 번역서가 있다.
○ 출판사 서평
‘가정상담사역’ 출판 당시에는 대상관계론이 상담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대상관계론은 후기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을 상징한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당시 뇌과학의 결정론을 따라서 어린 시절의 경험이 평생을 좌우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뇌과학은 결정론에서 신경가소성으로 변하였고, 21세기에 들어와 상담학은 카운슬링 쉬프트(counseling shift)라고 할 만큼 크게 변화되었다.
프로이트 중심의 전통심리학이 고착(fixation)과 퇴행(regression) 중심이라면, 최근 심리학을 대표하는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은 고착과 레질리언스(resilience)를, 또한 IQ, EQ와 함께 AQ(adversity quotient/역경지수)를 강조한다. 그리고 전통심리학과 최근심리학의 필수적인 균형(vital balance)이 필요성을 요구한다.
이 책은 이러한 심리학과 상담학의 변화들을 결혼과 가정상담에 적용하였다. 크리스천의 입장에서 전통심리학과 최근심리학의 균형을 유지하는 결혼과 가정상담의 대학원 과정의 교과서이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