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5년 4월 2일, 덴마크의 동화작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Hans Christian Andersen, 1805 ~ 1875) 출생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덴: Hans Christian Andersen, 1805년 4월 2일 ~ 1875년 8월 4일)은 덴마크의 동화작가이자 소설가다.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Hans Christian Andersen)
.출생: 1805년 4월 2일, 덴마크 오덴세
.사망: 1875년 8월 4일 (간암, 70세), 덴마크 코펜하겐
.직업: 소설가, 단편 작가, 동화 작가
.국적: 덴마크
.종교: 개신교 (루터교회)
.장르: 아동 문학, 기행 문학
.단편: 미운 오리 새끼, The Fir-Tree, The Nightingale, 벌거숭이 임금님, 공주와 완두콩 등 다수
.수상: 적수리 훈장, 프로메테우스상, Hans Christian Andersen Literature Award
그는 사는 동안에 여러 나라 어린이들을 기쁘게 하는 데 성공했다. 그의 시와 이야기는 150개가 넘는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가 쓴 작품은 여러 영화, 연극, 발레, 애니메이션이 탄생하는 데 필요한 영감을 불러 일으켰다.
“모든 사람의 일생은 신의 손가락으로 쓰여진 동화다.”

○ 생애 및 활동
안데르센은 덴마크의 오덴세에서 구두 수선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라는 이름은 안데르센이 루터교에서 세례를 받았을 때 대부모 (代父母)가 붙여준 이름이다.
안데르센의 집안은 할머니가 병원에서 청소 노동자로 일할 정도로 가난하여, 안데르센의 성장 과정에 큰 영향을 끼쳤다. 독실한 루터교 신자인 어머니는 안데르센에게 예수를 공경하는 순수한 개신교 신앙을 심어주었고, 아버지는 인형극과 독서를 통해 어린 그에게 옛날 이야기와 ‘아라비안 나이트’를 자주 들려 주며 상상력과 교양을 심어주었다. 어린시절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가장의 자리가 비게 되자 안데르센은 어린나이에 공장에서 일하고, 어머니는 빨래를 대신해주는 일을 했다.
1819년에는 연극 배우의 꿈을 품고 코펜하겐으로 갔으나, 변성기 이후 목소리가 탁해지면서 꿈을 접어야 했다. 더구나 가난 때문에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해서 문법과 맞춤법이 엉망인 그의 연극대본은 극단주에 의해 반송되었기에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극심한 마음의 고통에 시달렸다. 다행히 그의 작가로서의 재능을 알아본 덴마크 의회 의원인 요나스 콜린의 후원으로 라틴어 학교에 입학했으나, 안데르센이 시를 쓰는 것을 싫어하는 교장과의 갈등 때문에, 5년 만에 학교를 그만두고 1828년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하였다. 몇 편의 희곡, 소설을 쓰면서 작가로서의 재능을 드러낸 안데르센은 ‘즉흥시인’ (1834년작)으로 문학계의 호평을 받았다. 1835년부터 본격적인 동화 저작에 들어갔는데, 어른들도 읽을 정도로 독자들의 반응이 좋았다. 하지만, 일부 문학비평가들은 “《즉흥시인》을 쓸 정도로 뛰어난 작가가 어린이를 속이는 이야기나 쓴다.”는 가혹한 비판을 하기도 했다.
1872년까지 발표한 총 160여편의 동화 작품은 모두 유명해져서 연금 수령, 안데르센의 그림이 들어간 우표 발행이라는 영광을 누렸다. 62세 때 그는 고향 오덴세의 명예 시민으로 받들어졌으며 1875년 수도인 코펜하겐에서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장례식에는 덴마크 국왕과 왕비가 참석하였다.
2005년 4월 2일에 안데르센 탄생 200주년을 맞아, 200주년 기념 웹사이트가 개설되기도 했다.
주요 작품으로 즉흥시인, 분홍신, 눈의 여왕, 인어공주, 성냥팔이 소녀, 벌거숭이 임금님, 미운 오리 새끼, 엄지 공주, 꿋꿋한 주석 병정, 야생의 백조, 나이팅게일 등이 있다.
○ 안데르센 문학의 특징
안데르센 문학은 안데르센이 가난한 구두 수선공의 아들이라는 것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성냥팔이 소녀’는 가난하게 자라서 구걸까지 해야 했던 안데르센의 어머니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또한 ‘눈의 여왕’은 어렸을 때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했다가 돌아온 아버지가, 서리가 내리던 밤에 신경쇠약으로 죽자, 고아가 되었고 이를 ‘눈의 여왕’이 데려가는 것으로 생각한 어린시절의 기억이 소재가 되었으며, ‘미운 오리 새끼’는 안데르센이 작가로 데뷔한 후에도, 그의 출신 때문에 홀대를 받은 상처가 문학으로 표현된 작품이다.

○ 평가
“안데르센은 성공한 ‘미운 오리새끼’이며, 고결한 ‘인어공주’이다. ‘꿋꿋한 양철 병정’이자, 왕의 사랑을 받는 ‘나이팅게일’이며, 악마 같은 ‘그림자’이다. 우울한 ‘전나무’이기도 하고, 불쌍한 ‘성냥팔이 소녀’이기도 하다.” – 전기 작가 재키 울슐라거
처음 안데르센 동화가 나왔을 당시에는 평단과 대중들로부터 “이런 비교육적인 이야기를 애들 보는 동화라고 쓰다니!” 라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물론 안데르센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이런 혹평은 점점 설 곳을 잃어갔다.
그가 동화에 끼친 영향을 한 줄로 요약하자면, “창작동화의 개척자”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동화는 그림형제처럼 민담을 재구성하거나, 저자가 불분명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축약, 왜곡, 구전되어오는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그것이 동화의 전부였었다. 안데르센도 초창기에는 그림형제처럼 민담을 재구성하는 이야기를 썼으나, 점차 자신이 직접 창작한 이야기의 비중을 늘려나갔다. 그의 동화는 자칫 교훈적이고 도구적인 의미로만 흐를 수 있는 동화라는 장르에 예술성을 불어넣어, 동화가 민담의 하위 장르가 아니라, 동화 스스로가 문학적으로 훌륭한 장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창작 동화의 규격과 틀, 이야기 구조, 문체 등과 같은 기본적 요소들은 전부 안데르센의 창작 동화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이름을 딴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은 ‘아동문학계의 노벨문학상’으로 불리고 있다.
– 안데르센상 (국제 안데르센 상,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s)
안데르센상 (국제 안데르센 상,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s)은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 (IBBY)에서 ‘아동문학에 지속적으로 기여한’ 글작가 1명과 그림작가 (일러스트레이터) 1명을 2년마다 선정하여 수여하는 세계적인 상으로, 아동문학 분야에서 가장 국제적인 권위를 지닌 상이다. 한 작품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친 업적을 다루며, 생존 작가에게 시상한다. 글 분야는 1956년부터, 그림 분야는 1966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했다.
명칭은 19세기 덴마크의 동화작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이름에서 따왔다. 수상자는 안데르센 흉상이 새겨진 금메달과 증서를 2년마다 열리는 IBBY Congress에서 받는다. 덴마크 국왕 마르그레테 2세와 남이섬 주식회사가 공식 후원을 맡고 있다.
IBBY의 각국 지부에서 후보자를 추천하며, 아동문학 전문가로 구성된 국제 심사위원들이 최종 후보 (shortlist)를 각 분야 5명씩 선정하여 1월에 발표한다. 수상자는 매년 3월 말이나 4월 초에 열리는 볼로냐아동도서전 현장에서 발표한다.
한국의 이수지 작가가 2016년 처음으로 그림 분야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작품들
– 소설
즉흥시인
– 동화
나이팅게일
눈의 여왕
미운 오리 새끼
백조 왕자
벌거벗은 임금님
빨간구두
성냥팔이 소녀
엄지공주
인어공주
하늘을 나는 가방
공주와 완두콩
외다리 병정
다섯 개의 완두콩
그림 없는 그림책
어머니 이야기
모래장수 올레(Ole Lukøje)
프시케
돼지치기 왕자
– 기행문
Shadow pictures
시인의 바자르
A visit to Spain 1862
A visit to Portugal 1866
– 희곡
1828- 1829년의 도보여행기, 홀멘스 운하부터 아마게르섬 동부까지
니콜라이 탑에서 사랑을
Mulatto(1840)
The Moorish girl
– 자서전
The true story of my life
“안데르센 자서전: 내 인생의 동화”로 번역되어 나왔다.
Collected works
En Biografi
The fairy tale of my life


참고 = 위키백과, 알라딘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