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곡감상
독일의 작곡가로 ‘독일 국민 가극 · 낭만파 음악의 창시자’ 카를 마리아 폰 베버 (Carl Maria Friedrich Ernest von Weber, 1786 ~ 1826)의 Missa Sancta No.1, Op.75a (1818)
카를 마리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폰 베버 (Carl Maria Friedrich Ernest von Weber, 1786년 11월 18일 ~ 1826년 6월 5일)는 독일의 작곡가다. 독일 국민 가극 · 낭만파 음악의 창시자이다. 모차르트의 친척, 외사촌 조카이다 (그의 사촌이었던 콘스탄체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부인이다).
– 카를 마리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폰 베버 (Carl Maria Friedrich Ernest von Weber)
.출생: 1786년 11월 18일, 독일 오이틴
.사망: 1826년 6월 5일 (39세), 영국 런던 (사인은 폐결핵)
.국적: 독일
.직업: 작곡가
.배우자: 캐롤라인 브랜트 (1817 ~ 1826년)
.형제자매: 마리아 안나 테레지아 막달레나, 에드먼드 폰 웨버, 요제파 웨버, 프리돌린 폰 웨버
어릴 때부터 재능이 뛰어나 여러 사람에게 배운 뒤, 1813년 프라하 가극장의 지휘자로서 우수한 오페라를 상연하였다. 1816년 드레스덴의 가극장 지휘자, 궁정 예배당 지휘자로 활약하는 한편 스스로 작곡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그의 웅장한 오페라와는 달리 태어날때부터 선천적으로 좌골의 이상으로 4세가 될 때까지 잘 걷지도 못했으며, 20세때는 인쇄용 동판제작에 쓰려던 초산을 포도주인줄 알고 마셔 목소리를 망치기도 했다.
그는 고대 독일의 오페라를 기본으로 하여 독일어, 독일의 소재, 독일의 민요조 선율 등을 풍부하게 구사하였다. 그 고전적인 기교에 낭만적 경향을 조화시켜 극적이고 환상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1826년 런던에서 ‘오베론’을 상연하여 호평을 받았으나, 그곳에서 폐결핵으로 사망하였다.
대표작으로 가극 ‘마탄의 사수’ (1821년 Op.77 또는 J 277), 가극 ‘오이리안테’ (1823년 Op.81 또는 J 291), 피아노 독주곡 ‘무도회에의 권유’ (1819년 Op.65 또는 J 260) 등이 있다.
카를 마리아 폰 베버 (Carl Maria von Weber, 1786년 11월 18일 ~ 1826년 6월 5일, 향년 39세)는 독일의 낭만파 작곡가로, 오페라 ‘마탄의 사수’로 독일 낭만파의 문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다.
○ Carl Maria von Weber – Missa Sancta No.1, Op.75a (1818)
Carl Maria Friedrich Ernst von Weber (18 or 19 November 1786 – 5 June 1826) was a German composer, conductor, pianist, guitarist and critic, one of the first significant composers of the Romantic school.
- Missa Sancta No.1, Op.75a (1817-1818)
- Kyrie
- Gloria
- Credo
- Sanctus
- Benedictus
- Agnus Dei
- Norwegian Soloist Choir and Norwegian Radio Orchestra conducted by Grete Pedersen Helgerød
- Live Recording in Oslo Cathedral on 21.03.2003
Weber composed the Missa Sancta no. 1 in E flat between 1817 and 1818, at the very time he was working on the opera Der Freischütz. As a consequence, some of the melodic ideas encountered in this Mass resemble those found in the opera and give the work the nickname ‘Freischützmesse’. Structurally, it is a work for soloists, chorus and orchestra; it contains the conventional numbers, ‘Kyrie’, ‘Gloria’, ‘Credo’, ‘Sanctus’ and ‘Agnus Dei’. The style is, however, more galant, and resembles some of Haydn’s Masses. Weber’s orchestration differs in its use of winds and brass. It is, in general, more symphonic than one would encounter with Haydn, although it hardly compares with the very large forces Beethoven would later use in the Missa Solemnis.
As to the relationship to Der Freischütz, the ‘Kyrie’ contains an extended passage that uses the diminished seventh chord in a way similar to its use with the character Samiel in the opera. This is not to say that Weber draws on the diabolical character in the Mass, but rather, that he uses the chord prominently. When they occur at the opening of the Sanctus, these chords contribute to the movement an element of suspense. A more specific reference to Der Freischütz occurs, however, in the ‘Sanctus’, which evokes some of the music of Agathe. In the ‘Agnus Dei’ Weber similarly evokes Agathe’s character by using motives associated with her. These evocations of Der Freischütz should not be taken as programmatic, but rather suggest more about the origins of the Mass, which coincide with Weber’s intensive work on the opera. Given that the two works were roughly contemporaneous, the similarity of the thematic content is not surprising, even though their purposes differed. Coming from an extremely busy time in Weber’s career, the Missa Sancta no. 1 is an excellent work which should be known better through more frequent performanc.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