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곡감상
러시아의 작곡가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Alexander Glazunov)의 The Seasons
알렉산드르 콘스탄티노비치 글라주노프 (Alexander Glazunov, 러: Александр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Глазунов, 1865년 8월 10일 ~ 1936년 3월 21일)는 러시아의 작곡가이다.

글라주노프 (Alexander Glazunov, 1865 ~ 1936)는 1865년 8월 10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음악을 배웠다.
9세부터 피아노와 음악이론을 배우고, 13세에 이미 작곡법을 익혔다.
1879년에 발라키레프로부터 천재적 재능을 높이 평가받았다. 그동안 꾸준히 작곡한 교향곡 제 1 번이 1982년 발라키레프의 지휘로 페테르부르크의 자선음악학교 연주회에서 초연되어 큰 반응을 불러 일으켰다.
이해 가을 출판업자 벨랴예프의 살롱을 중심으로 림스키코르사코프 및 그에게 배운 제 2 세대 젊은 작곡가 모임이 생기자 그는 유력한 멤버가 되었으며 뒷날 지도적 역할을 하게 된다.
1983년 예페테르부르크대학 청강생이 되어 역사문헌학 강의를 받고, 1984년에는 벨랴예프와 함께 서유럽을 여행하여 독일의 바이마르에서 리스트를 만나 그의 지휘로 제 1 교향곡을 연주하였다.
1985년 벨랴예프가 주최하는 러시아 교향악연주회가 발족되었는데, 이 제 1회 연주회에서 글라주노프는 교향시 《스텐카 라진》을 발표하여 보로딘에게 헌정했다. 1988년 러시아 교향악연주회에 지휘자로 처음 등장한 뒤 러시아 각지에서 눈부신 지휘활동을 했다.
작곡자, 지휘자 및 교육자. 부유하고 잘나가는 출판업자의 아들로 태어난 글라주노프는 아주 어릴 적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여 10대가 되기도 전에 개인 피아노 레슨과 작곡 공부를 받게 되었다. 1879년에 발라끼레프를 만난 후 그는 림스끼-꼬르사꼬프에게서의 개인적인 작곡 레슨을 받으며 날로 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1882년 겨우 그가 16세 되던 해에 상뜨 뻬쩨르부르그에서 그의 첫 교향곡이 대단한 갈채를 받으며 연주됨으로써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 곧 부유한 상인이었던 벨랴예프는 글라주노프를 자신의 휘하에 두게 되었고 그의 작품들을 출간하고 또한 연주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그의 이력을 쌓아주기 시작하였다.
글라주노프는 진보적인 벨랴예프 써클의 일원이 되어 이 후원자의 집에서 열리는 음악의 “금요일” 모임에 참석하게 되었다.
1883년에 글라주노프는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였으나 곧 그만두고 자신의 주된 관심사인 음악으로 다시 돌아가게 되었다.
1884년 벨랴예프와 함께 바이마르로 가서 리스트를 만난 후, 글라주노프는 1887년에 니꼴라이 림스끼-꼬르사꼬프와 더불어 보로진의 작품들을 편집, 완성하는데 매달렸으며, 여기에는 미완성의 오페라 ‘이고리 공’도 포함되어 있었다.
곧 글라주노프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어 파리와 런던 등에서 자신의 음악을 지휘해왔으며, 1899년에는 여러 개의 4중주곡과 시곡들, 교향곡들, 그리고 그의 세 편의 발레곡인 ‘라이몬다’, ‘사랑의 계략’ 및 ‘사계 (四季)’를 작곡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뜨 뻬쩨르부르그 음악원의 작곡 및 관현악과 교직을 내락받게 되었으며, 소요사태 중에 림스끼-꼬르사꼬프가 쫓겨남에 따라 일시적으로 동조 사직을 하였다가 1905년에는 교장이 되었다. 이 기간동안 그는 대다수의 성숙기 작품들을 썼으며, 여기에는 8번 교향곡과 바이얼린 협주곡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파리와 런던에서 계속적으로 국제적인 공연에 참가해왔으며, 1907년에는 캠브리지와 옥스퍼드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기도 하였다.
새로운 소비예뜨 정책 아래서 글라주노프의 활동 가운데는 국가적인 음악 조직에 참여하는 것과 전통적인 러시아 예술 음악을 초기 소비예뜨 음악가들에게 연결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1922년에 작곡가 데뷔 40주년을 맞아 소련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그가 음악원 교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많은 중요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혁명 후에도 음악원의 명성이 올라가도록 하였지만, 자신의 작곡 분야에서의 활동은 현저하게 줄어들어 버렸다;학교에서의 진보적 이념에 대한 그의 보수적인 대립은 있었지만, 마찰은 없었다.
그는 1928년에 소련을 떠나 맨먼저 비엔나에서의 슈베르트 탄신 100주년 행사에 참가하였고, 그런 다음에는 음악원으로 계속 복귀하지 않으면서 유럽과 미국까지 지휘를 하며 연주여행을 다녔지만, 음악원과는 계속 연락을 유지하면서 소비예뜨 음악 활동에 공헌을 해왔다. 결국 그는 파리에 정착하여 작곡을 계속하게 되었으며, 다시는 조국으로 돌아가지 않고서 1936년에 사망하였다.
글라주노프는 거의 모든 장르 (‘이고리 공’을 완성시킨 것이 그의 유일한 오페라에 대한 시도여다)에 걸쳐 작곡을 하였다. 그의 주된 영역인 교향곡과 현악 4중주곡 이외에도 그는 발레, 극 부수음악, 교향시곡, 모음곡, 서곡, 협주곡, 합창곡, 가곡, 실내악곡들과 피아노 작품들을 썼다. 하지만 그의 스승이었던 니꼴라이 림스끼-꼬르사꼬프와는 달리 글라주노프는 자신의 가르침이 이어지는 세대에 영향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인 논문 등을 남기지 않았다. 그의 생애 초기에는 러시아 국민주의 악파에 속해있었다고 하지만, 결국은 자신의 음악적 재능이 단순한 민족주의적 의미를 넘어서서 자신의 조국에 있어서의 최고의 작곡 기법과 코스모폴리탄적인 유럽의 최상의 것들을 분명하고 완벽한 러시아적인 관현악법으로 결합을 시키기에 이르렀다.
스승인 림스키코르사코프와 함께 알렉산드르 보로딘이 미완성으로 남긴 오페라 ‘이고르 공’과 교향곡 제3번 등을 보필 완성했다.
자작곡으로는 아홉 곡의 교향곡 (9번은 미완성)과 각종 협주곡, 소나타, 모음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있으나, 현재 러시아 이외의 지역에서 연주되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다.
교육자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1905년과 1917년의 혁명을 거치는 동안에도 직책을 유지하면서 쇼스타코비치를 비롯한 많은 제자들을 배출했다.
1928년 러시아를 떠나 유럽과 미국을 여행했고, 프랑스에 정착해 지휘 활동을 했다.
1936년 3월 21일 파리 시 근교에서 별세했다.
주요 작품으로 March on a Russian Theme in E Major, Op.76, Triumphal March in B Major, Op.40 등이 있다.

○ Alexander Glazunov – The Seasons
- Composer: Alexander Konstantinovich Glazunov (10 August 1865 — 21 March 1936)
- Orchestra: Minnesota Orchestra
- Conductor: Edo de Waart
- Year of recording: 1993
- The Seasons, ballet, Op. 67, written in 1899.
00:00 – 01. Prélude - Tableau I — L’Hiver (winter)
02:04 – 02. Scène de l’Hiver
03:32 – 03. Variation [I] du givre (frost)
04:24 – 04. Variation [II] de la glace (ice)
05:36 – 05. Variation [III] de la grêle (hail)
06:29 – 06. Variation [IV] de la neige (snow) 07:48 – 07. Coda - Tableau II — Le Printemps (spring)
09:21 – 08. Entrée de Printemps, Zéphyre, les Fées des fleurs, les oiseaux et les fleurs - Tableau III — L’Été (summer)
14:27 – 09. Scène de l’Été
16:44 – 10. Valse des bleuets et des pavots (Waltz of the Cornflowers and Poppies)
18:40 – 11. La Barcarolle — Entrée des naïades, le satyres et des faunes
21:09 – 12. Variation de l’Esprit du maïs
22:18 – 13. Coda Tableau IV — L’Automne (fall)
26:04 – 14. Grande bacchanale des saisons— Entrée des saisons:
27:03 – a) L’Hiver 27:45 – b) Le Printemps
28:39 – c) Bacchanale
29:01 – d) L’Été
30:29 – 15. Petit adagio
34:29 – 16. Variation du Satyre
35:22 – 17. Coda générale Apotheosis
36:55 – 18. Apothéose: La Révélation des étoiles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