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곡감상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 ~ 1897)의 교향곡 2번 라장조 Op.73 (Symphony No.2 in D Major, Op.73)
요하네스 브람스 (독: Johannes Brahms, 1833년 5월 7일 ~ 1897년 4월 3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첼리스트,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이다. 함부르크 출생으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주로 음악가 생활을 했으며, 당대 낭만주의 음악의 선도적 존재였다.

일생동안 그는 높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졌으며, 19세기 지휘자 한스 폰 뷜로에 따르면 그를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더불어 “3B”로 칭하기도 했다고 한다.
브람스는 여러 피아노곡, 실내악, 교향악, 성악, 합창곡을 작곡했다. 피아니스트로서 그는 여러 자신의 작품을 초연했으며, 비르투오조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과 함께 당대의 뛰어난 연주자였다.
브람스의 여러 작품은 현대 음악회에서도 자주 연주되는 레퍼토리이다. 완고한 완벽주의자였던 그는 수많은 자신의 작품을 없애거나 출판하지 않기도 했다.
브람스는 전통주의자이자 혁신자였다. 구조나 작곡 기법면에서 그는 바로크와 고전파 음악에 굳게 뿌리를 두고 있었다. 그는 대위법의 대가였다. 이런 구조와 함께 그는 화성과 음색에 대한 대담하고도 새로운 시도로 당대 조성 음악의 개념을 바꾸어놓았다. 그의 업적과 기예는 아르놀트 쇤베르크에서 에드워드 엘가에 이르기까지 후대 여러 음악가들의 찬탄의 대상이었다. 브람스의 작품은 결국 조성을 버리게 되는 아르놀트 쇤베르크 등 한 세대의 음악가군의 시작점이자 영감의 원천이었다.
브람스의 작품은 독일 낭만파 중에서 비교적 보수적인 경향을 갖고 있다. 그의 작품은 고전파적인 양식 위에 서서, 중후하고 북독일적인 맛을 지니며, 또한 아름다운 서정성도 갖고 있다.
그가 작곡한 4개의 교향곡은 어느 것 하나 빠짐없이 걸작으로 그 중에서 교향곡 1번은 베토벤의 제9에 이어지는 제10교향곡이라고 할 만큼 베토벤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동시에 자신의 독자적인 세계를 쌓아올린 뛰어난 작품이다.
바이올린 협주곡도 놀랄 만한 완성도에서 베토벤의 곡 다음에 놓일 만한 가치가 있다. 피아노 음악에서도 피아니스틱한 화려한 기교를 배격하고 중후한 작품을 작곡하였다. 두 개의 피아노 협주곡은, 피아노가 관현악과 밀접히 결합되어 있는 데에 특색이 있다.
독주곡에서는 <파가니니 변주곡> (1863), <헨델 변주곡> 등이 뛰어났고, 연탄용 (連彈用)인 <헝가리 무곡>은 특히 유명하다. 실내악에도 특필할 만한 작품이 많은데, <클라리넷 5중주곡>이 많이 연주되고 있다. <대학 축전 서곡>, <비극적 서곡>도 많이 알려져 있다.
그는 성악곡을 작곡하는데 있어서도 뛰어난 수완을 보였다. 200여 곡의 가곡과, 중후하고 교묘한 화성은 다소 가까이하기 어렵지만, <알토 랩소디> 등 깊은 슬픔을 담은 명작이 많다.
그리고 마지막엔 심각한 종교적인 작품 <독일 레퀴엠> (1866 ~ 1869)을 들 수 있다. 그의 암담하고 우울한 깊이가, 여기에서는 다듬어진 아름다움 속에 정화 (淨化)되고, 모든 사람을 감명시키는 숭고함에 이르고 있다.

– 교향곡 2번 라장조 Op.73
교향곡 2번 라장조 Op.73은 요하네스 브람스가 쓴 교향곡이다. 1악장의 목가적인 분위기 때문에 베토벤의 제6번 전원 교향곡에 비유하여, ‘브람스의 전원 교향곡’이라고도 한다.
.초연
1877년 12월 30일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초연은 대성공이었으며, 앙코르로 제3악장이 연주되었다
.악기 편성
브람스의 4개의 교향곡 중에 유일하게 튜바가 편성되었다.
목관악기: 플루트2, 오보에2, 클라리넷2, 바순2
금관악기: 호른4, 트럼펫2, 트롬본3, 튜바
타악기: 팀파니
현악 5부
.구성
제 1 악장 Allegro non troppo
제 2 악장 Adagio non troppo – L’istesso tempo, ma grazioso
제 3 악장 Allegretto grazioso (Quasi andantino) – Presto ma non assai – Tempo I
제 4 악장 Allegro con spirito
○ Brahms: Symphony No.2 in D Major, Op.73 (Karajan)
Allegro non troppo (00:45)
Adagio non troppo (16:05)
Allegretto grazioso (quasi andantino) (25:58)
Allegro con spirito (31:12)
Herbert von Karajan Berliner Philharmoniker 1973 Disclaimer: I do not own the copyright of this video, this video is intended for sharing purposes only, not for profit-making.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