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슨 총리, ‘중국발 외국인 여행객 호주 입국금지’ 귀국자도 2주간 자가격리
미국 등 17개국 중국에 ‘빗장’, 14일내 체류자 입국 전면 차단
한국도 검토중, 국제사회 대응과 질병관리본부·감염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할 것
미국, 싱가포르 등 전 세계 각국이 중국발 여행객의 입국을 금지키로 한 가운데 호주 정부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중국으로부터 온 외국인 여행객들의 입국을 금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는 기자회견을 통해 “오직 호주 시민과 거주자, 가족, 법정후견인 또는 배우자들만 중국으로부터 호주로 입국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귀국하는 사람들도 14일 동안 자가 격리에 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호주 외무부는 중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4단계로 올려 자국민들에게 ‘중국으로 여행가지 말 것’을 권고했다.
미국은 동부 시간 2월 2일 오후 5시(현지 시간)부터 신종 코로나 최대 잠복기간인 14일 이내 중국에 체류했던 외국인(미국 시민이나 영주권자의 직계 가족 제외)의 입국을 잠정 금지했다. 미국 내 확진 환자 8명 중 공항 검역 단계에서 의심환자로 분류된 경우는 1명에 불과할 정도로 공항 검역망을 통한 검역에 한계를 드러내자 ‘입국 금지’를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14일 이내 중국 우한이 속한 후베이성을 들렀던 미국인들도 별도의 시설에서 14일간 격리된다. 미 국방부는 최대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군용시설을 제공하기로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각국이 코로나바이러스 차단에 나서면서 중국이 점점 장벽에 갇히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도 특정 국가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막을 수 없다는 기존 방침이 조금 완화된 모양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2월 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중국발 항공기 입국 금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 “구체적으로 답할 단계는 아니며, 정부 부처 간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김 차관은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위원회가 여행이나 교역을 제한하는 것을 권고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최근 미국, 일본, 이탈리아 등에서 중국 또는 후베이성에서 오는 외국인의 입국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조치 등이 도입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WHO의 권고에 반대되는 조치들이 국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국제사회의 대응을 현재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방역상의 필요성, 위험에 대한 평가 등을 통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질병관리본부와 감염전문가 등이 의견을 수렴하고 정부 부처 간 협의를 이뤄 대응토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 국가이민관리국 등에 따르면 2월 2일 현재 71개국이 신종 코로나와 관련해 중국인의 입국금지 등 제한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조치는 4단계로 나뉜다. 미국 등 17개국이 중국인 또는 중국 체류 외국인에 대한 입국금지 및 제한, 러시아 등 9개국이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중단 및 제한, 한국 일본 등 4개국이 후베이(湖北)성 출신 중국인이나 후베이성 체류 외국인에 대한 입국금지 및 제한, 영국 프랑스 등 41개국은 체온 측정 등 건강 상황 신고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때 세계 주요 항공사들도 중국 노선 운항을 속속 중단하는 등 14억 인구의 중국 대륙과 세계를 잇는 하늘길과 국경도 좁아지고 있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