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2년 3월 20일, 미국의 노예 해방론자이자 사실주의 작가 해리엇 비처 스토 (Harriet Beecher Stowe, 1811 ~ 1896) 일명 ‘스토 부인’이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 출간
해리엇 비처 스토 (Harriet Beecher Stowe, 1811년 6월 14일 ~ 1896년 7월 1일)는 미국의 노예 해방론자이자 사실주의 작가이다. 스토 부인이라고도 부른다.
노예 제도에 반대하는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1852년 3월 20일 출간했다. 이 소설은 도망 노예법이 세워졌을 때에 중서부, 뉴잉글랜드와 남부에서의 노예 제도 논쟁을 분석하고 있다. 책은 남북 전쟁을 이끈 남부와 북부 사이의 의견 대립을 심화시켰다. 스토는 남부에서 미움을 받았다.

– 해리엇 비처 스토 (Harriet Elisabeth Beecher Stowe)
.출생: 1811년 6월 14일, 미국 코네티컷 리치필드
.사망: 1896년 7월 1일, 미국 코네티컷 하트퍼드
.자녀: 찰스 에드워드 스토우, 지오르지안나 메이, 헨리 엘리스, 사무엘 찰스, 해리엇 비처
.학력: Hartford Female Seminary, Lane Theological Seminary참여
.대표작: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 (1852)
.형제자매: 캐서린 비처, 헨리 워드 비처, 이사벨라 비처 후커, 제임스 채플린 비처, 에드워드 비처
해리엇 비처 스토 (Harriet Elisabeth Beecher Stowe)는 41살에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을 발간, 놀라운 성공과 반향을 일으켰다.
이 소설은 즉각 논쟁을 일으켜 남북전쟁이 일어나는 데 영향을 미쳤고 남부 사람들은 스토를 증오했다.
흑인들에게 희망의 빛을 던져져 흑인의 어머니로 불렸고, 영국의 노예제 폐지론자들에게도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스토는 뉴잉글랜드 청교도 출신을 전형적으로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그의 아버지, 형제, 남편 모두 이름 있고 학식 있는 프로테스탄트 성직자 및 개혁가였다.

○ 생애 및 활동
1811년 미국 코네티컷주 리치필드의 유명한 장로교목사이자 노예찬성론자인 리만 비처의 11남매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해리엇이 5살 때 어머니였던 록산나 비처가 세상을 떠나 어머니의 사랑에 목말랐던 그녀는 노예라는 이유 때문에 강제로 엄마와 헤어져야 하는 흑인 소년소녀들에게 더 깊은 연민과 동정을 품게 되었다고 한다. 이는 노예제 반대론자들에게 소총을 보내서 겁박한 일로 ‘비처의 소총’이라는 말의 어원이 된 아버지 리만 비처와는 대조되는 모습이었다. 켄터키주에 여행했을 때 흑인 노예들의 불쌍한 생활상을 보고 노예 폐지 운동에 정열을 쏟았다.
신학을 공부한 해리엇은 언니인 캐서린과 초등학교를 열고 선생으로서 재직하기도 했는데, 그녀가 처음으로 쓴 아동용 지리서는 1833년 언니 캐서린의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1832년부터 1850년까지 아버지가 레인 신학교의 교장으로 지내던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서 살았다.
1836년에 해리엇은 신학교 교수였던 캘빈 스토와 결혼하여 슬하에 7자녀를 두었다. 스토는 강의를 위해 유럽을 여행하기도 했다. 웅진출판에서 펴낸 전집인 웅진위인전기 세계편 ‘앙리 뒤낭’에 따르면, 스위스에서 강의할 때는 당시 청년이던 앙리 뒤낭을 만나기도 했다.
1852년에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발표하여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이 소설은 선량한 노예와 포악한 백인을 대조시켜 노예 제도의 실태를 낱낱이 폭로하였는데, 이것은 남북 전쟁이 일어난 한 요인으로서도 큰 의의를 갖는다. 그녀는 흑인들에게 희망의 빛을 던져준 ‘흑인의 어머니’로 불렸다. 그 밖의 작품에 ‘마을 사람들’이 있다.
영국을 방문하였을 때, 영국의 노예 폐지론자들로 부터 큰 환영을 받았다. 1896년 7월 1일, 85세의 나이로 하트퍼드에서 사망하였다.

- 일화
스토가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 에이브러햄 링컨은 “이 작은 여성이 그렇게 큰 전쟁을 촉발시킨 책을 쓴 분인가요”라고 말했다.
○ 작품
톰 아저씨의 오두막 (Uncle Tom’s Cabin, 1851년-1852년)
드레드 (Dred, 1856년)
목사의 구혼 (The Minister’s Wooing, 1859년)
오르 섬의 진주 (The Pearl of Orr’s Island, 1862년)
올드 타운 사람들 (Old Town Folks, 1896년)
샘 로슨의 옛동네 난로가 이야기 (Sam Lawson’s Oldtown Fireside Stories, 1872년)
바이런 여사가 입증하다 (Lady Byron Vindicated, 1870년), 조지 고든 바이런의 부인이 남편과 헤어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 스토의 기사는 바이런의 부인이 1856년에 그녀와 대화했을 때를 담고 있다.

○ 부록 :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은 미국의 사실주의 작가이자 노예제 반대자인 해리엇 비처 스토(1811 ~ 1896)가 1852년에 발표한 대표작이다.
– 목차
1장 인정 있는 인간
2장 이라이저와 조지
3장 톰 아저씨
4장 결정의 시간
5장 발견
6장 일라이저의 도망
7장 인간적인 정치가
8장 톰의 마지막 날 아침
9장 노예 시장
10장 퀘이커 교도
11장 에반젤린
12장 톰의 새 주인
13장 남부 여주인의 생각
14장 자유를 위한 투쟁
15장 세인트 클레어 저택에서의 생활
16장 꽃이 시들다
17장 죽음
18장 희망의 죽음
19장 보호받지 못한 자
20장 다시 팔려 가다
21장 어두운 곳
22장 목화밭
23장 캐시
24장 계획
25장 영웅
26장 젊은 방문자
27장 재회
28장 클로에의 슬픔
– 줄거리
켄터키주 (州)의 지주 셸비 부부는 노예들에게는 마음씨 좋은 인물들이었다. 하지만, 셸비는 사업에 실패하고 막대한 빚을 져 농장을 빼앗길 위기에 처하자, 어쩔 수 없이 자신에게 충실하였던 노예 톰과, 혼혈 노예 엘리저의 다섯 살난 아들 해리를 노예상인에게 판다. 아들 해리와 헤어질 것을 알게 된 엘리저는 해리와 함께 도망치고, 해리의 아버지인 조지 해리스를 만나 평화주의 교회인 퀘이커공동체의 도움으로 무사히 캐나다에 당도한다. 한편 톰은 팔려가는 도중, 배가 강을 따라 내려갈 때, 같은 배의 승객인 에바의 생명을 구한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그녀의 아버지 오거스틴 생클레어에게 팔려가고, 그곳에서 한동안 행복하게 지낸다. 그러나 에바와 오거스틴이 사망하고 냉혹한 시몬 레글리에게 다시 팔려가서 레글리의 목화밭에서 심한 학대를 받는다. 톰은 레글리의 다른 노예인 캐시와 에믈린의 탈출을 도와주고 그로 인해 레글리로부터 죽임을 당한다. 톰이 죽기 직전 톰의 원래 주인인 셸비 부부의 아들 조지는 톰을 다시 사들이려고 찾아오지만, 톰은 결국 사망한다. 조지는 켄터키 본가로 돌아가 노예들에게 톰의 희생에 대해 알리고, 모든 노예를 풀어준다.
– 등장인물
.톰 : 흑인 노예. 정직하고 성실하며 신앙심이 깊다. 셸비 부부, 오거스틴, 에바에게 신임을 받지만 마지막 주인이 된 레글리에게 모진 학대를 당해 되찾으러 온 옛 주인 아들 조지의 눈 앞에서 사망하고 만다.
.셸비 부부 : 톰의 첫 번째 주인. 마음이 착하고 성실하며 노예를 자유민처럼 대해주지만, 사업 실패로 어쩔 수 없이 톰을 팔게 된다.
.조지 셸비 : 셸비 부부의 아들. 노예를 차별하지 않으며 톰이 팔리자, 매우 슬퍼한다. 성인이 된 뒤에는 톰을 데려오려 찾아 나섰다가 그의 비참한 죽음을 보게 된다. 결국 고향으로 돌아와 노예들을 해방시킨다.
.에바 세인트클레어 : 오거스틴의 딸로, 마음씨가 착하고 귀엽다. 모든 노예들에게 친절하고 노예들의 불행을 가슴 아파하며 톰을 좋아한다. 몸이 약해 어린 나이에 사망한다.
.오거스틴 세인트클레어 : 톰의 두 번째 주인이자 에바의 아버지. 뉴올리언스의 부자 신사로 너그럽고 인자하다. 톰을 무척 신임하여 자유를 주려고 약속하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약속을 지키지 못한다.
.일라이저 : 셸비 부인이 아끼는 혼혈 노예. 조지 해리스와 결혼하여 해리를 낳지만 셸비 부부가 해리를 판 사실을 알고는 밤중에 해리를 데리고 도망친다.
.사이먼 레글리 : 톰의 마지막 주인. 북부 출신으로 성격이 냉혹하며 노예를 짐승 취급한다. 성실하고 신앙심 깊은 톰을 미워하여 온갖 학대를 일삼는다. 결국 톰이 사망하고 나서는 톰과 다른 노예들의 유령들에 시달리면서 폐인이 된다.
.조지 해리스 : 혼혈 노예로 엘리저의 남편. 매우 똑똑하며 잘생겼다. 비침한 노예 생활을 못 견뎌 자유를 찾아 도망을 치면서 노예상인의 패거리들과 맞서 싸우고, 가족들하고 다시 만나 캐나다로 떠난다.
–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 내용
노예인 주인공 톰 아저씨는 친절한 주인 세인트 클레어를 개종시키려 노력하고, 그가 죽었을 때 주인을 위해 기도하며, 여성 노예들을 보호하려다 살해당하는 진정한 기독교적인 순교자이다. 노예 제도는 정치적이거나 철학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가족들을 강제로 헤어지게 하고 정상적인 부모의 사랑을 파괴하며 내재적으로 비기독교적이기 때문에 사악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 책에서 가장 감상적인 장면은 고통받고 있는 여성 노예가 울부짖는 자신의 아이를 도와주지 못하는 장면과 아이의 아버지가 가족과 떨어져 팔려가는 장면이다. 이는 신성한 가족간의 사랑에 대한 범죄 행위였다.
선한 노예 엉클 톰은 친절한 주인 밑에서 평생을 살았으나, 주인의 경제적 사정 때문에 팔려가게 된다. 엉클 톰은 도망을 거부하고, 참혹한 죽음을 맞을 때까지 기독교의 자비와 용서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는다.
비록 “엉클 톰”은 백인의 압제에 순응하는 흑인을 뜻하는 속어가 되었지만, 스토우에게 있어서 톰은 기독교적 덕목을 상징한다. 마치 그리스도처럼 죽어간 그의 최후를 통해 작가는 그를 이 소설의 가장 위대한 도덕적 모범으로 삼았다. 이 책은 노예들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생생하게 묘사한 것 외에도, 노예제도가 백인 노예주들의 인간성과 도덕성을 얼마나 망가뜨리는지 강조하였다. 인종을 막론하고 강인한 여성상을 보여준 것은, 여성들 역시 노예제도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각인시키기 위함이었다.
– 평가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19세기 가장 인기 있었던 미국 서적이다. 잡지 ‘내셔널 에라’ (National Era)에 처음 연재되었던 이 소설은 발표와 동시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영국에서만 40개 출판사에서 이 소설을 인쇄했으며, 이내 20개 국어로 번역되었고, 프랑스의 조르주 상드, 독일의 하인리히 하이네, 러시아의 이반 투르게네프 등의 작가들로부터 격찬을 받았다. 스토가 작품에서 표현한 미국 노예 제도 폐지에 대한 열정적인 호소는 10년이 채 지나기 전에 미국 남북전쟁 (1861 ~ 1865)의 단초가 된 논쟁에 불씨를 댕겼다. 이 소설은 노예제에 대한 깊은 반감과 반노예제 행동주의를 불러일으킴으로써 뒤이어 일어난 남북전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미국 소설로는 처음으로 밀리언셀러가 된 만큼, 문학사상 크나큰 영향력을 가진 작품이다. 시인 랭스턴 휴즈는 이 소설을 두고 “미국 최초의 저항 소설”이라고 불렀다.
이 소설은 노예제의 비참함을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어 노예제 반대론자와 찬성론자간의 평가가 극단적으로 갈려졌다. 반대론자들은 노예제의 비인간성을 고발하는 소재가 되었고, 찬성론자들에게는 “편견으로 가득찬 책”이었던 것이다. 폭력에 반대하다가 악마같은 노예주 레글리에게 구타당한 톰이 “비록 나의 몸은 당신에게 팔려 왔지만, 내 영혼만은 하느님의 것입니다.”라고 외친 선언은 노예제에 대한 반대하는 작품의 성격을 잘 설명해준다. 미국 소설로는 처음으로 밀리언셀러가 된 책이다. 시인 랭스턴 휴즈는 이 소설을 두고 ‘미국 최초의 저항 소설’이라고 불렀다. ‘National Era’라는 잡지에 처음으로 연재되었던 첫 장편 소설이며, 1850년에 발표된 도망 노예 단속 법안과 노예 제도에 대한 반발로 쓰여졌다. 해리엇은 아이들을 모두 재운 뒤 밤마다 이 소설의 집필에 매달렸다고 한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