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2월 7일, 미국의 역사학자 · 사회학자 카를 C. 짐머만 (Carle C. Zimmerman, 1897 ~ 1983) 별세
카를 C. 짐머만 (Carle C. Zimmerman, 1897년 4월 10일 ~ 1983년 2월 7일)은 미국의 사회학자이다.
짐머만은 모든 문명이 붕괴되기 직전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11가지로 지적했다.
그리고 1947년에 낸 ‘가족과 문명’ (Family and Civilization)이라는 그의 책에 현대사회에서 가정, 가족의 삶이 붕괴가 되는 원인을 8가지로 들었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짐머만.jpg)
– 카를 C. 짐머만 (Carle C. Zimmerman)
.출생: 1897년 4월 10일, 미국 캐스군
.사망: 1983년 2월 7일 (85세)
.국적: 미국
.직업: 사회학자
.배우자: 메들린 안드리스트
.소속 회사: 하버드 대학교
.저서: Family and Civilization, Principles of Rural-urban Sociology
.학력: 미네소타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주 주립대학, 미주리 대학
역사학자이고 사회학자인 카를 짐머만 (Carle C. Zimmerman)은 1897년 4월 10일, 미국 캐스군에서 출생했다.
짐머만 박사는 모든 문명이 붕괴되기 직전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11가지로 지적했다.
그 중 가정과 관계된 것을 열거해보면 이혼의 급증, 자녀수의 감소, 부모멸시 현상, 결혼식 의미의 상실, 간음규정의 폐지, 자녀 양육의 어려움, 청소년 비행의 급속한 파급, 각종 성도착의 보편화 등 여덟 가지다.
이러한 병리현상에 대하여 현대 지성들은 수많은 처방들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 외침들은 광야의 메아리가 되어 문명의 뒤안길로 사라져 가고 있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짐머만-저서-가족과-문명.jpg)
1947년에 낸 ‘가족과 문명’ (Family and Civilization)이라는 그의 책에 현대사회에서 가정, 가족의 삶이 붕괴가 되는 원인을 8가지로 들었다.
1) 결혼의 성스러움이 상실되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종종 이혼으로 나타나고 있다.
2)결혼예식의 전통적인 의미가 상실되었다.
3)현대사회의 여성운동의 왕성한 활동, 증가를 꼽고 있다.
4)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 공공연하게 부모와 일반적인 권위에 대해서 경멸이 증가한다.
5)청소년들의 탈선과 반항
6)현대인들이 전통적인 결혼과 함께 가족 구성원들이 각각 자기의 책임을 거부한다.
7)간통
8)성에 대한 왜곡과 함께 성적범죄의 증가
카를 짐머만 (Carle C. Zimmerman)은 1983년 2월 7일에 85세로 별세했다.
– Bibliography
Marriage and the Family: A Text for Moderns, 1956
Family and Civilization (with Lucius F. Cervantes), 1947, A review of family structure throughout human history.
Rural Families on Relief (with Nathan Whetten), 1939
The Changing Community, 1938
Family and Society: A Study of the Sociology of Reconstruction (with Merle E. Frampton), 1937
Consumption and Standards of Living, 1936
Siam Rural Economic Survey 1930-31, 1932
Principles of Rural-Urban Sociology (1929, with Pitirim Sorokin) New York : H. Holt. Preface: “a summary of Source book in rural sociology,” in three volumes, prepared under the auspices of the U.S. Dept. of Agriculture and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o be published in 1930 or 1931″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짐머만-1.jpg)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짐머만과-문명연구가들.jpg)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