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하 칼럼
조건반사론
러시아의 과학자, 파브로프[Ivan Petrovich Pavlov- 1849 – 1936]를 기억한다. 그는 개가 음식을 먹고 있을 때 마다, 반복 하여 종을 쳐주면 음식을 주지 않고 종만 쳐도 침을 흘리는 것에 주목하고 실험을 계속하여 “조건반사”라는 학설을 확립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로 그는 1904년 러시아인으로는 최초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그 후 그의 “조건반사”론은 과학계는 물론 교육, 사회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그의 이론이 인용되고 있다. 동물의 행동에는, 선천적 행동인 주성[走性], 반사, 본능이 있고, 후천적 행동인 학습이 있다. 주성은 외계의 자극에 대하여 몸 전체가 이동하게 되는 단순한 행동이다. 나방이 불빛에 모여든다든가, 파리가 냄새 나는 곳에 날아 오는 것 등이 주성에 의한 행동이다. 주성[走性]보다 한 단계 위가 반사이며 조건반사와 무조건반사로 나눈다.
파브로프는 반사가 일어나는 mechanism을 밝혀낸 것이다. 무조건반사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음식이 입에 들어 갔을 때 침이 나온다든가 망치로 무릎을 자극했을 때 무의식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행동 같은 것이다. 음식이라는 조건이 신경계를 자극해서 침이 나오는 반사작용이 나타난 것이며 무의식 상태에서의 자동 반응이다. 침샘분비와 관계 없는 종소리 자극이 침샘분비 반사신경에 연결 되여 반응이 일어 나는 것이지만 영속적인 것은 아니며 중지 하거나 혼란을 주면 더 이상 반사작용은 일어 나지 않는다.. 인간의 행동에도 무의식 속에서 조건반사에 의한 행동은 끈임 없이 일어나고 있다. 맛있는 음식 이야기만 하여도 입에 침이 고이는 현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조건반사는 인간의 신경생리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현상에도 조건반사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처음에는 서툴고 어색하다가 익숙해져 가는 것 등이 조건반사 행동이다.
파브로프의 조건반사이론을 왓슨[(John Broadus Watson 1878~1958)]은 한 단계 높여서 실험을 한다. 그는 9개월된 건강한 아기에게 실험용 흰쥐를 보여주며 아이가 흰쥐를 만지려고 할 때 막대기로 벼락치는 것 같은 큰 소리를 내게 하였다. 이것을 몇 번 반복 한 후 흰쥐만 보여 줘도 놀라고 울며 공포감을 갖게 만든 것이다. 아이에게 흰쥐 공포감을 갖게 한 것은 일종의 학습이라는 것이다. 조건반사론 은 왓슨, 손다이크 (Edward Thorndike :1874~1949),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1904~ 1990년 8 )등의 심화된 연구로 유기체가 미래의 사건을 어떻게 예상 하고 인간의 학습에서 언어와 관련된 신호체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게 하였고 이를 행동주의 학습이론으로 발전 시켰다. 조작적인 조건을 마련해서 아동들에게 바람직한 결과에 대하여 보상하고 결과가 나쁘면 적절한 처벌을 함으로서 행동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인간의 경우 단순한 자극에 반응하기 보다 고도의 지능을 동원해서 행동을 결정하게 되기 때문에 조건반사가 용이한 것은 아니다.
반두라[Albert Bandura 1925.12.4- ]는 사회적 학습이론을 제기한다. 사회적 학습이론이란 보상과 강화에 바탕을 둔 것이지만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들의 행동을 관찰만 하여도 이를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고 주장 하는 것이다. 아동이 직접적인 강화를 받지 않더라고 다른 아동의 보상이나 벌을 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강화를 받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반두라에 의하면 관찰학습은 주의집중 과정, 기억과정, 운동 재생 과정, 동기 과정 등 네가지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주의집중 자체가 선택적 지각이라 관찰자가 흥미를 갖는, 의미 있다고 여기는 것을 관찰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보고 싶은 것만 보려고 하는 속성이 있기에 자기가 좋아하는 모델을 갖게 마련이며 모델자극이 일반적이고, 단순하고, 독특하고, 기이한 행동적 사람 일 수록 주의집중도가 높아 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비슷하고, 강력하고, 매력적이고, 모델의 성과 연령이 관찰자와 비슷하면 인기가 높고 능력이 있어 다른 사람에게 존경을 받는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을 모방하려는 심리가 있다는 것이며 대중매체는 이를 집중 공략하는 전술이라는 것이다.
각종 상업성 광고가 철저하게 이와 같은 심리적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며 정치선전도 마찬가지다. 교활한 권력자들은 가장 원초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인 조건반사 원리를 이용 하여 왔다. “가는 말이 험악해야 오는 말이 곱다’ “북어와 ++는 두들겨 패야 맛이 난다” 라는 가치[價値]를 전도[轉倒]시킨 풍자[諷刺]어가 있다. 이런 비속어가 맞는 것 아닌가 하는 의아심을 갖게 하는 현상이 주변에서 일어 나고 있다. 싸우는 사람 들이 좀 더 목소리를 높이려고 안간힘을 쓴다. 얼마나 욱박지르며 훈련 시켰으면 북한의 군중대회 에서, 여성들이 눈물까지 흘려 가며 열광 할 수 있는가? 몸짓으로는 열광 할 수 있지만 눈물 흘리는 것은 훈련되지 않은 사람은 할 수 없는 행동이다. 고전적조건반사론에 사회적 학습이론까지 곁들여서 철저하게 대중을 학습시킨 결과이다.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들에게 칭찬과 벌로 학생을 다스리는 것도 조건반사의 원리다.
조건반사의 행동이 지속되면 무조건반사로 전이도 되고 인간의 경우 습관으로 굳어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등 동물일 수록 무조건반사로 전이 되기는 쉽지 않으며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인간의 후천적 행동이 습관으로 굳어 지는 것은 조건반사의 생체기능에 연유[緣由]하는 것이지만 고도화된 지능은 이를 알아 차리고 조건형성을 거부 할 수 있기에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 하였듯이 언어와 관련된 신호체계가 조건반사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몇 개의 용어로도 계속적인 자극을 하면 조건반사가 형성 되게 되고 일정한 stereotype[고정관념]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파브로프나 왓슨, 손다이크, 스키너, 반두라 등 의 학자들은 학습이론으로 제기한 논리이지만 일부 정치집단은 대중들을 그들의 추종집단으로 만드는데 악용 하고 있는 것이다. “기아” “고문” “감시” “++세력” “경제” “친+” “간첩” 등은 실체가 불분명한 폭력적이기도 한 언어들로 지속적인 자극을 하면 이들 언어와 연관된 관념이 형성 되면서 신념으로 굳어 지게 되는 것이다.
지능이 우수한 지식인들은 알아차리고 자기 성찰을 하며 진실의 균형을 유지해 갈 수 있지만 대부분의 대중들은 음모자들의 전술에 놀아 나게 되는 것이다. 민도[民度]가 낮은 국가와 사회일수록 사회적 조건학습의 술책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실체 없이 난무[亂舞]하는 언어 자극에 조건반사가 형성되고, 고정관념의 우리 속에 갇혀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돌아보는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광하 (전 여주 대신고 교감, 전 수원 계명고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