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딕도회 (Ordo Sancti Benedicti, OSB)
성 베네딕도회 (라: Ordo Sancti Benedicti, OSB)는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의 수도회 (Ordines monastici)이다. 529년에 누르시아의 베네딕토가 몬테카시노에서 창건하였으며, 그가 수도원 생활의 규범으로 세운 계율 (베네딕도 규칙서)을 따르는 남녀 수도회들의 연합체를 일컫는다. 모토는 ‘평화’ (라: pax)와 ‘기도하고 일하라’ (라: ora et labora)이다. 이름을 한자로 음차하여 분도회 (芬道會)라고 부르기도 했다.

○ 성 베네딕도 규칙서 (The Rule of St. Benedict)
성 베네딕도 규칙서 (The Rule of St. Benedict)는 기독교에서 수도회의 수도사들을 위해 6세기경에 작성된 계율을 기록한 규칙서이다. 7세기부터는 여성 수도회 (수녀회)에도 받아들여졌다. 성 베네딕도 규칙서의 정신은 베네딕도 연합의 모토에 집약된다. “평화” (peace, 라: pax)와 “기도하고 일하라” (pray and work, 라: ora et labora).
이 규칙은 15세기가 넘게 사용되어 왔으며, 서방 수도회의 근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베네딕도는 선배 수도자들의 시행착오를 종합하여 중용을 갖춘 《수도규칙》을 저술했으며, 이는 12세기까지 서방의 수도규칙을 거의 통일하다시피 했고 이후에도 수도생활의 기초가 되었다. 1000년 넘게 이어가고 다른 수도회에도 중요 참고서가 되어줄 중용의 규칙을 입법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를 고려한다면, 베네딕도 수도규칙의 위대함을 어느정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베네딕도회는 브리타니아와 북유럽의 게르만족 대상 선교 과업을 수행함으로써, 신흥 민족들을 그리스도교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이 수도회는 정주 서원을 하고 소속 수도자는 수도승이라고 불린다. 여자는 수녀승. 그러나 활동수녀회는 베네딕토 규칙서를 사용하더라도 수녀승이 아닌 수녀라고 불린다. 기본적으로 베네딕토회는 정주와 봉쇄가 기본이지만 연합회의 성격에 따라 변화된 곳도 있다.
“베네딕도는 오늘날 ‘서방의 아버지’라는 유일무이한 경칭을 얻었다. 실제로 서방의 그리스도교는 베네딕도 수도제도의 형성 없이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역사적으로 발전하였다. … 베네딕도는 (교육에 적대적이었던 이전의 수도원 생활방식과 달리) 완전한 수도제도를 위해 학문과 지적 활동을 강조하면서 규칙서 안에 이러한 내용을 실었다.
…… 베네딕도의 수도규칙서가 가장 성공적인 수도서가 된 반면,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서와 이전의 다른 수도서들이 그렇지 못한 근본 이유는 베네딕도 수도서처럼 인간에 대한 깊은 깨달음, 비판적으로 숙고된 체험, 여기서 귀착되는 적절한 균형, 동시대적 적응력을 바탕으로 삼지 않았기 때문이다.” _ Hubertus R. Drobner 지음, 하성수 번역, ‘교부학’ Lehrbuch der Patrologie 633-637쪽.
“1964년 10월 24일 교황 바오로 6세는 성 베네딕도를 ‘구라파의 주보’ (Patronus Europae)로 선포하고 7월 11일을 그 축일로 제정하였다. 이보다 앞서 성 베네딕도는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 그리고 ‘기술자와 건축가와 개간자들의 주보’로 불리고 있다. 그에게 붙여진 이러한 여러가지 명칭은 그의 생애에도 근거하지만 특히 그의 규칙서를 지키며 그를 사부로 모시는 후대의 제자들이 역사 안에 이루어놓은 업적에 근거하고 있다. 로마제국의 문화가 야만족의 침입으로 인해 붕괴되고 와해되는 혼란한 시기에 ‘기도하고 일하는’ (Ora et labora) 베네딕도 수도자들이 문화 유산을 보존하였으며, 정치적인 안정을 되찾은 구라파에 문화를 발전시키고 꽃피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의 규칙서는 12세기까지 서방교회의 대부분의 수도원들에서 지켜졌으며, 그후에도 서방교회의 수도생활의 기초가 되었던 것이다.” _ 이형우 번역, ‘베네딕도 수도규칙’ 해제, 20쪽

○ 구조
성 베네딕도회는 통일된 하나의 수도회가 아니며, 각 수도원들이 하나의 수도회를 이루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베네딕도회가 존재한다기보다는 베네딕도 규칙서를 지키는 수도원들이 존재한다는 표현이 더 맞다고 볼 수 있다.
비록 베네딕도회 총연합 (라: Confederatio Benedictina)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는 예수회나 프란체스코회 등과 같이 막강한 권위와 권한을 지닌 중앙집권적인 기구가 아니다.
베네딕도회 소속 수도원들은 서로 종속 관계에 있지 않고 인사나 경제 문제에 있어서 외부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고 독자적인 운영을 하는 자치 수도원 (라: monasterium)들이다.
베네딕도회는 자치 수도원들의 연합 형태인 19개의 연합회 (라: Congregatio)와 어떤 연합회에도 속하지 않은 자치 수도원과 예속 수도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합회들과 수도원들은 하나의 베네딕도회 총연합 (라: Confoederatio Congregationum Monasticarum Ordinis Sancti Benedicti)을 이루고 있다. 성 베네딕토회 총연합을 대표하는 수석 아빠스 (라: Abbas primas)가 있고 또 각 연합회마다 그 연합회를 대표하는 연합회 총재 (Abbot President) 혹은 총아빠스 (라: Archiabbas)가 있다. 그리고 각 자치 수도원을 대표하는 아빠스와 원장들이 있다.
마지막으로 베네딕도회 총연합 안에 전 세계 수도회원들의 양성과 학문 연구를 위해 1888년에 설립된 로마의 성 안셀모 대학교가 있다.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라: Congregatio Ottili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와 같이 보통 성 베네딕도회 다음에 연합회의 이름을 표시함으로써 전 세계에 산재해 있는 베네딕도회를 구별하고 있다.
- 베네딕도회 총연합
베네딕도회는 중앙직권적인 구조가 아니라 19개의 연합회들이 모여 베네딕도회 총연합을 이룬다. 총연합의 중심 수도원은 로마의 아벤띠노 언덕 위에 위치한 성 안셀모 수도원이며, 이곳에 전세계 베네딕도회를 대표하는 수석 아빠스가 상주하고 있다. 수석 아빠스의 임기는 8년이며, 그후 4년 임기로 재선될 수 있다. 매 4년마다 전세계에 흩어진 아빠스들의 총회가 이곳에서 열리며, 가장 최근에 열린 총회는 2012년이었다.

- 베네딕도회 연합회
베네딕도회 총연합은 아래와 같이 19개의 연합회들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기준). 베네딕도회 총연합에는 340개 아빠스좌 수도원 및 원장좌 자치 수도원이 있으며, 7236명 (성직자 3777명)의 수도자가 소속되어 있다. 아래에 언급된 베네딕도회 연합회들에 가입되어 있지는 않지만 베네딕도회 총연합에 속한 직속 수도원은 11개가 있으며, 171명의 수도자 (성직자 94명)가 있다. 시토회 수도원들과 엄률 시토회 (트라피스트) 수도원들은 성 베네딕도의 수도규칙을 기반으로 하지만, 베네딕도회 총연합에 속해 있지 않고, 각각 고유한 연합회를 구성하고 있다.
영국 연합회 (Congregatio Angliae), 1336년 설립, 12개 수도원, 회원수 284명(성직자 221명), 총원 소재지: 영국
헝가리 연합회 (Congregatio Hungarica), 1500년 설립, 9개 수도원, 회원수 96명(성직자 73명), 총원 소재지: 헝가리
스위스 연합회 (Congregatio Helvetica), 1602년 설립, 7개 수도원, 회원수 193명(성직자 134명), 총원 소재지: 스위스
오스트리아 연합회 (Congregatio Austriaca ab Immaculata Conceptione), 1625년 설립, 1930년 재결성, 14개 수도원, 회원수 306명(성직자 242명), 총원 소재지: 오스트리아
바바리아 연합회 (Congregatio Bavarica), 1684년 설립, 1858년 재설립, 11개 수도원, 회원수 215명(성직자 121명), 총원 소재지: 독일
브라질 연합회 (Congregatio Brasiliensis), 1827년 설립, 7개 수도원, 회원수 175명(성직자 82명), 총원 소재지: 브라질
솔렘 연합회 (Congregatio Solesmensis), 1837년 설립, 24개 수도원, 회원수 654명(성직자 364명), 총원 소재지: 프랑스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Congregatio Americana Casinensis), 1855년 설립, 20개 수도원, 회원수 777명(성직자 477명), 총원 소재지: 미국
수비아코-까시노 연합회 (Congregatio Sublacensis Casinensis), 수비아코 연합회- 1872년 설립; 카시노 연합회 (Congregatio Casinensis)- 1408년 설립, – 2013년 7월 16일 카시오 연합회와 수비아코 연합회가 합병하여 한 연합회를 이루었다; 80개 수도원, 회원수 1368명(성직자 558명), 총원 소재지: 이탈리아
보이론 연합회 (Congregatio Beuronensis S. Martini), 1868년 설립, 9개 수도원, 회원수 220명(성직자 114명), 총원 소재지: 독일
스위스 아메리카 연합회 (Congregatio Helveto-americana), 1881년 설립, 19개 수도원, 회원수 517명(성직자 285명) , 총원 소재지: 미국
상트 오틸리엔 연합회 (Congregatio Ottiliensis), 1884년 설립, 24개 수도원, 회원수 1045명(성직자 349명), 총원 소재지: 독일;[4]
성모 영보 연합회 (Congregatio ab Annuntiatione B.M.V.), 1920년 설립, 25개 수도원, 회원수 622명(성직자 311명), 총원 소재지: 독일
슬라브 연합회 (Congregatio Slava S. Adalberti et S. Margaritae), 1945년 설립, 1개 수도원, 회원수 12명(성직자 8명), 총원 소재지: 체코
올리베따노 연합회 (Congregatio Sanctae Mariae Montis Oliveti), 1313년 설립, 25개 수도원, 회원수 255명(성직자 143명), 총원 소재지: 이탈리아
발롬브로사 연합회 (Congregatio Vallis Umbrosae), 1039년 설립, 9개 수도원, 회원수 75명(성직자 47명) – 1966년 베네딕도회 총연합에 가입, 총원 소재지: 이탈리아
까말돌리 연합회 (Congregatio Camaldulensis), 980년 설립, 11개 수도원, 회원수 100명(성직자 57명), 총원 소재지: 이탈리아
실베스트로 연합회 (Congregatio Silvestrina), 1231년 설립, 23개 수도원, 회원수 218명(성직자 144명) – 1973년 베네딕도회 총연합에 가입, 총원 소재지: 이탈리아
꼬노 수르의 성 십자가 연합회 (Congregatio Coni Australi de Sancta Cruce), 1970년 설립, 10개 수도원, 회원수 104명(성직자 47명), 총원 소재지: 아르헨티나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