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미진 박사의 특별기고
함께 지내기 힘든 성격들 (Difficult personalities)
살아가다 보면 우리는 아주 어려운 성격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 중에는 매사에 부정적이어서 힘든 사람도 있고 요구를 너무 많이 해서 힘든 사람도 있습니다. 그 중 화를 잘 내는 사람과 같은 경우는 눈에 너무 잘 드러나서 금방 알아차리게 되지만 소시오패스처럼 전략적으로 사람을 위험에 빠뜨리게 하는 경우는 당하고 나서 나중에 알아 차리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는 결혼 전에는 몰랐다가 결혼을 해 보니 배우자가 성격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함께 지내는 것이 많이 버거운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렇게 성격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다루기 어려운 사람도 있지만 나랑은 성격이 너무 맞지 않아서 이해가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일반적으로 성격이 상반되어서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극 외향이어서 늘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거기에서 활력을 얻는 반면 한 사람은 극 내향이어서 혼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을 많이 만나면 스트레스를 잘 받을 때 두 사람은 서로를 이해하는 것도 어렵고 시간을 같이 보내는 것도 쉽지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얼마 전 아는 지인이 여행을 친구들과 함께 갔는데 여행이 너무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자신은 모든 것을 미리 계획해서 해야 하는 사람인데 함께간 사람들은 아무도 그런 사람이 없어서 결국 자신이 모든 일을 오거나이즈를 해야 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나와는 너무 달라서 힘들거나 또는 어린 시절 상처로 인해서 성격이 심하게 왜곡되어 있는 사람과 지내는 것이 힘들고 괴로울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함께 지내기 힘든 성격들 (Difficult personalities)’에서는 그것에 대한 답을 제공합니다. 책 제목처럼 함께 잘 지내기 어려운 성격들에 대해서도 설명하면서 힘든 부분을 잘 보완하면서 대처할 수 있는 전략들을 다양하게 알려줍니다. 그 중에 관계하기 힘든 사람들로 인해 힘들고 괴로운 상황이 있을 때 선택할 수 있는 네 가지가 필자의 눈에 띄었습니다. 첫 글자를 따라 CAST로 표현할 수 있는데 변화, 수용, 머물며 괴로와 하기 그리고 떠나기 등을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변화 (Change)로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고 상황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얼마전 우연히 지하 작은 방 두개에 9명이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의 이야기를 보았는데 한 건축가의 도움으로 집이 고쳐지면서 모든 가족이 살만한 환경이 되자 아이들의 건강이나 생활의 만족도가 훨씬 좋아진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외적인 상황을 고치는 것이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유의해야 하는 것은 우리는 타인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어라’ 라고 말하는 것은 외적인 환경 보다는 내 자신의 행동과 생각에 대한 변화를 먼저 시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의 행동과 생각을 본다면 생각을 바꾸는 것이 더 쉽기에 평소에 나의 생각을 관찰해 보고 인지 행동 치료( Cognitive behaviour therapy)와 같은 것을 통해 나의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생각들을 긍정적으로 또는 낙관적으로 바꾸는 연습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생각을 바꾸면서 동시에 나의 삶에서 제일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자꾸 생각해 보면서 그 가치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받아들이기 (accept)는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고 만족하며 사는 방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만약 내가 지금의 상황에서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이지만 함께 살아가는 것이 가장 낫다고 생각한다면 지금의 상황에서 변화가 없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면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거기에는 나를 힘들게 하는 그 사람이 바뀔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포기하는 것이 포함이 되며 결점이 있고 완벽하지 않고 공평하지 않은 삶과 풀리지 않은 문제가 있는 삶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대를 낮추고 힘든 상황만 바라보지 않고 주위를 돌려 긍정적인 면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를 잘 내는 배우자와 살아야 할 경우 그 배우자가 아주 친절하고 화를 안내는 사람이 되기를 기대하기 보다는 화를 내지 않을 때 친절한 그 사람의 부분을 조금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그 사람 그대로를 긍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이 때 남의 입장에 서보는 것과 공감과 또 매사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낙관주의적인 태도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현 상황에 그대로 머무르며 고통을 받는 것이다. (Stay and Suffer) 상당히 비참한 선택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살아가는 선택합니다. 관계를 떠나자니 경제적 손실이나, 죄책감, 외로움 등의 손해가 예상되기에 환경도 바꾸지 못하고 그렇다고 환경을 수용하지도 못하면서 현재 상황을 고통스러워하며 유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아이들을 위해 남편의 외도를 용인하면서 결혼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 배우자가 가정 폭력을 행사하는데 경제적인 능력이 없어 그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은 이런 선택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네 번째는 손을 떼고 패배를 인정하고 상황을 떠나는 것입니다. (Take off) 더 이상 괴롭게 하는 관계를 유지할 때 손해가 너무나 커서 정신적으로 견디지 못하겠다고 느낄 때 그 관계를 정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가정 폭력이 너무 심해서 아이들까지 안전하지 않다고 느껴지는 상황에서 엄마가 떠나기를 결정하는 것, 배우자와 함께 있을 때 나의 정신 건강이 끝없이 더 나빠지고 심해져서 생명의 위협마저 경험되어질 때 그 때는 괴로운 관계를 떠나게 되는 선택을 하게 됩니다.
힘든 사람과 지낼 때 우리는 네 가지 선택 중에서 먼저는 첫 번째 두 번째 선택을 통해서 최대한의 노력을 합니다. 관계의 성장을 위해서 노력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고 가장 좋은 태도입니다. 그런데 그 노력이 계속해서 실패가 되어질 때, 독이 되는 관계를 무조건적으로 유지만 하는 것은 현 상황에 그대로 머무르며 끊임없는 고통만 받으면서 사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 생명의 위기가 있는 것과 같은 위험한 경우에는 네 번째의 선택을 하는 것이 최선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힘든 관계를 경험할 때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하기 보다는 그 사람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한 사람이 선택한 결과에 대해서는 도덕적 판단을 하기 보다는 그 선택을 하기까지의 많은 고통이 있었음을 이해해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서미진 박사
(호주기독교대학 부학장, 호주한인 생명의 전화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