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강철왕국 프로이센
크리스토퍼 클라크 / 마티 / 2020.7.20
프로이센은 비스마르크와 히틀러를 연결하고, 독일제국에서 (바이마르 공화국을 거쳐) 나치의 제3제국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독일의 근대사를 정리하곤 하는 문헌들에서 언급되곤 하지만, 프로이센을 본격적으로 다룬 책은 국내에 그동안 한 권도 없었다. 모든 언어를 막론하고 프로이센에 관한 최고의 역사서로 평가받는 이 책은 그간의 공백을 아쉬움 없이 메워줄 것이다.
○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며
1 브란덴부르크의 호엔촐레른가(家)
심장 지대 | 왕조 | 종교개혁 | 부푼 기대
2 참화
전선들 사이에서: 1618~40년 | 정치 | 온통 잿더미
3 독일의 특별한 빛
복구 | 팽창 | 동맹 | 통치권 | 궁정과 시골 | 유산
4 왕권
대관식 | 문화혁명 | 행정 | 군대 | 아버지 대 아들 | 국가로서의 한계
5 프로테스탄트
칼뱅파 군주-루터파 백성 | 제3의 길: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경건주의 | 신앙과 정책
6 땅에 있는 권력
도시 | 지주 귀족 | 지주와 소작인 | 성, 권위, 대지주 사회 | 근면한 프로이센
7 지배권을 위한 투쟁
유일한 프리드리히 | 세 차례의 슐레지엔 전쟁 | 후베르투스부르크의 유산 | 애국자들 | 프로이센령 폴란드 | 왕과 국가
8 감히 알려고 하라!
대화 | 프로이센의 유대인 계몽주의 | 반계몽주의? | 두 얼굴의 나라
9 오만과 인과응보: 1789~1806년 _ 3 9 3
혁명기 프로이센의 외교정책 | 중립의 모험 | 중립에서 패배에 이르기까지
10 관료들이 만든 세계
‘새 왕조’ | 관료와 장교 | 토지개혁 | 시민권 | 말
11 강철 시대
헛된 기대 | 애국자와 해방자 | 전환점 | 전쟁에 대한 ‘기억’ | 프로이센인인가 아니면 독일인인가?
12 역사를 통한 신의 행진
새로운 이원론 | 보수로 방향을 선회하다 | 정치 변화 | 신앙 갈등 | 선교 국가 | 국가의 신격화
13 정치적 혼란의 확산
정치적 낭만주의 | 대중 정치 | 사회적 물음 | 하르덴베르크의 시한폭탄 | 혁명 전야의 프로이센
14 프로이센 혁명의 찬란함과 비참함
베를린의 바리케이드 | 상황 반전 | 독일이 부른다 | 실패의 교훈 | 새로운 통합
15 네 개의 전쟁
이탈리아 전쟁 | 비스마르크 | 덴마크 전쟁 | 프로이센의 대독일 전쟁 | 대프랑스 전쟁 | 새로운 유럽
16 독일로 합병되다
독일 헌법 속의 프로이센 | 정치적·문화적 변화 | 문화 전쟁 | 폴란드인, 유대인 그리고 그 밖의 프로이센인 | 프로이센 왕과 독일 황제 | 군인과 민간인 | 군대와 국가 | 왕은 떠나고 국가는 남고
17 종말
프로이센 혁명 | 프로이센 민주주의 | 프로이센의 해체 | 프로이센과 제3제국 | 엑소시스트 | 다시 브란덴부르크로
주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 저자소개 : 크리스토퍼 클라크 (Christopher Clark)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시드니대학교,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수학했고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철왕국 프로이센』으로 울프슨 역사상, 퀸즈랜드 문학상, 뉴사우스웨일스 역사상 등의 상을 받았다. 이 책의 독일어판 출간으로 비독일어권 학자 최초로 독일역사학자상을 수상했고, 독일에서 유일한 연방 훈장인 독일연방공화국 공로장을 받았다.
그 밖의 저서로는 『몽유병자들: 1914년 유럽은 어떻게 전쟁에 이르게 되었는가』(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를 비롯해, 『카이저 빌헬름 2세: 권력의 삶』(Kaiser Wilhelm II, A Life in Power), 『개종의 정치: 프로이센의 선교 개신교와 유대인, 1728~1941』(The Politics of Conversion: Missionary Protestantism and the Jews in Prussia, 1728-1941) 등이 있다. 2015년 영국과 독일의 관계에 기여한 공로로 훈작사 작위를 받았다.
– 역자: 박병화
고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문학박사 과정을 수학했다. 고려대학교와 건국대학교에서 독문학을 강의했고 현재는 전문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공정사회란 무엇인가』, 『유럽의 명문서점』, 『하버드 글쓰기 강의』, 『에바 브라운, 히틀러의 거울』, 『저먼 지니어스』 등 다수가 있다.
○ 출판사 서평
- 프로이센이라고?
프로이센 (Preussen, 영어로는 Prussia, 한자로는 普魯士)은 잊힌 이름이다.
중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 언급되는 보오전쟁, 보불전쟁에서 ‘보’ (普)로 불린 그 나라. 17세기에서 20세기까지 공국, 왕국, 제국의 핵심 국가, 공화국의 핵심 주였던 프로이센은 지금 세계 지도에서 찾아볼 수 없다.
한때 독일 인구의 62퍼센트, 면적의 65퍼센트를 차지한 거대한 땅이자 권력은 완전히 지워졌다.
이는 과거의 유산과 기억을 무척 중요시하는 유럽의 역사에서 대단히 예외적인 사건이다.
수백 년간 저 땅에서 저 이름을 가진 국가가 걸어온 발자취를 생생하게 그려내는 『강철왕국 프로이센』은 이 문제의 국가 ‘프로이센’의 역사를 정면으로 다룬다.
- 프로이센을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한글로 된 최초의 단행본
프로이센은 비스마르크와 히틀러를 연결하고, 독일제국에서 (바이마르공화국을 거쳐) 나치의 제3제국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독일의 근대사를 정리하곤 하는 문헌들에서 언급되곤 하지만, 프로이센을 본격적으로 다룬 책은 국내에 그동안 한 권도 없었다.
모든 언어를 막론하고 프로이센에 관한 최고의 역사서로 평가받는 『강철왕국 프로이센』은 그간의 공백을 아쉬움 없이 메워줄 것이다.
- 대선제후에서 빌헬름 2세까지, 공국에서 제국까지
『강철왕국 프로이센』은 프로이센의 통사로 주요 사건과 인물을 빠짐없이 다룬다.
호엔촐레른 왕가가 브렌덴부르크 선제후국을 취득하게 된 이래, 프로이센 왕국으로 성장하고, 독일을 통일한 뒤 제국으로 발돋움했으며,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일으킨 주범으로 몰려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는 파란만장한 일련의 사건을 빈틈없이 엮어낸다.
여전히 변두리 왕국에 불과했던 1700년대 중반, 합스부르크 제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과 맞선 7년 전쟁의 영웅 프리드리히 대왕, 나폴레옹과 프로이센의 굴욕, 1848년 혁명의 추이와 여파, 독일 통일의 주역 비스마르크, 최초의 미디어 군주라 불리는 빌헬름 2세 황제 등 주요 통치자들과 사건들을 다룬 챕터들은 압축적으로 정리된 별개의 글로도 손색이 없다.
- 정치와 세밀하게 얽어 짠 문화와 사회
『강철왕국 프로이센』이 주요한 정치적·외교적 사건을 도식적으로 나열한 책과는 가장 거리가 먼 역사서다.
“역사책이 가져야 할 모든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외신의 평가대로, 저자는 역사의 분수령이 되는 정치적 사건과 이 사건의 원인이자 결과가 되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대단히 긴밀하고 유려하게 엮어낸다.
특히 프로이센이 점차 세력을 불려 독일을 통일해 나가는 데 작용한 에너지를 중심으로 프로이센 사회의 변화를 짚어나간다. 프로이센이 자리한 지금의 독일 땅에는 뚜렷한 지리적 경계도, 단일하고 고유한 문화나 언어도 없었기 때문에, 프로이센의 어떤 점들이 문화적이고 정치적 아교가 되었는지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다.
정치를 다룬 다음 구색 맞추기 식으로 등장하는 문화나 사회, 예술이 아닌 것이다.
- 프로이센을 만든 것들
저자는 프로이센을 설명할 때 언제나 등장하는 단어들, 경건주의, 고루하며 근대화의 훼방꾼 융커 계급, 군국주의와 권위주의, 엄격하고 효율적인 행정 등을 피상적으로 정의하거나 반박하지 않는다.
대신 이 단어들에 얼마나 복잡한 역사적 의미와 다양한 형태들이 있었는지를 독자들에게 펼쳐 제시한다. 예를 들어, 경건주의 프로테스탄트는 사회 복지의 한 양태이기도 했고, 권력을 강화하기도 약화하기도 했으며, 국제 질서 내에서 어떤 작용을 했는지 짚어나간다.
독일의 근대사가 어긋나게 한 주범으로 꼽히는 융커 계급을 서술하는 방법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통념에 반대해 융커를 구원하려 하거나 상투적인 설명에 기대지 않는다.
당대의 문헌을 통해 지주와 소작인, 젠더, 도시와 시골 사이에서 융커라 불린 사람들이 어떤 이들이었고, 어떤 역할을 했는지 보여준다.
프랑스발 혁명에 맞서 행정을 강화해나간 추이를 추적하는 대목도 다르지 않다.
저자는 프로이센 국가가 의기양양하게 특정한 종류의 근대화 모델이 되었다고 선언하게 되는 과정을 좇아가지만, 동시에 당대 식자층이 품은 국가의 권위와 숭고함이 대다수 백성의 삶과는 거의 아무런 관계도 없었다는 점을 잊지 않고 지적한다.
- 히틀러라는 함정과 프로이센의 종말
프로이센은 독일 통일을 견인했지만, 역설적이게도 통일과 함께 소멸의 길을 걷는다.
독립 국가가 아니라 통일 독일의 주로 격하된 것이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1947년 연합군 점령 당국은 프로이센이 전쟁을 일으킨 독일 내 주범으로 지목당해 프로이센 주와 그 중앙정부, 그리고 그 정부기관은 프로이센이라는 이름과 함께 모두 폐지된다.
『강철왕국 프로이센』의 후반부는 이 장대한 몰락의 서사를 그린다.
저자는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의 집권, 독일의 패전으로 이어지는 이 혼란스러운 역사 속에서 프로이센과 프로이센 사람들의 역할은 무엇인지 냉철하게 추적한다.
프로이센 행정부와 군사조직이 왜 바이마르 공화국에서도 살아남을 수밖에 없었는지,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뮌헨에서 기반을 닦은) 히틀러와 나치가 프로이센의 유산을 어떻게 이용했는지, 제2차 세계대전 중 프로이센 출신 장교들이 어떻게 저항했는지를 서술함으로써, 저자는 비스마르크를 히틀러와, 프로이센을 나치와 곧장 연결하는 것이 얼마나 역사를 납작하게 만드는 것인지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 애도와 찬양을 넘어
저자는 자신이 호주 출신으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기에, 프로이센의 기록을 다루면서 선악을 나누거나 그 경중을 가리지 않고, 교훈이나 정치적 조언을 전할 부담 없이 프로이센의 기록을 애도 또는 찬양해야 할 의무와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말한다.
대신에 저자는 프로이센을 만들고 없인 힘들을 이해하고자 했다고 이야기한다.
그래야 그토록 위풍당당해 보였던 국가가 어쩌다 그렇게 급작스럽고 감쪽같이, 그 어떤 애도도 없이 사라지게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1000쪽에 달하는 이 책을 읽은 독자라면 저자의 이 말을 온전히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