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개인주의와 경제질서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 자유기업센터 / 2016.5.30
제1차 및 제2차 세계대전과 같은 야만적 폭동이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하이에크는 1944년 우선 일반대중을 상대로 정치적 견해인 ‘노예의 길’을 발간하였고, 여기서 사회와 경제의 중앙계획의 과정에 내재된 전체주의적 과정이 규제되지 않는다면 미국과 영국의 운명도 러시아와 독일의 운명과 다를 게 없다고 주장하였다.
동일한 취지를 가지면서 경제학자나 사회과학자 등의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여 쓴 논문들을 편집한 저서가 바로 여기에 번역된 ‘개인주의와 경제질서’이다. 본서에 수록된 논문들은 도적철학으로부터 사회과학 방법론, 순수경제이론으로부터 경제정책, 국내 경제문제로부터 국제 경제문제, 경제학의 문제로부터 정치사상까지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나, 수록된 논문들을 관통하는 일관된 주제는 하이에크가 일생동안 관심을 가졌던 개인적 자유이다.
야만적인 세계적 폭동이 왜 발생하였는가? 달리 말하면 개인적 자유를 억압시키는 독재국가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 본서에서 이런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방법론적, 정치 사상적 및 경제이론적 차원으로 나누어서 찾을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저자는 인간의 지식의 불완전성을 그것에 대한 설명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 특히 자연과학의 발달에 따른 인간의 지적인 오만이 사회문제에서는 불행스런 재앙을 낳는다고 보았다.

– 목차
제1장 개인주의 : 허와 실
제2장 경제학과 지식
제3장 사회과학의 사실들
제4장 사회에서 지식의 용도
제5장 경쟁의 의미
제6장 자유기업과 경쟁적 질서
제7장 사회주의 계산1: 문제의 본질과 역사
제8장 사회주의 계산2: 논쟁의 현황
제9장 사회주의 계산3: 경쟁적 해
제10장 상품준비통화
제11장 리카도효과
제12장 국가간 연방주의의 경제적 조건

– 저자소개 :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Friedrich Hayek)
1899년 비엔나에서 출생하여 1992년 프라이브르크에서 생을 마쳤다.
그는 1921년과 1923년 법학과 경제학 두 분야에서 학위를 취득한 후, 영국, 미국, 오스트리아, 독일의 대학에서 강의하였다.
또한 사회주의와 정부의 시장개입을 비판함으로써 경제자유주의를 지지하고 시장경제를 옹호한, 오스트리아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1974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노예의 길』을 발표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주요저서로는 『개인주의와 경제질서』, 『법, 입법 그리고 자유』 등이 있다.
.역자: 박상수
제주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후 한국은행 조사 1부 행원과 국제경제연구원KIET 연구원을 거쳐,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로 있었으며, 지금은 제주대학교 교수로 재임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철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현황과 문제점』(공저), 『거시경제이론』(공저) 등이 있으며, 『하이에크의 인식론적 개인주의에 관한 연구』,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의 경제학 방법론과 이에 따른 화폐이론의 재구성』, 『하이에크의 개인적 자유에 관한 일고찰』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 출판사 서평
제1차 및 제2차 세계대전과 같은 야만적 폭동이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하이에크는 1944년 우선 일반대중을 상대로 정치적 견해인 ‘노예의 길’을 발간하였고, 여기서 사회와 경제의 중앙계획의 과정에 내재된 전체주의적 과정이 규제되지 않는다면 미국과 영국의 운명도 러시아와 독일의 운명과 다를 게 없다고 주장하였다.
동일한 취지를 가지면서 경제학자나 사회과학자 등의 전문가들을 상대로 하여 쓴 논문들을 편집한 저서가 바로 이 책이다. 본서에 수록된 논문들은 도적철학으로부터 사회과학 방법론, 순수경제이론으로부터 경제정책, 국내 경제문제로부터 국제 경제문제, 경제학의 문제로부터 정치사상까지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나, 수록된 논문들을 관통하는 일관된 주제는 하이에크가 일생동안 관심을 가졌던 개인적 자유이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Friedrich Hayek, CH, 1899년 5월 8일 ~ 1992년 3월 23일)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철학자이다. 그는 ‘신자유주의 아버지’로 불린다. 1938년 영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
1974년 화폐와 경제 변동에 관한 연구로, 이데올로기적 라이벌인 스웨덴의 경제학자 군나르 뮈르달과 더불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91년에는 미국 대통령 자유 메달 (U.S.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을 받았다.

화폐적 경기론과 중립적 화폐론을 전개하였고, 자유주의의 입장에서 계획경제에 반대했다.
사회주의 및 전체주의, 좌파의 경제 정책을 비판하고, 케인스의 이론에 대항하여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옹호하였다.
신자유주의의 사상적 아버지로 불리고 있다. 하이에크는 학술적 삶을 런던정경대학, 시카고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등에서 보냈다.
경제학 연구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사회·문화를 아우르는 폭넓은 연구 활동을 보여주었다.
1970년대서구 복지국가가 복지병과 경기침체 현상을 안게 되면서 자유시장 중시와 계획경제 비판을 요체로 한 그의 이론이 재조명되었고, 1980년대 레이거노믹스와 대처리즘을 필두로 하는 신자유주의 출현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
저서로는 《법, 입법, 자유》, 《노예의 길》 (예종에의 길) 등이 있다.
1994년 발행 50주년을 맞이한 《노예의 길》에는, 밀턴 프리드먼이 쓴 서문이 보태졌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