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루이스 칸의 잊혀질 수 없는 건축 강의 : Louis I. Kahn : 학생들과의 대화
Dung Ngo / MGHBooks / 2016.6.1
– 건축이 말하는 삶의 미학!
‘루이스 칸의 잊혀질 수 없는 건축 강의’는 루이스 칸의 건축 강의를 정리한 책으로, 이력과 작품 연대기가 수록돼 있다. 자신의 생각을 직설적으로 투명하게 작품 속에 구현해 온 건축가 루이스칸은 러시아가 헝가리를 침략했을 당시 미국으로 건너온 헝가리 출신의 학생이 ‘선생님께서는 이 시대를 어떻게 묘사하고 계시는지요?’라는 물음에 대해 생각했다. 이에 지금이야말로 우리를 비추는 해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야 하고, 우리의 모든 시설(施設)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 목차

역자의 말
김광현, 봉일범
서문
피터 파파드미트리우
하얀빛 검은 그림자
기둥은 벽에서 생겨났다
모든 건축은 인간의 시설로 거듭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것도 다른 것보다 우월하지 않다
놀이란 고무되는 것이지 조직되는 것이 아니다
피카소를 실험실에 초대하고 싶다
어떤 공간은 유연성을 완전히 배제시켜야 한다
건물은 그것의 본성에 대해 진실해야 한다
건축교육의 세 가지 측면
이러한 건물은 그렇게 이해되어야 한다
디자인은 실재를 향해 드러나고자 하는 형태다
손에 대한 사색
라스 레럽
루이스 칸의 두 가지 이력
마이클 벨
루이스 칸 작품 연대기
○ 저자소개 : Dung Ngo
저서로 ‘루이스 칸의 잊혀질 수 없는 건축강의’가 있다.
– 역자 : 김광현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건축가.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과 대한건축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건축가협회상, 대한건축학회상, 가톨릭미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한국건축가협회 건축교육원장으로 전국의 학생들 위한 건축 프로그램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주택-토지에 새겨진 주거’ (1991, 마루젠), ‘디자인 사전’ (1994), ‘현대사회와 과학문명’ (1997), ‘하이트렌드’ (2009)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루이스 칸 : 학생들과의 대화’ (2001), ‘건축의장강의’ (2008), ‘건축형태의 원리’ (1989) 등이 있다.
– 역자 : 봉일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논문 ‘Le Corbusier의 새로운 건축의 5원칙 수정 과정에 대한 연구’를 썼다. ‘건축-지어지지 않은 20세기’를 출간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 Louis I. Kahn: Conversations with Students
Architecture at Rice 26
Rice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8.
이 책은 포켓북 정도의 작은 책이지만, 거장 루이스 칸의 성숙된 사고를 가장 잘 나타내는 라이스 대학 강연회의 내용을 수록한 것이다. 강연회는 일단 자기 의견을 말하고 학생의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같은 내용이 Alessandra Latour편 “Louis I. Kahn: Writings, Lectures, Interviews”에도 실려 있다. 그리고 칸에 대한 두 사람의 논문이 뒤에 따로 붙어 있다. 지금은 이렇게 작은 책을 나와 있지만, 이전에는 참 잘 알려지지 못한 글이었다. 그런데 이 내용은 칸의 사고를 가장 종합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자신의 건축적 사고가 어떤 논리적인 관계에서 성립되어 있는가를 알려면, 나는 그의 주옥과 같은 글이 많이 있지만, 그 어떤 것보다도 이 “학생과 대화”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글의 영어는 아주 쉬운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고 이 글이 그저 쉽게 읽히는 것은 아니다. 이 글을 읽고 루이스 칸의 생각에 접근하기를 원한다면, 강의 시간에 말하는 칸이라는 은발의 선생에 귀를 기울이며 놓치기 싫어 꼼꼼히 필기해 둔 노트를 집에 가지고 가 다시 세심하게 읽으려는 학생의 자세로 돌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을 번역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선생이 왜 이 말을 꺼냈는지 스스로 묻지 않으면 안된다. 흔히 책을 대하면 책이 나에게 친절히 설명해 주기를 기대하고, 알아듣기 쉽고 편안하게 나에게 다가오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적어도 이 책만은 다르다. 이 책은 반대로 나에게 이 말이 어떤 뜻인 것 같은가 하고 물을 뿐이다.
갑작스러운 질문과 문맥에 맞지 않는 듯한 대답에 우리는 쉽게 지루해 버릴 것이다. 그러나 그가 이 대화에서 말하려는 바는 바로 질문과 대답 ‘사이’, 말하려는 바와 또 새롭게 말하려는 바의 ‘사이’에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질문과 대답 사이에서 이 말이 무엇이며, 건축의 무엇을 말하려는가를 터득하려 하기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처음에 나오는 “흰빛과 검은 그림자”의 이야기는 마치 무슨 선문선답을 하는 듯이 보이지만, 이 책 전체를 다 읽고 나면 왜 그가 “흰빛과 검은 그림자”를 말하지 않으면 안되는지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본성에 관한 자신의 이야기와 같은 것이어서, 존재하지 않는 건축이라는 정신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존재하는 것이란 언제나 건축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건축의 ‘작품’은 선명한 노란 빛 등으로 표현되는데. 그것은 “흰빛과 검은 그림자”라는 본성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루이스 칸이 말하려는 가장 중요한 단어는 ‘시설’ (institution)이다. 그것도 그냥 시설이 아닌 인간의 시설 (institution of man)이다. 이 점을 지나쳐 버리면 그가 무엇을 말하려는지 방향을 잃고 만다. 인간이 왜 시설을 만들어 건축이라는 본질을 드러내야 하는가를 아주 평이하게 그리고 힘있게 지적하고 있는 글이 바로 이 “학생과 대화”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근대건축도 비판되고, 햇빛과 그림자 이야기가 나오며, 왜 구조가 인간의 의지에서 비롯되는가가 설명된다. 그리고 인간과 자연이 다른 것은 인간은 자연과 달리 표현하고 만드는 의지가 있기 때문임이 강조된다. 바로 이 의지가 시설을 만들어낸다는 것인데, 이러한 그의 강연은 어떻게 구체적으로 공간을 구성하는가가 폭넓게 다루어지고 있다. _ 김광현 교수
○ 독자의 평
이 책은 루이스 칸과 학생들이 질문을 주고받으며 내용를 이끌어가는데 그 과정에서 건축, 건축가 등의 개념을 짚어주며 틀에 박힌 뜻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생각해 미처 생각지못한 부분을 알려준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들이 있었다. 먼저 건축에 대한 근본적인 부분이였는데 그것을 바로 하얀빛의 그림자는 검은색이라 칭한 것이다. 하얀빛도 존재하지않고 검은빛도 존재하지 않으니 그것을 검은색이라 칭한다는 말을 처음에는 이해가 전혀 되지 않았지만 점점 읽다보니 칸이 무엇을 말하고자 한지 알 것 같았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아마 하얀빛은 세상에 실제로 존재하는 빛이라기보다 자신만이 갖고있는 새로운 안목인 것 같다. 칸이 ‘우리를 비추는 해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여야 한다.’라고 한 것처럼 아마 모든 건축물 볼 때 정형화된 모습으로만 보지않고 한 번 더 생각해 보라는 의미로 말한 것 같다. 빛이 노랄때는 그림자가 푸르지만 자신이 보기엔 하얗고 검은 그림자라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혁신의 시작이고 이 시작들이 또 다른 건축물들의 결과 일 것이라 생각한다.
○ 침묵과 빛의 건축가,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1901 ~ 1974)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1901년 2월 20일 ~ 1974년 3월 17일)은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활동한 세계적인 건축가이다. 필라델피아의 여러 회사에서 경력을 쌓은 후 1935년에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였다. 1947년에서 1957년까지는 개인의 작업을 계속하면서 건축 비평가와 예일 건축대학의 건축과 교수직을 담당하였다. 1957년부터 사망 전까지는 아이비리그 중 하나인 펜실베니아 대학 (유펜)의 디자인 대학교수로 건축디자인을 가르쳤다. 유펜에는 그가 디자인한 건축물이 남아있으며, 펜디자인에는 루이스 칸 아카이브 공간이 있다. 루이스 칸 아카이브에는 그의 스케치와 건축모형, 도면 등이 남아있다.
–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본명: 이체레이브 슈무일로프스키 (Itze-Leib Schmuilowsky)
.출생: 1901년 2월 20일, 에스토니아 쿠레사레
.사망: 1974년 3월 17일, 미국 뉴욕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
.학력: 펜실베니아 대학 (~1924년)
.저서: Louis Kahn: Essential Texts, Louis I. Kahn : silence and light ; [Essay und Hörbuch] 등
.수상: AIA Gold Medal, Twenty-five Year Award, 로열 골드 메달 등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은 미국 필라델피아 등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현대 건축가이자 모더니즘 건축 최후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현대 건축을 지배하던 모더니즘 사조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전통 건축에서 모티브를 얻어 창의적인 현대 건축으로 승화시켰다. 말 그대로 전통과 혁신을 실현시킨 몇 안되는 건축가이다. 특히 빛을 잘 이용해서 극적인 장면을 잘 나타내는 건축물을 많이 남겼다.
특이한 점은 인생 후반에 창작열기가 폭발하여 남은 20년 동안 질풍같이 걸작들을 남기다가 죽었다. 건축계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이 제정되기 전에 죽었기 때문에 수상자가 되지는 못했지만, 아마도 좀 더 오래 살았다면 프리츠커상을 받는 것은 확실했다고 여겨질만큼 뛰어난 건축가였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