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말레이시아
양승윤, 김금현, 류석훈, 류승완, 소병국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 2010.4.10
본서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에 대한 종합적인 개론서로, 말레이시아의 역사를 비롯해 정치, 외교, 경제, 사회, 교육, 종교 등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다.

– 목차
새 책을 내면서 vi
책 머리에 viii
제1장 믈라유 종족.언어.국가 1
제2장 말레이시아 현대사 9
I. 다민족국가의 형성과 발전 9
II. 믈라유 종족의식의 발전 12
III. 다종족 사회의 독립투쟁 15
IV. 다종족 사회의 국가건설 25
제3장 말레이시아의 정부구조와 정치체제 35
I. 개 요 35
II. 정치체제의 특성 36
III. 정당정치와 선거제도 46
IV. 1969년 이전의 정치과정 50
V. 1969년 이후의 정치발전 58
제4장 마하티르 말레이시아의 정치변동69
I. 마하티르 체제의 등장 69
II. NF의 갈등과 UMNO의 강화 72
III. 신개발정책과 비젼 2020 77
VI. 외교정책과 국제관계 78
제5장 말레이시아의 동방정책 84
I. 추진 배경 84
II. 초기 대내외적 상황 85
III. 대영(對英) 관계의 변화 93
IV. 동방정책의 시행 100
V. 동방정책의 평가 110
제6장 말레이시아의 대미(對美) 외교정책 113
I. 말레이시아 외교정책의 특징 113
II. 미국과의 갈등관계 양상 114
III. 말레이시아-미국 관계의 실용적 성격 136
제7장 말레이시아의 영토분쟁 138
I. 동남아의 영토분쟁 양상 138
II. 리기딴-시빠단 영유권분쟁 141
III.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영토분쟁 149
제8장 말레이시아의 경제개황 153
I. 경제 동향 153
II. 경제 구조 157
III. 경제 정책 163
IV. 산업 구조 166
V. 투자 정책 172
제9장 말레이시아의 국토개발정책 176
I. 요 176
II. Felda의 토지개발정책 178
III. 정착자 선정과 지원정책 181
IV. 연방토지개발청의 정책변화 192
V. 전망 194
제10장 말레이시아의 사회제도 196
I. 복합민족사회의 성격 196
II. 가족제도와 친족제도 197
III. 종교제도 202
IV. 변화하는 교육정책 209
V. 변화와 전망 214
제11장 말레이시아의 교육제도 216
I. 차별적 교육정책의 배경 216
II. 말레이시아 교육제도의 특징 218
III. 국민통합을 위한 교육정책 220
IV. 불평등한 교육정책 227
V. 교육정책 개선전망 233
제12장 말레이시아 복합민족사회의 갈등구조 236
I. 복합민족국가 형성배경 236
II. 복합민족국가 형성과정 239
III. 주요 종족의 문화적 특징 251
IV. 정치변동과 종족문화의 상관관계 261
제13장 말레이시아의 이슬람과 종교문화 264
I. 종교 분포 264
II. 종교정책과 이슬람의 위치 266
III. 말레이시아의 토착신앙과 이슬람 269
제14장 말레이시아의 종교의례 276
I. 믈라유인들의 종교의례 276
II. 인도인들의 종교의례 288
III. 기독교 의례 293
제15장 말레이시아의 장례문화 295
I. 믈라유인의 장례문화 295
II. 믈라유 무슬림의 장례절차 297
III. 카다쟌족의 장례문화 304
제16장 말레이시아 사회의 호칭체계 308
I. 형성배경 308
II. 세습 호칭체계 310
III. 작위와 호칭체계 315
IV. 경칭의 분류와 사용법 318
V. 호칭체계의 사회적 관계 324
제17장 말레이시아의 정치발전 전망 326
찾아보기 333
[표 차 례]
표 1 정당 별 의석과 득표율 67
표 2 말레이시아의 주요 국내경제 지표 154
표 3 말레이시아의 주요 대외경제 지표 155
표 4 말레이시아의 주요 외채 관련 지표 156
표 5 말레이시아의 에너지 관련 지표 160
표 6 말레이시아의 통신 산업 주요 지표 161
표 7산업부문별 GDP 현황 164
표 8 단지 별 연차 개발계획 180
표 9 지원자 선정 기준 183
표 10 정착자 선정 계획 및 시행 현황 185
표 11 연도별 정착자 평균소득 189
표 12 가구당 정착비용 190
표 13 말레이시아 주요 종족별 직업분포 243
표 14 말레이시아의 종족 별 종교구성 266
표 15 역대 말레이시아 국왕과 재임기간 312
표 16 각주의 술탄 또는 주왕과 왕비의 호칭 313
표 17 왕족에게 수여하는 칭호 316
표 18 3.8 총선거에 의한 정당 별 의석수 328
– 저자소개 : 양승윤, 김금현, 류석훈, 류승완, 소병국
.저자: 양승윤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양어대학 말레이 인도네시아어과 명예교수다.
.저자: 김금현
.저자:류석훈
.저자: 류승완
.저자: 소병국
역사학자다. 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를 졸업하고, 오하이오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동남아시아 역사를 전공하고 근·현대 말레이세계 민족주의 운동과 국민국가 건설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부터 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동 대학 동남아연구소 소장, 포드재단 연구교수,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 객원교수,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 전문위원을 역임하며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펼쳐왔다. 지은 책으로 《말레이시아사: 법제도의 변천》(근간), 《Ideology and Shaping of Malaysia: A Socio-Intellectual History(이념과 말레이시아 국가 건설)》이 있고, 함께 지은 책으로 《동남아의 종교와 사회》, 《동남아의 정치변동》, 《동남아의 지역주의와 종족갈등》, 《일제하의 동남아》, 《불교 군주와 술탄: 태국과 말레이시아 왕권의 역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Visions without Heat: The Search for a Malaysian National Identity, 1948-1990〉, 〈In Search of ‘Unity in Diversity’: The Image of Women in New Order Indonesia〉, 〈오랑 라웃의 활동과 역할: 전통 말레이세계 국가형성의 숨겨진 동학〉 등 40여 편이 있다.

– 동남아시아의 국가 말레이시아 (Malaysia) 개관 (위키백과 참고)
말레이시아 (말: Malaysia)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연방제 입헌 군주국이다. 말레이시아는 13개의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고, 남중국해로 나뉜 말레이반도 지역과 보르네오섬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국, 인도네시아, 브루나이와 국경을 맞대고 있고, 해상 국경은 싱가포르와 베트남, 필리핀과 맞대고 있다. 수도는 쿠알라룸푸르이지만, 연방정부는 푸트라자야에 있다. 그리고 다리를 통해 싱가포르와 연결된다.
말레이시아의 역사는 18세기부터 대영 제국의 식민지가 된 말레이 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 영국의 식민지가 된 곳은 해협식민지로 불리었고, 다른 곳들은 보호령이 되었다. 1946년 말레이반도의 주들이 연합하여 말라야 연합을 세웠고, 1948년 연합을 재편성하여 말라야 연방이 설립되었다.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을 하게 되었으며, 1963년 9월 16일 말라야 연방은 사바, 사라왁, 싱가포르와 연합하면서 Malaya란 이름에 si를 추가해 Malaysia가 되었다. 그러나 2년도 채 지나지 않은 1965년, 싱가포르는 정부와의 마찰로 연방에서 탈퇴하게 되었다. 말레이시아는 독립 이후 아시아에서 최고의 경제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는데, 거의 50년동안의 GDP 성장률이 평균 6.5%라는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천연 자원에 거의 의존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과학, 관광, 무역, 의료관광 등의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입헌군주국이며, 국가 원수인 군주 (국왕)은 9개 주에 있는 술탄에 의하여 5년에 한 번씩 (단, 궐위가 있을 경우에는 예외) 호선으로 선출한다. 군주의 칭호는 양디-퍼르투안 아공이며, 지금 군주는 파항주의 술탄 압둘라이다. 정부의 장은 수상이다. 정부체제는 웨스트민스터 체제에 가깝고, 법체계는 영국의 법에 기초한다. 말레이시아는 민족과 문화가 다양하고 그 다양성이 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국교는 이슬람교이지만, 헌법상 종교의 자유는 인정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는 유라시아 본토의 최남단 지역인 탄중피아이가 있고, 적도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열대 기후의 국가이다. 다양한 동식물군이 있어 생물 다양성이 큰 국가이다. ASEAN, 이슬람 회의 기구의 창립멤버이며, APEC, 영국연방, 비동맹 운동의 회원국이다.
2018년을 기점으로 말레이시아의 구매력 평가는 1인당 $30,860로 평가되었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