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이신칭희
조나단 에드워즈 / 그리심 / 2019.8.30
미국 뉴잉글랜드의 마지막 청교도 성도이자 철학자로서 미국이 낳은 최고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는 조나단 에드워즈. 본서는 1734년 11월에 에드워즈가 목회하던 노스엠톤교회 목요공개강론에서 전하여 미국 제1차 영적대각성의 도화선이 되었다고 자평했던 두 편의 이신칭의 설교문이다.
○ 목차
I. 칭의 교리 발전의 개괄과 에드워즈와의 비교·22
초대 교부·어거스틴·토마스 아퀴나스·마틴 루터·레겐스부르크 의회와 트렌트 공의회·존 칼빈·투레틴·프란시스코 투레틴·페터루스 반 마스트리히트·영국 청교도: 리차드 벡스터와 존 오웬
II. 에드워즈의 저작 동기, 과정, 그리고 교리적 상황·42
III. 에드워즈의 이신칭의의 구별되는 특징·44
- 동적인 정의: 선언하는 것만이 아니라 인간을 완전히 의롭게 만드는 것이다·44
- 그의 교리의 존재론적 근거: 전적 타락·46
- 믿음에 대한 독특한 개념: 믿음은 단순한 영접(mere acceptance)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받아들임(receiving Christ)이다·46
- 또 다른 의미에서 볼 때 믿음이 칭의의 유일한 조건인 것은 아니다·47
- 도덕적 적합성과 자연적 적합성: 칭의에서 믿음의 역할·49
- 전가 또는 주입: 성도의 이중적 의: 그리스도의 전가된 의와 그의 내재된 의·50
- 그리스도 중심적 칭의: 그리스도와의 연합·53
- 그리스도의 소극적 순종과 적극적 순종·54
- 칭의에 대한 믿음의 충족과 우선·56
- 칭의: 단회적인가? ; 최종적인가?·57
- 사회적 비전·58
IV. 알미니안주의와 라이트의 새관점(NPP), 그리고 에드워즈와의 비교·59
알미니안주의자들의 반론들·61
결 론·70
본문 목차
원저자 서문·73
주해(Exegesis)·81-88
교리(Doctrine)·89-316
제 1 장 칭의의 의미
I. 이신칭의 (以信稱義, justification by faith alone)란 무엇인가?·91
- 칭의가 어떻게 믿음으로 말미암는단 말인가?·99
- 어떻게 믿음으로만 칭의받을 수 있을까?·106
난제1: 우리의 일부분적인 내재적 선(함)/탁월함 때문에 칭의 은택을 받는 게 합당하다면, 우리의 칭의교리는 로마 카톨릭의 뜻밖의(재량) 공로 사상 보다 더 못한 것이 된다·107
난제2. 성결이 칭의 은택받을 자격을 갖추게 한다면, 순종은 그 같은 영향력이 없겠는가?·108
명제1: 그리스도와 그의 사람들은 연합적 관계에 있다: 머리와 지체, 줄기와 가지, 남편과 아내·109
명제2: 이같은 연합적 관계는 칭의의 근거가 된다·110
제 2 장 이신칭의 교리의 진리됨과 그 증거
첫째 증거: 인간의 죄와 죄책과 율법이 이신칭의 방식의 필요를 보여준다·125
확증#1: 사람이 극악한 죄인이므로 무엇을 행하든지 그것으로 구주에게 합당한 자가 되지 못한다·126
확증#2: 칭의 교리는 성경에서 이미 가르친 교리이다: 옛 헌법이나 율법은 사람을 정죄하나, 신적 헌법은 구주의 칭의를 확정한다·135
둘째 증거: 이신칭의 교리가 성경에 계시되어 있다·141
셋째 증거: 이신칭의는 복음 속에 선포된 칭의 방식이다·182
넷째 증거: 그리스도의 의 전가(轉嫁 imputation) 교리는 복음의 교리 속에 내포되어 있다·187
제 3 장 복음적 순종과 칭의와의 관련성: 복음적 순종의 필요성
-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이 삶에서 행하는 선한 행위는 무슨 소용이 있을까?·229
- 믿음의 일차 활동이외의 어떠한 다른 활동이 칭의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230
- 믿음 속에서 견인, 혹은 믿음의 계속되는 행위들이 칭의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230
- 신자가 그리스도의 의와 그의 은택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어떻게 적합한가?·231
-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시작되었는데 필연적으로 존속되어야 하는 이유 및 근거는 무엇인가?·232
-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존속을 위해 먼저 존속해야 할 필요한 자격 은 무엇인가?·233
- 중생은 단회적 사건인가 아니면 연속적 과정인가?·234
- 하나님의 일차 칭의는 결정적이며 최종적 칭의인가?·236
- 회심 이후에, 곧 미래에 짓는 죄들도 사함받을 수 있는가?·237
- 죄사함을 굳이 간구해야만 그리스도께서 죄 사해 주시는가?·238
- 칭의얻는 믿음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240
- 의심하는 그리스도인은 무엇을 해야 할까?·240
- 사죄와 평안이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240
- 그리스도는 어떻게 칭의를 얻었는가?·243
- 참된 칭의에 믿음의 견인이 반드시 있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243
- 칭의가 참되며 합당한 것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245
- 바울이 인정한 복음적 행위란 어떤 것인가?·246
제 4 장 이신칭의에 대한 알미니안들의 반론과 에드워즈의 논박
Ar. 반론 #1. 우리 자신의 덕과 순종을 보시고 하나님께서 영생과 구원과 칭의를 약속하셨다·249
Ar. 반론 #2. 우리 자신의 순종과 그리고 타고난 성결이 사람들을 천국으로 향하도록 준비시키는데 필수적이다·253
Ar. 반론 #3. 하나님은 성도들의 선행들을 귀히 보시고 상급으로서 구원과 같은 영원한 축복들을 베푸신다·254
Ar. 반론 #4.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그분에 대한 관심은 그리스도의 합당하심의 전가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라, 우리의 도덕적 적합성을 존중하셔서 허락하신 것이다·277
Ar. 반론 #5. 사도 야고보도 사람이 선을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고 말한다·300
적용·317-330
제 5 장 이신칭의 교리의 중요성
첫째. 성경과 사도들과 성령께서 믿으라고 명하는 교리이기 때문이다·318
둘째. 이신칭의 반대교리는 인간의 덕을 그 토대로 하는 율법주의적인 것이기 때문이다·319
셋째. 첫(행위) 언약과 새(은혜) 언약의 본질적 차이 때문이다·320
넷째. 타락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이 칭의교리의 신적 계시이기 때문이다. 물론 계시의 밝혀진 신비들, 계시의 교리들, 삼위일체 교리 또한 필요하다·322
다섯째. 상반된 칭의 교리 체계는 하나님과 중보자의 영광을 훼손시키기 때문이다·324
여섯째. 자기 의를 신뢰하는 반대파 교리 체계는 영혼에 치명적인 경향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327
칭의 교리 반대의 결말·330
색인·332
○ 저자소개 : 조나단 에드워즈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상가요, 철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지성은 너무나 심오하고 강하여 아직도 해마다 그의 업적에 관한 논평과 저술이 간행되고 있다. 그러나 조나단 에드워즈는 그러한 사상가 및 철학자로서의 명성보다 영어권 세계에서 가장 지적이고도 영적인 신학자요 대부흥사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생애의 가장 큰 목적은 그리스도를 통해 철저하게 하나님을 알고 찬미하는 일이었다. 그는 자신뿐만 아니라 이웃으로 하여금 그러한 삶을 살도록 각성시키는 일에 전력하였다. 조나단 에드워즈가 메사추세츠 노샘프턴에서 목회를 시작했을 때 마침 뉴잉글랜드 전역은 처음의 청교도 정신으로부터 차츰 이완되어 영적으로 쇠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한 시대적 흐름에 저항하면서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신앙회복과 거짓 종교, 즉 이단의 궤멸을 주창하며 영적 대각성 운동을 펼쳐 나갔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뜨거운 마음을 인정하시어 역사적 대부흥의 길을 여셨다. 그러나 인간적 안목으로는 아무리 보아도 그의 일생은 비극으로 끝이 났다. 즉, 노샘프턴 주민들에 의해 그는 사역지에서 쫓겨나야만 했고, 프리스톤 신학교의 총장직을 맡은 지 불과 두 달만에 열병으로 인해 삶을 마감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55세의 나이로 그는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남긴 신학적 업적과 대부흥을 주도했던 뜨거운 설교들은 2백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꺼지지 않는 불길로 남아 있다. 탁월한 신학적 이해력과 각성에 대한 직접적 체험론으로 인해 저술에 있어서 일정한 제한을 두었지만, 그는 부흥신학의 제 일인자로 인정받기에 조금도 부족함이 없다.
- 역자: 정부홍
○ 출판사 서평
- 이신칭의 (以信稱義,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조나단 에드워즈의 보강된 개혁주의 칭의론:
과연 믿음으로만 칭의받는가?
Reinforced Reformed Doctrine of Justification:
Is Man Really Justified by Faith Alone?
조나단 에드워즈 (1703 ~ 1758)
미국 뉴잉글랜드의 마지막 청교도 성도요 목사요 부흥설교자요 신학자요 그리고 철학자로서 미국이 낳은 최고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본서는 1734년 11월에 에드워즈가 목회하던 노스엠톤교회 목요공개강론에서 전하여 미국 제1차 영적대각성의 도화선이 되었다고 자평했던 두 편의 이신칭의 설교문이다.
어떻게 교리적 설교가 대부흥의 전조가 되었을까?
그의 칭의론은 그리스도 중심적 구원론이다: 신자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며 칭의하신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에서 얻는 은택이 칭의요 믿음이요 구원이요 성화이다.
그러므로 믿음이 칭의의 조건이 아니라 단지 그 칭의를 받아들이는 도구이다.
신자에게 그리스도의 의가 전가됨과 동시에 주입되어
필연적으로 회개와 부흥과 성화가 일어난다.
죽은 믿음이 아닌 산 믿음으로 칭의받고, 율법주의적 행위가 아닌 복음적 순종과 선행을 한다.
- 결론
에드워즈 자신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교리 체계와 그리고 이신칭의 교리 반대자들의 교리 체계가 각각 내리는 가정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본 칭의 교리는 하나님께서 처음 받아들이심 (first acceptance with God)의 기초와, 그리고 그 결과로 일어난 모든 실제적 구원의 기초를 전적으로 그리스도와 그의 의 (righteousness)에 둔다.
본 칭의 교리의 역사적 발전에는 다양한 의견과 개념과 입장이 있었으며, 특히 에드워즈의 18세기적 입장이 형성되었다. 에드워즈에게, 칭의는 그리스도의 이중적 의 (義 righteousness), 즉 그리스도의 의가 법적으로 신자에게 전가되었다는 선언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내재적 의에서 완전히 타락한 사람을 의롭게 만들어내는 그리스도의 중심적 칭의이다. 텅비지 않고 열매 가득한 믿음이 칭의의 조건이다. 그것은 도덕적으로 적합한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칭의받음이 하나님께 적합하다는 것이 자연스럽다. 칭의에서 의가 전가되는 동시에 거룩이 주입되어 성화로 이어진다. 우리 영혼이 그리스도와 적극적으로 연합하는 것이 칭의의 유일한 기초이며, 영혼에게 그리스도의 소극적이고 적극적인 순종이 전가되기 때문에 하나님의 완전한 활동으로서의 칭의는 단회적이나 완전하고 최종적이다.
NPP와 라이트의 주장 속에서 드러난 반율법주의적인 (Antinomian) 성격들은 역사에서 반복되었던 것이지 새롭거나 독창적인 것이 아니다. 특히 John Tillotson과 John Taylor는 반복적으로 개혁주의 구원론에 반대하는 Arminian주의의 형태로 나타났다.
에드워즈와 라이트의 큰 차이점은 칭의, 의, 전가와 믿음에 대한 개념이 다르다는데 있다. 이것에 의해, 라이트가 조롱한대로 우리의 믿음은 오직 천국에 가는 것에만 관련있는 것이 아니라, 에드워즈의 구원론에 입각한 이신칭의 교리가 전인적 삶의 차원을 회복하도록 이끄는 공헌을 할 것이다. 에드워즈 자신은 이신칭의가 옳음을 증명하지만 그것은 전형적인 칼빈주의나 개혁주의 입장이 아니라 더 보강된 입장이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