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중세 기독교 철학사 (상, 하)
에티엔느 질송 / CH북스 (크리스챤다이제스트사) / 1994.3.25
『중세철학사』는 프랑스 가톨릭 철학자의 중세철학 입문서다.
기원후 2세기 순교자 유스티누스로부터 새로운 역사 시기의 경계선에 있는 쿠에스의 니콜라스까지 그리스도교 철학의 역사를 소개했다.
그리스의 변증가들, 초기 기독교 사유, 아랍철학과 유대철학 등 철학의 발전을 고찰했다.
– 목차
머리말 = 5
서론 = 17
제1부 그리스의 변증가들
제1장 그리스의 변증가들 = 25
1. 아리스티데스와 콰드라투스 = 26
2. 순교자 유스티누스 = 28
3. 타티아누스 = 32
4. 아테나고라스 = 35
5. 안디옥의 테오필루스 = 39
6. 이레나이우스 = 41
7. 히폴리투스 = 46
제2부 초기 기독교 사유
제1장 알렉산드리아 교부들 = 53
1.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 54
2. 오리게네스 = 61
A. 하나님 = 63
B. 로고스 = 66
C. 세계 = 67
제2장 라틴 변증가 = 74
1. 테르툴리아누스 = 74
2. 미투키우스 펠릭스 = 77
3. 아르노비우스 = 79
4. 락탄티우스 = 82
제3장 갑바도키아 교부들 = 86
1. 나지안제누스의 고레고리우스 = 87
2. 대(大) 바실리우스 = 88
3. 닛사의 그레고리우스 = 91
A. 우주론 = 92
B. 인간론 = 93
C. 신학 = 96
4. 네메시우스 = 97
제3부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보에티우스까지
제1장 빅토리누스와 아우구스티누스 = 105
1. 마리우스 빅토리누스 = 105
2. 아우구스티누스 = 109
A. 하나님 = 109
B. 세상 = 113
C. 사람과 지식 = 115
D. 윤리학 = 119
제2장 그리스 교부 시대의 마지막 = 125
1. 아레오파고 사람 드니 = 125
2. 크리소폴리스의 막시무스 = 131
3. 요하네스 필로포누스 = 136
4. 다마스쿠스인 요한 = 138
5. 교부들의 플라톤주의 = 141
제3장 라틴 교부 시대의 마지막 = 144
1. 리에즈의 파우스투스 = 144
2. 클라우디아누스 마메르투스 = 145
3. 보에티우스 = 147
A. 논리학의 문제들 = 147
B. 심리학과 신학의 문제들 = 152
C. 자연 철학의 문제들 = 156
4. 카시오도루스로부터 대(大) 그레고리우스까지 = 160
제4부 스코투스 에리게나에서 성 베르나르까지
제1장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게나 = 169
1. 신앙과 이성 = 169
2. 자연과 그 구분 = 172
3. 신적인 이데아들 = 175
4. 창조와 계시 = 177
5. 창조와 조명 = 179
6. 존재의 위계 질서 = 181
7. 하나님께로 돌아감 = 184
제2장 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 = 190
1. 이성과 신앙 = 191
2. 「모놀로기움」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존재 = 193
3. 「프로슬로기온」의 증명 = 195
4. 하나님의 속성들과 창조 = 198
5. 지식과 의지 = 202
제3장 12세기의 플라톤주의 = 207
1. 라 포레의 길베르 = 208
2. 샤르트르의 티에리 = 214
3. 아라스의 클라렌보 = 219
4. 살리스베리의 존 = 221
제4장 페테르 아벨라르 = 226
1. 논리학 = 229
2. 윤리학 = 235
3. 신학 = 238
제5장 사변적 신비주의 = 241
1.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 = 241
2. 생 티에리의 기욤 = 245
3. 스텔라의 이삭 = 246
4. 클레르보의 알처 = 248
5. 생 빅토르의 위그 = 248
제6장 릴의 알란 = 252
제5부 아랍 철학과 유대 철학
제1장 아랍 철학 = 263
1. 알킨디와 알파라비 = 266
2. 아비센나 = 272
A. 논리학 = 272
B. 물리학 = 278
C. 천문학 = 282
D. 심리학 = 285
E. 형이상학 = 295
F. 신학 = 301
3. 아베로에스 = 309
A. 철학과 종교 = 311
B. 인식론과 형이상학 = 314
제2장 유대 철학 = 322
1. 솔로몬 이븐 가비롤 = 323
2. 모세스 마이모니데스 = 327
제6부 초기 스콜라주의
제1장 그리스-아랍의 영향 = 333
번역 = 333
「원인론」 = 335
도미니쿠스 군디살리누스 = 336
「존재성의 유출에 대하여」 = 339
베네의 아모리 = 340
디난트의 데이비드 = 342
신학적 혼합주의 = 344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교황 칙령 = 347
제2장 대학과 스콜라주의 = 349
조직과 교육 방법 = 349
대학의 시작 = 352
제3장 13세기 초의 신학자들 = 355
1. 파리 = 355
오베르튜의 기욤 = 355
아담 풀크라이 물리에리스 = 367
2. 옥스퍼드 = 368
A.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 370
B. 가짜 그로스테스트 = 375
제7부 신앙과 학문
제1장 알베르트 마그누스 = 391
1. 알베르트와 세속 학문 = 391
2. 네 명의 동시대 존재들 = 394
3. 사람 = 399
4. 하나님 = 408
제2장 로조 베이컨 = 415
1. 대철학자 = 417
A. 물리학 = 417
B. 사람 = 425
C. 존재 = 429
2. 개혁자 = 433
제3장 13세기 중반의 논리학자들 = 439
사변적 문법 = 439
신학과 논리학 = 442
시험을 위한 계획 = 444
셔우드의 윌리엄과 오세레의 람베르 = 445
스페인의 페테르 = 448
제8부 스콜라주의의 황금시대
제1장 프란치스코 학파 = 455
1. 할레스의 알렉산더와 라 로셀의 요한 = 455
2. 보나벤투라와 그의 학파 = 461
A. 하나님 = 462
B. 영혼 = 466
C. 세계 = 470
D. 보나벤투라 학파 = 473
아라스의 유스타키우스 = 473
브루게스의 발터 = 473
아콰스파르타의 마테우스 = 473
볼로냐의 바르톨로메우스 = 475
로저 마스턴 = 476
페테르 올리외 = 477
E. 해체와 부흥 = 480
비탈 뒤푸르 = 480
미들턴의 리처드 = 482
웨어의 윌리엄 = 485
라몬 룰 = 486
제2장 영국의 스콜라주의 신학자들 = 490
1. 로버트 킬워드비 = 492
2. 존 페캄 = 497
제3장 토마스 아퀴나스 = 501
1. 토마스주의 개혁 = 501
2. 신학과 철학 = 507
3. 하나님 = 510
4. 창조 = 516
5. 인간 = 519
6. 인간의 목적 = 524
7. 교차로에 선 토마스주의 = 527
제9부 1277년의 정죄
제1장 라틴 아베로에스주의 = 533
1. 브라방의 시제르 = 537
2. 스웨덴의 보에티우스 = 549
제2장 신학적 반발 = 554
보나벤투라 = 554
1270년의 에티엔느 탕피에르 = 555
1277년의 에티엔느 탕피에르 = 558
정죄받은 명제들 = 559
1277년 정죄의 중요성 = 561
제3장 철학적 논쟁 = 565
1. ‘수정책’ = 566
라 메어의 윌리엄 = 566
존 퀴도르트 = 569
볼로냐의 람베르트 = 570
2. 형상의 복수성 = 572
마스턴과 페캄 = 574
로마의 자일즈 = 575
레신네스의 자일즈 = 576
3. 실존과 본질 = 578
이 문제의 뜻 = 578
로마의 자일즈 = 581
서턴 = 582
퐁테느의 고드프리 = 583
토마스주의의 개념 = 585
제10부 14세기 스콜라주의
제1장 알베르트주의자와 신플라톤주의 = 591
1. 프리에베르크의 디트리히 = 594
2. 에크하르트 선생 = 600
3. 타울러와 라위스브루크 = 607
제2장 제2의 아우그스티누스학파 = 613
1. 겐트의 헨리 = 613
2. 요한네스 둔스 스코투스와 그의 학파 = 623
A. 형이상학과 그 대상 = 623
B. 신존재 = 626
C. 무한성과 우연성 = 629
D. 종과 개별자 = 632
E. 지성과 의지 = 634
F. 초기 스코투스주의 = 636
제3장 스콜라주의 신학의 해체 = 645
1. 생 푸르생의 뒤랑 = 647
2. 페테르 오리올 = 652
3. 하클리의 헨리 = 658
4. 갈멜파 = 661
제11부 현대의 길
제1장 오캄의 윌리엄 = 667
1. 직관과 추상작용 = 668
2. 표시 = 669
3. 가정과 표시 = 672
4. 지적 활동 = 674
5. 존재와 원인 = 676
6. 오캄주의의 정신 = 679
제2장 유명론 = 682
1. 워드햄, 홀코트, 리미니 = 683
2. 미레쿠르트의 존 = 687
3. 오트레쿠르트의 니콜라스 = 691
4. 장 뷔리당 = 698
5. 삭소니의 알베르트와 오레스메 = 704
6. 파리 학파의 확대 = 708
제3장 제2아베로에스주의 = 711
1. 잰던의 존 = 713
2.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 = 716
제4장 여로의 끝 = 721
1. 장 제르송 = 722
2. 쿠에스의 니콜라스 = 730
3.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 = 738
주 = 745
– 저자소개 : 에티엔느 질송
프랑스의 가톨릭 철학자.
스트라스부르, 솔본의 교수를 거쳐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중세학 연구소장으로 있었다.
그는 항상 철학사가이자 가콜릭철학자로서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매우 광범한 영역에 걸쳐 사실의 정확한 인정과 개개의 사상의 내적인 이해에 주력하였다.
특히 중세철학이 진정하고 높은 철학적 가치를 지녔음을 밝히는 동시에 근세 철학이 중세철학에 의해 얼마나 규제당하고 있는가를 보여준 것은 주목할 만하다.
– 역자 : 김기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서울대 대학원 (서양 철학 전공) 및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기독교 철학회 회원이며, 전문번역가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목회 사역중이다.
역서로는 『칼빈주의 강연』(아브라함 카이퍼), 『고백록』(성 아우구스티누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프란시스 쉐퍼), 『중세철학사』(에티엔느 질송), 『방송강의 철학사』(T. Z. 래빈), 『서양 사상의 황혼에서』(H. 도예베르트), 『이론적 사유의 신비판 서론』(H. 도예베르트), 『중세의 세계』(프리드리히 헤르) 등이 있다.
– 출판사 서평
이 책의 목적과 범위는 주후 2세기 순교자 유스티누스 (Justin Martyr)로 부터 새로운 역사 시기의 경계선에 서 있는 쿠에스의 니콜라스 (Nicholas of Cues)까지 이르는 기독교 철학의 역사에 대한 입문을 일반 독자들과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 당시 기독교 저자들이 철학적 개념을 사용한 것을 기독교 철학이라 부른다.
이 책은 어느 정도 문헌 정보를 전달하려고 하지만, 이 책의 강조점은 철학에 있다.
중세 시대의 일반적인 경우처럼 철학이 신학적 맥락에서만 나타나긴 하지만, 이 책은 철학적 견해들의 역사에 주로 관심을 둔다.
이 책이 우리가 고찰하고자 하는 1400년 동안에 일어난 중요한 발전을 충분히 소개하는 입문서 노릇을 해주었으면 한다.
주 (註)는 선생들이 강의를 이끌어 나가거나 상급 학생들이 연구 활동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우선적인 전문 정보를 틀림없이 제공해 줄 것이다.
참고 문헌에 있는 특별한 참고 자료들은 선생들과 상급 학생들에게 적절한 정보원으로 안내해 줄 것이다.
– 저자 ‘에티엔 질송’ (Étienne Gilson, 1884 ~ 1978) 개관
에티엔 질송 (Étienne Gilson)은 1884년 6월 13일 파리 7구에서 태어나 1978년 9월 19일 오세르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철학사가이다.
질송은 릴 대학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소르본, 하버드 대학교, 토론토 대학교, 고등연구실습원(EPHE),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었다.
또한 질송은 레지옹 도뇌르 그랑도피시에 훈장과 1914-1918 전쟁십자장을 수여받았다.
질송은 본인의 저서에서 중세 철학사를 전문적으로 다루며 철학의 역사적 분석에 크게 기여했다.
철학자로서 질송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작을 바탕으로 실재론을 옹호했다.
.생애
질송은 리세 앙리 4세를 졸업, 이후 뤼시앵 레비브륄(Lucien Lévy-Bruhl) 지도하에 1913년 데카르트의 자유와 신학(La Liberté chez Descartes et la théologie)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소르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그의 초기 관심사는 데카르트였다. 그러나 박사논문 집필중 데카르트의 철학에서 중세철학의 영향을 인지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중세사상,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과 신학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중세사상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된다.
소르본에서 교수자격시험(Habilitation)에 통과한 이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와 릴 대학교에서 중세철학 교수로 재임했으며 이후 1921년부터 자신의 모교인 소르본에서 11년 동안 교수활동을 하게 된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프랑스 고등연구실습원(EPHE)에서 중세철학 연구원장으로, 그리고 1923년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철학사 분과 책임자로 시무하게 된다.
질송의 활동은 프랑스와 유럽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1929년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교에 교황청립중세연구소(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를 창설하고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 등에서 초청교수로 활동하며 북미에서의 중세사상사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이와 같은 활발한 활동으로 1946년 프랑스의 최고의 지성인들에게만 허락되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이라는 영예까지 얻기에 이른다.
질송의 연구가 갖는 가장 큰 의미는 당시 20세기초까지 팽배했던 중세사상에 대한 통념, 즉 중세시대의 사상들은 철학이 아닌 신학이며 고대철학과 데카르트를 시작으로 한 근대철학 사이에 전혀 철학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존의 통념에 대항하여 자크 마리탱 등과 함께 중세의 기독교 철학이 역사적으로 분명히 존재했음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그가 기독교 철학의 개념 및 그것의 역사적 존재 여부에 대한 주장을 발표한 직후로부터 그의 입장은 커다란 논란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질송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이 문제와 관련하여 끊임없는 논쟁을 거듭해야 했으며, 그의 사후 사실상 그가 주장한 바 기독교 철학으로서의 중세철학이라는 개념이 오늘날 대다수의 중세학자들이 일종의 형용모순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그가 이 개념을 통해 20세기 중세철학사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킨 동시에 중세철학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 것은 물론, 이를 통해 물론 중세철학이 역사적 “존재”했음을 확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 점에서 중세철학사 연구의 발전에 지대한 공로를 세운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점은 그의 남긴 수많은 연구성과와 그를 반영하는 저작들이 아직까지도 중세사상사를 연구하는 모든 학자들은 물론 중세에 관심을 가진 모든 독자들에게 필독서로서 읽히고 있음이 방증한다.
.주요저서
La Liberté chez Descartes et la Théologie, Alcan, 1913.
Le thomisme, introduction au système de saint Thomas, Vrin, 1919.
Études de philosophie médiévale, Université de Strasbourg, 1921.
La philosophie au moyen-âge, vol.I : De Scot Erigène à saint Bonaventure, Payot, 1922.
La philosophie au moyen-âge, vol.II : De saint Thomas d’Aquin à Guillaume d’Occam, Payot, 1922.
La philosophie de saint Bonaventure, Vrin, 1924.
René Descartes. Discours de la méthode, texte et commentaire, Vrin, 1925.
Saint Thomas d’Aquin, Gabalda, 1925.
Introduction à l’étude de Saint Augustin, Vrin, 1929.
Études sur le rôle de la pensée médiévale dans la formation du système cartésien, Vrin, 1930.
L’esprit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Vrin, 1932.
Les Idées et les Lettres, Vrin, 1932.
Pour un ordre catholique, Desclée de Brouwer, 1934.
La théologie mystique de saint Bernard, Vrin, 1934.
Le réalisme méthodique, Téqui, 1935.
Christianisme et philosophie, Vrin, 1936.
The Unity of Philosophical Experience, Scribner’s, 1937.
Héloïse et Abélard, Vrin, 1938.
Dante et philosophie, Vrin, 1939.
Réalisme thomiste et critique de la connaissance, Vrin, 1939.
Théologie et histoire de la spiritualité, Vrin, 1943.
Notre démocratie, S.E.R.P., 1947.
L’être et l’essence, Vrin, 1948.
Saint Bernard, textes choisis et présentés, Plon, 1949.
L’École des Muses, Vrin, 1951.
Jean Duns Scot, introduction à ses positions fondamentales, Vrin, 1952.
Les métamorphoses de la cité de Dieu, Vrin, 1952.
Peinture et réalité, Vrin, 1958.
Le Philosophe et la Théologie, Fayard, 1960.
Introduction à la philosophie chrétienne, Vrin, 1960.
La paix de la sagesse, Aquinas, 1960.
Trois leçons sur le problème de l’existence de Dieu, Divinitas, 1961.
L’être et Dieu, Revue thomiste, 1962.
Introduction aux arts du Beau, Vrin, 1963.
Matières et formes, Vrin, 1965.
Les tribulations de Sophie, Vrin, 1967.
La société de masse et sa culture, Vrin, 1967.
Hommage à Bergson, Vrin, 1967.
Linguistique et philosophie, Vrin, 1969.
D’Aristote à Darwin et retour, Vrin, 1971.
Dante et Béatrice, études dantesques, Vrin, 1974.
Saint Thomas moraliste, Vrin, 1974.
L’athéisme difficile, Vrin, 1979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