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철학학교 / 비극론 / 철학입문 / 위대한 철학자들
칼 야스퍼스 / 동서문화사 / 2016.11.30
이 책은 1949년 바젤의 라디오강좌에서 강연한 내용을 엮은 것이다. <철학학교>와 함께, 오늘날 철학의 기본입문서로서 널리 손꼽히고 있다. 철학이란 무엇인가에서부터 철학의 근원, 신 인간 세계 인류의 역사 등과 철학적 생활태도와 철학의 역사에 대해 누구나 알기 쉽게끔 차분한 문체로 풀어 설명하고 있다.

○ 목차
[컬러화보]
- 철학학교
머리글…13
Ⅰ. 우주와 생명…17
1 두 사건 1919년 1945년/2 우주와 물질/3 생명 없는 우주의 사막과 지상 세계/4 자연과학에 의해 성립된 정신적 상황/5 세계를 알기 위한 테제
Ⅱ. 역사와 현대…28
1 오늘의 역사상/2 역사의 경이/3 역사란 자연적인 사건의 연속이 아니다/4 역사과학과 한계/5 현대 상황/6 자기 붕괴 과정의 인식/7 역사와 책임/8 역사의 극복
Ⅲ. 근본지식…39
1 회고와 새로운 질문/2 출발점 ,주관-객관-분열/3 철학적 기본조작, 현상에 얽매여 있는 세계에 대하여/4 포괄자의 양태/5 근본 지식에 의한 내적 상태 변화/6 주관-객관-분열 저쪽에서 제2의 실재를 찾는 헛된 탐구/7 다양한 철학적 사유의 길
Ⅳ. 인간…51
1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2 자연의 침묵 인간의 언어/3 우리는 세계와 역사, 우리 자신으로부터도 자기를 파악할 수 없다/4 인간 본질의 여러 규정/5 자기의 모든 현상에서 독립해 있음으로써 자신을 의식하는 인간은 누구인가/6 인간상을 둘러싼 싸움/7 만족하지 못하는 인간/8 자기 자신을 넘어서 세계 안에서의 진보/9 자기 자신을 넘어서 초월자/10 용기와 희망/11 인간의 존엄
Ⅴ. 정치적 토론…63
1 정치 문제에 대한 토론의 실례/2 이 토론에서 깨달을 수 있는 것/3 정치적 토론에서 철학적 숙고의 의의
Ⅵ. 정치에서의 인간 생성…74
1 정치의 두 극(極)/2 정치에서의 인간의 현상/3 정치에서의 인간의 위대함/4 정치적 자유의 길/5 정치적 자유의 역사성/6 자유에는 파멸이 존재하는가/7 자유의 자기 부정/8 자유에 대한 이의/9 양자택일/10 결단
Ⅶ. 인식과 가치판단…85
1 철학적 구별 행위/2 대화에서/3 막스 베버의 테제 가치판단에 대한 토론의 열정/4 자연과학과 정신과학/5 어떤 의미에서 자유는 존재하는가/6 대립하는 가치평가의 가능성/7 ‘궁극적 입장’의 구조/8 권력과 양자택일/9 요약/10 거리와 자유
Ⅷ. 심리학과 사회학…96
1 사회학과 심리학의 견해 마르크스와 프로이트/2 어느 마르크스주의자와의 토론/3 어느 정신분석학자와의 토론/4 이런 토론에 대하여/5 보편과학과 철학/6 전체과학의 여러 가지 결과/7 철학적으로 사유하는 인간의 근원성
Ⅸ. 공개성(公開性)…106
1 몇 가지 보기/2 진리의지 권력의지/3 정치 영역/4 정치적 자유이념을 통한 공개성의 상정(想定)/5 저술가의 공개적 세계/6 공개성의 이념과 현실/7 비밀 유지/8 검열/9 공개성이라는 모험
Ⅹ. 암호…118
1 하나의 예:시나이 산/2 그 밖의 예/3 자유의 경험에서 오는 암호의 유래/4 암호의 개념/5 초월자가 모습을 나타내는 것부터 암호로 말하는 것으로의 변화/6 성서적 세계의 변화 /7 암호 상호 간 투쟁에서 암호의 전개라는 이념
ⅩⅠ. 사랑…130
1 바울을 기억함/2 역사적 사랑/3 처음부터의 대립/4 성생활·연애·결혼이라는 도식/5 형이상학적인 사랑/6 형이상학적 사랑 출현의 문제성/7 형이상학적 사랑은 세계의 질서 속으로 들어설 수 있는가/8 사랑의 여러 계기/9 가장 넓은 의미의 사랑/10 사랑과 양심
ⅩⅡ. 죽음…141
1 사람만이 죽음을 안다/2 죽음은 왜 존재하는가/3 임종의 불안과 죽음의 불안/4 죽은 상태에 대한 표상/5 영원에의 충동/6 원환적(圓環的) 시간과 직선적 시간/7 시간성·무시간성·영원성/8 자기의식의 철학적 방향전환/9 영원성의 실존적 경험/10 사색의 말과 실존의 말/11 성실/12 죽음과 마주쳤을 때의 암호
ⅩⅢ. 세계의 철학…153
1 세계에 대한 철학의 관계/2 세계와 철학의 관계/3 철학은 진리를 원한다/4 성실성은 인간의 모험이다/5 철학적 귀족과 대중/6 철학자의 독립성/7 무력의 의식/8 현대의 종말과 직면하여
- 비극론
서론…167
종교 예술 문학, 이 세 가지 근원적 직관에 대하여
1장 비극적 지식…170
1 역사적 개관/2 비극적 지식의 존재의식과 비극성 없는 안전성/3 서사시와 비극에 나타난 비극적 지식/4 철학적 세계 해석과 계시종교에서의 비극성 극복/5 비극적인 것의 근본성격/6 비극적 지식의 해석 방향
2장 문학에서의 비극적 대상…182
1 비극적 분위기/2 투쟁과 알력/3 승리와 복종/4 죄/5 좌절에 있어서 인간의 위대함/6 진실성의 문제
3장 비극적인 것의 주관성…205
1 구원일반의 개념/2 비극성과 구원/3 비극적인 것 안에서의 구원/4 비극적인 것으로부터의 구원/5 비극적인 것의 탐미적 무책임성으로의 변화
4장 비극적인 것의 원리적 해석…217
1 신비적 해석/2 철학적 해석/3 해석의 한계
- 철학입문
1 철학이란 무엇인가…229
2 철학의 근원…236
3 포월자(包越者)…245
4 신(神)의 사상…253
5 무제약적인 요청…264
6 인간…273
7 세계…282
8 신앙과 계몽…290
9 인류의 역사…298
10 철학하는 인간의 독립성…309
11 철학적 생활태도…316
12 철학의 역사…325
- 위대한 철학자들
머리글…339
소크라테스…341
석가모니…367
공자…396
예수…428
4대 성인의 비교…460
- 야스퍼스 생애와 사상
Ⅰ. 야스퍼스가 걸어온 길…475
Ⅱ. 야스퍼스의 사상…525
야스퍼스 연보…589

○ 저자소개 : 칼 야스퍼스
야스퍼스는 ‘실존철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고 ‘실존철학’을 제목으로 하는 책을 최초로 쓴 독일의 철학자이다.
실존철학은 물론 심리학, 정신의학, 정치철학, 세계철학사 등에 대한 열정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여러 저작을 남겼다.
그가 28세에 쓴 『정신병리학총론』은 아직까지도 정신병리학의 교과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의학을 먼저 전공하고 심리학, 철학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해온 독특한 이력은 그가 철학을 하기 위해 일부러 선택한 과정이었다.
야스퍼스 스스로 의학과 자연과학을 섭렵한 자신에게서는 철학이 살아 숨 쉴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러한 이력 덕분에 야스퍼스는 과학자들에게는 철학자로 여겨지고 철학자들에게는 과학자로 여겨지는 곤란함을 겪었다.
야스퍼스가 보기에 철학자들은 실재를 너무 도외시했고 과학자들은 사유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
야스퍼스의 평생의 화두는 독단에 빠지지 않는 참다운 철학이었다.
야스퍼스는 나치 시절에 부인 거트루드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강제로 휴직을 해야 했을 때 한 마지막 강의에서 “우리의 강의는 중단되지만 철학함의 자세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라고 말해 그치지 않는 박수를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야스퍼스의 태도는 나치 통치가 종식된 후 독일에서 대중적 인기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바젤로 이주하게 된 이유에서도 엿볼 수 있다.
대중들이 자신을 좋아하면서도 자신의 사상에 동참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실망한 야스퍼스에게 대중의 인기는 “우정 어린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해도 참답지 못한 것이어서 유해한” 것이었다.
야스퍼스는 나치 시절을 지나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죄책이며 인간은 누구나 어떻게 통치되는지에 대해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바젤에서 야스퍼스는 헛된 명성에서 벗어나 인기와는 무관한 자기 자신의 고유한 삶을 살았다.
태어날 때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평생토록 죽음의 문턱을 넘나들며 살았던 야스퍼스는 그 덕분에 오히려 삶이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알았다고 한다.
야스퍼스는 어디에서나 소박함을 유지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유언장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러고는 생전에 매입해 두었던 조국 독일을 바라볼 수 있는 묘역에 묻혔다.
야스퍼스는 평생 스스로 ‘다르게는 될 수 없는 자기 자신의 존재’라 묘사했던 그 자기 자신으로 살았다.
주요 저서로 『정신병리학총론』(1913), 『세계관의 심리학』(1919), 『현대의 정신적 상황』(1931), 『철학 I, II, III』(1932), 『이성과 실존』(1935), 『실존철학』(1938), 『죄책론』(1946), 『진리에 관하여』(1947), 『철학적 신앙』(1948), 『역사의 기원과 목표』(1949), 『원자탄과 인류의 미래』(1958), 『계시에 직면한 철학적 신앙』(1962) 등이 있다.
– 역자: 전양범
성균관대학교 및 동대학원 졸업. 독일 BOCHUM대학 독문학과 수료. 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및 한양대학교 강의. 성결대학교 교수 역임. 지은책 연구논문집 다수. 옮긴책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그리스철학자열전」, 마르틴 하이데거「존재와 시간」이 있다.

○ 출판사 서평
독일 실존철학의 선구 카를 야스퍼스, 이성적 성찰과 실존적 결단, 인생사랑 철학적 생활방법 강렬한 호소! 야스퍼스 대표명저 4권 완역수록!
- 실존철학은 인생사랑이다
독일 실존철학을 대표하는 야스퍼스. 1913년 ‘정신병리학총론’을 저술하여 정신병리학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한 그는, 막스 베버와 친교를 맺으면서 철학에 대한 관심도 더욱 깊어졌다. 1921년 철학 교수가 된 뒤 철학적 사색에 몰두,「현대의 정신적 상황」(1931)에 이은 주요 저서「철학」(3권, 1932)을 발표함으로써 실존철학자로서의 이름을 떨쳤다. 아내가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나치스의 탄압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뒤에도 꾸준한 연구활동을 벌이며 수많은 저작을 내놓았고, 하이데거와 함께 현대 독일철학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대표 저서로「진리에 대하여」(1947), 「철학적 신앙」(1948),「철학입문」(1950), 「비극론」(1952),「위대한 철학자들」(제1권, 1957),「계시와 마주친 철학적 신앙」(1962), 「철학학교」(1965) 등이 있다.
- 야스퍼스 정치철학 핵심 「철학학교」
「철학학교」는 1964년 가을, 바이에른 방송 TV대학에서 매주 1회씩 3개월간 강연한 내용을 엮은 것이다. 야스퍼스는, 철학은 인간다운 인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며,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강의 제목을 ‘철학적 사유 작은 학교=철학학교’로 정했다. 1949년 바젤의 라디오강좌 강연 내용을 엮은「철학학교」와 같은 의도에서 발간되었으며, 이 두 책은 오늘날 철학의 기본입문서로서 널리 손꼽히고 있다.
「철학학교」는 우주와 생명의 근원, 역사와 현대, 철학의 근본지식, 인간이란 무엇인가, 사랑과 죽음 등에 대한 야스퍼스의 사상을 설명한다. 야스퍼스는 이 책에서, 읽는 이로 하여금 스스로 그의 사유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 신기한 호소력과, 난해한 사상을 담담하게 펼쳐나가는 투명한 표현력을 남김없이 보여준다. 이것은 야스퍼스와 같은 노철학자의 달관(達觀)의 경지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다.
「철학학교」에서는 무엇보다도, 만년의 야스퍼스가 가장 큰 관심을 가졌던 정치적 문제에 대해 많은 비중을 두었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철학입문」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던 정치문제를「철학학교」에서는 5장부터 9장까지 중요한 테마로 다루었고, 이것은 책 전체의 1/3에 해당한다. 여기에는 야스퍼스 정치철학의 핵심문제들이 거의 총망라되어 있다.
만년의 야스퍼스는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갖고 마르크스주의, 원자탄의 문제, 독일의 재통일 문제 등 현실적인 정치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자신의 의견을 거침없이 드러냈다.「철학학교」는 이러한 의견을 정리해 놓고 그 철학적 기초를 밝힌 것이라 할 수 있다.
- 비극성의 본질 밝히다! 「비극론」
「비극론」은 본디 「진리에 대하여」(1947)의 일부이다. 그러나 독립된 주제를 다룬 탓으로 1952년, 이 부분만 떼어「비극론」이라는 단행본으로 간행했다.
야스퍼스는 비극성을 존재의 근본양상으로 보거나 세계의 구조원리, 또는 일반적 법칙으로 보는 종래의 설명은 비극성의 본질을 규명하지 못한 것이라고 본다. 비극성은 고뇌 일반도 아니고 변증법적인 부정원리도 아니다. 이러한 설명은 비극성을 곡해하는 것으로 배척되어야 한다. 비극성은 현상계 안에, 곧 인간의 현실존재 속에 있다. 인간의 선이나 성공의 저편에 있는 불가피한 좌절, 좌절을 통해 획득되는 초월에의 움직임, 초월에 의한 해탈, 이러한 것이 혼연일체가 되어 이루어진 것이 비극이다. 따라서 비극은 인간 존재의 적나라한 모습을 드러낼 뿐 아니라, 초월자에 대한 감지도 직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소포클레스, 셰익스피어 등의 비극을 예로 비극의 비극성을 해명한 이 책은 문학이나 예술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 철학 기본입문서 「철학입문」
이 책은 1949년 바젤의 라디오강좌에서 강연한 내용을 엮은 것이다.「철학학교」와 함께, 오늘날 철학의 기본입문서로서 널리 손꼽히고 있다. 철학이란 무엇인가에서부터 철학의 근원, 신 인간 세계 인류의 역사 등과 철학적 생활태도와 철학의 역사에 대해 누구나 알기 쉽게끔 차분한 문체로 풀어 설명하고 있다.
「철학입문」 속에서 야스퍼스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철학적 생활태도에 대해 말한다.
“실제로 부여받은 일이나 매일의 요구에 따르는 것은 인간의 현존재에게 과연 확실히 가장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어떤 일이나 여러 가지 목적에 몰두하는 것은 벌써 자기 망각의 길이며, 동시에 태만이고 죄라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철학적인 생활태도의 의지이다.”
- 인간이 나아갈 바른 길! 「위대한 철학자들」
“인류사상 끼친 영향의 범위나 깊이에 있어서 도저히 다른 이들과 비교될 수 없는 네 사람의 비범한 인물이 있다. 물론 어느 소수의 집단에서 이들과 똑같은 중요성을 가진 위인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좀 더 넓은 관점에서 오랜 세월에 걸친 지속적인 영향을 생각할 때 소크라테스, 석가모니, 공자, 예수를 능가할 위인은 없다. 그리하여 우리가 세계 역사를 좀 더 명확히 이해하려면 이 네 사람을 특별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야스퍼스가 머리글에서 밝혔듯,「위대한 철학자들」은 인류 역사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네 명의 성인, 즉 소크라테스, 석가모니, 공자, 예수에 대해 다룬 책이다. 네 성인의 생애와 근본사상, 삶의 다양한 모습과 깨달음, 그들이 이야기한 진리와 그들의 공통점, 차이점 등을 누구나 알기 쉽게 설명한다. 그들이 어떤 까닭으로 성인으로 불리게 되었는지, 인간이 나아갈 바른 길을 제시하는 삶의 지표로서 역사에 남게 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철학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석가모니나 예수의 경우, 오늘날 단지 성인이 아닌 신으로서 받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야스퍼스는 소크라테스나 공자는 물론이고, 석가모니나 예수 또한 그들의 참된 본질은 그들 ‘인간’으로서의 모습에서 나온다고 보았다. 이 네 성인은 인간이었으나, 인류가 처한 상황과 문제를 극복할 진리를 추구하고 해답을 구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스스로 겪으며 이겨냈다. 네 성인이 온몸을 바쳐 이룩한 진리는 인류의 앞길을 밝히고 있으며, 그렇기에 수천 년 전 인물이면서도 오늘날 현대인과도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 철학적 생활방법-이성적 성찰, 실존적 결단
야스퍼스의 철학사상은 실존에서의 사색이며, 이성에 따른 사색이자 초월자에 대한 철학적 신앙이다. 야스퍼스의 철학은 매우 포괄적이며 난해하지만 막연하나마 야스퍼스의 철학으로부터 철학적 생활태도라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인간의 생활방식에는 일상적, 과학적, 종교적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그것들과는 다른 철학적 생활방식도 있다. 철학이 인간의 생활방식 속에 반영되고 철학적 생활태도가 지켜진다면, 철학은 하나의 생명을 획득하는 것이다.
인생사랑 철학적 생활방법은 자신에 대해서 매일 성찰하는 데 바탕을 두며, 늘 이성의 눈을 뜨고, 끝까지 자기의 본질적인 것에 다다르려고 하는 생활태도이다. 실존의 자유에 대한 자각이나 그것에 따르는 초월자의 확인도 그러한 생활태도 속에서 처음으로 생기는 것이다. 철학적으로 사는 인간은 자기를 끊임없이 성찰할 뿐만 아니라 언제나 열린 마음으로 타인과의 사귐을 구한다. 실존하는 인간은 현재가 항상 영원히 연결됨을 알고 지금=여기의 결단에서 자기가 진실한 인간으로서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요컨대 이성적 성찰과 실존적 결단에 따른 생활, 그것이 야스퍼스가 강조하는 철학적 생활태도다. 방대한 저작 속에서, 야스퍼스는 오직 이 한 가지만을 강렬하게 호소한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