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인문학교실
우리말 우리글 그리고 언어학
오늘 발표의 논점은…
1. 우리글은 그 정교함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훌륭한 글. 그러나 우리말이 우리글 처럼 훌륭하다는 증거는 없음.
2. 언어학은우리가 우리의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학문. 이런 의미에서 인간인 우리 자신을 연구하는 학문.
3. 이중언어 구사의 맥락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 호주 한인들은 우리자신을 살펴봄에 있어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
오늘 발표의 제한성
• 우리말, 우리글, 언어학 … 어느 하나도 1시간 안에 담아낼 수 있는 내용이 아님.
• 그럼에도, 언어학도가 아니신 청중을 대상으로 또 우리가 우리를 알아가는 인문학 강좌에 관심을 가지신 청중을 대상으로, 우리말, 우리글, 언어학의 개론적 소개에 아주 조금 부분적으로 덧붙이고자 하는 발표.
• 미리 밝히고 시작함.
출발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세종대왕이 창제하신 한국어…” 라고 하거나 언어학을 공부하셨다니, “멜버른이 맞아요, 멜번이 맞아요? … 멜본은요?” 라고하심.
언어학은…
인간의 언어를 분석 기술하는 학문
음성학 소리
——-
음운론
형태론 – 문법
구문론
——-
의미론 – 의미
화용론
음성학
음운론 – ‘소리의 문법’을 연구
형태론 – ‘단어의 문법’을 연구
구문론 – ‘문장의 문법’을 연구
의미론 – ‘의미체계’, ‘의미변화’ 등을 연구
화용론 – ‘언어 사용의 맥락과 상황’을 연구
인접 학문과 교차하는 영역에서의 언어학
음운론: 사회언어학 – ‘언어와 사회’를 연구. 방언, 언어접촉, 이중 / 다중언어…
(언어는 사회학의 대상, 심리학의 대상?)
형태론: 심리언어학 – 언어 능력과 관련된 심리학적 생물학적 과정을 연구. 언어습득, 언어 처리, 언어 장애 …
구문론: 역사언어학 – 통시적 현상으로서의 언어 연구. 언어 변화, 언어 분류, 비교 언어, 언어의 기원…
의미론: 인류언어학 – 언어와 문화, field work, 언어의 기원, 진화…
화용론: 응용언어학 – 언어교육, 언어정책, 통번역…
융합, 복합, 연계, 통섭 등의 개념들과 함께…
기술언어학
음운론: 사회언어학 – 대조언어학
(상대적으로 긴 역사)
형태론: 심리언어학 – 인지언어학
구문론: 역사언어학 – 언어민속지
——–
의미론: 인류언어학 – 말뭉치언어학
화용론: 응용언어학 – 언어정보학
음성학, 언어학, 기호학, 미디어케뮤니케이션학
요컨대 …
• 언어학은 우리가 우리의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학문. 이런 의미에서 인간인 우리 자신을 연구하는 학문.
• 규범적 가치 지향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 아니라고 생각함. 언중의 언어 사용을 이끄는 일은 보통 창작하시는 분들이. 물론, ‘새로운’ 언어 사용의 규칙성 발견은 언어학자가.
• 국립국어원에서 ‘멜번’이나 ‘멜본’이 아닌 ‘멜버른’을 표준으로 삼았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신기현님 들어가실게요.” (한국의 병원에서 간호원이 발표자에게)
• “재미있지말입니다.” (‘태양의 후예’에서 하사관이 장교에게)
• “언니, 여기 물 좀 더 주세요.” (한국의 음식점에서 60대 여성이 20대 여성에게)
우리말은 …
우리말의 소리 (모음)
우리말의 소리 (모음) …
우리말의 소리 (모음)
우리말의 소리 (모음) …
우리말의 소리 (모음)
우리말의 소리 (모음) …
우리말의 소리 (모음)
우리말의 소리 (자음– 초성) …
우리말의 소리 (자음– 초성) …
우리말의 소리 (자음– 초성) …
우리말의 소리 (자음– 종성) …
우리말의 소리 (자음– 종성) …
우리말의 소리 (자음– 종성) …
우리말은 …
• Martin, S. (1964). Speech Levels in Japan and Korea. In Hymes, D. (ed.) Language in Culture and Society. NY: Harper & Row. pp405-415.
‘어말어미’
우리말의 동사 …
우리말의 동사 …
우리말의 동사 …
우리말의 동사 …
우리말의 동사 …
우리말의 동사 …
우리말의 주제어, 주어, 목적어 그리고 서법
Ross, J. R. (1982) “Pronoun Deleting Processes in Germa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San Diego, California.
우리말의 화용상 특색
• 우리말의 “콜라주세요.”와 영어의 “Can I have a coke please?”가 보이는 차이점이 시사하는 것이 무엇인가?
• ‘우리 형’이나 ‘내 동생’은 괜찮은 표현인데, ‘내 형’과 ‘우리 동생’은 왜 이상한가?
요컨대…
• 우리말은 파열음이 압도 다수 존재하고 (마찰음보다), 음절말에 오는 자음의 수가 제한적. 상대 높임, 주체 높임을 포함하여 동사에 표시되는 정보가 많아 동사의 구조가 매우 복잡함. 반면, 명사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 또 주어와 목적어가 자주 생략됨.
• 감정 전달에 특화? 정보 전달에의 효율성? 사유의 도구로서? …
• 특색은 특색일 뿐.
우리글은…
• 매우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 체계
안병희. (2007:26).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부언하면 …
다른 문자들과 달리, 누가 언제 어떻게 왜 만들었는지 알 수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 지를 보이는 ‘설명서’가 존재하며
우리말 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의 말도 표기할 수 있는 간결하나 깊이 있고 효율적인 시스템 (자음과 모음의 구분, 초성과 종성을 다루는 방식)
• Geoffrey Samson의 분류에 따르면, 한글은 표음문자 그리고 표음문자 중 유일한 ‘자질문자’
Sampson, G. (2015). Writing Systems. 2nd Edition. Equinox Pub.
자질 문자란 (훈민정음 – 자음)
세종대왕이 여러 ‘방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했던 ‘자질’ 중 서구 언어학의 패러다임 안에서 설명이 가능한 것은…
• ‘가획’이 나타내는 자질 (경음 – heavily aspirated)
• ‘병서’가 나타내는 자질 (격음 – unaspirated)
• ‘연서’가 나타내는 자질 (순경음 – bilabial fricative)
자질 문자란 (훈민정음– 모음)
세종이 여러 ‘방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했던 ‘자질’ 중 서구언어학의 패러다임 안에서 설명이 가능한 것은…
• ‘재출’이 나타내는 자질 (‘ㅣ’계의 이중모음– y prefixed)
초성자음자
종성 자음자
• 소리 값이 다르니, 초성 자음자와 중성 모음자 외에 종성 자음자를 달리할 것인가?
• 終聲復用初聲 – 원칙
• 八字可足用
종성 자음자
• ‘빋’의 뒤에 주격 조사 ‘이’를 붙이니, ‘비시’, ‘비지’, ‘비치’로 소리남.
• 비슷한 맥락에서, 거의 모든 초성 자음이 종성 자음으로도 존재함을 알 수 있음. 따라서, 초성과 종성 자음자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음. 終聲復用初聲
• ‘빗’과 ‘빚’, ‘빛’이 ‘빋’으로 소리나는 것은 음절말 자음에 적용되는 소리 규칙에 따른 것. 八字可足用
• 우리말에는 둘 이상의 자음이 초성 또는 종성에 나타날 수 있음도 알 수 있음. 음절말에서의 소리규칙이 적용.
• ‘음소’와 ‘이음’
몇 가지 생각해 볼만한 문제…
• 깻잎 (깬닙? Why not 깨십?)
• 십육 (심뉵? Not 시뷱?)
• 시드니 (Sounds like ‘Shi-deu-ni’, not ‘Sid-ni’)
• 타롱가주 (Joo? Can’t you say zoo?)
• 찌아찌아족 (로마자를 쓰는 베트남인과 같은 로마자를 쓰는 이탈리아인이 쉽게 대화를 할 수 있을까?)
• 한자와 한글
종합하면…
1. 말과 글은 다른 개체. 우리 글은 그 정교함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훌륭한 글. 그러나 우리말이 우리글처럼 훌륭하다는 증거는없음.
2. 언어학은 우리가 우리의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학문. 언어학은 이런 의미에서 인문학이라고 생각함.
3. 이중언어 구사자인 우리는 우리 자신을 살펴 봄에 있어 겸손한 자세를 가져야할 필요가 있음. 우리 옆에는 항상 ‘비교대상’이 존재하며, 우리를 살필 때, ‘우리’와 그 ‘비교 대상’의 상위에 존재하는 실체를 무시할 수 없기에.
신기현 교수
린필드한국학교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