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오늘
1037년 1월 8일, 중국 북송의 시인이자 문장가 · 학자 · 정치가 소동파 (蘇東坡) / 소식 (蘇軾, 1037 ~ 1101) 출생
당송팔대가 (唐宋八大家)
소동파 (蘇東坡) / 소식 (蘇軾, 1037년 1월 8일 ~ 1101년 8월 24일 / 음력 7월 28일)은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이자 문장가, 학자, 정치가이다.
그의 자 (字)는 자첨 (子瞻)이고 호는 동파거사 (東坡居士)였다. 흔히 소동파 (蘇東坡)라고 부른다. 현 쓰촨성 미산 (眉山)현에서 태어났다. 시 (詩),사 (詞),부 (賦),산문 (散文) 등 모두에 능해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혔다.
소동파는 송시의 성격을 확립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 대시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대문장가였고 중국문학사상 처음으로 호방사 (豪放詞)를 개척한 호방파의 대표 사인 (詞人)이었다. 그는 또 북송사대가로 손꼽히는 유명 서예가이기도 했고 문호주죽파 (文湖州竹派)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중국 문인화풍을 확립한 뛰어난 화가이기도 했다. 한 마디로 말해서 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 천재 예술가요 못 하는 것이 없었던 팔방미인으로서 그가 세상을 떠난 지 천 년이 다 돼 가는 지금까지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중국문예사상 가장 걸출한 인물이었다.
– 소식 (蘇軾), 소동파 (蘇東坡)
.출생: 1037년, 1월 8일, 쓰촨(四川) 성 메이산시
.사망: 1101년 8월 24일 / 음력 7월 28일(정해, 64세), 송나라
.자(字): 자첨 (子瞻)
.호: 동파거사 (東坡居士)
.시호: 문충 (文忠)
.최종직위: 태사 (太師)
.주군: 송신종, 송철종, 송휘종
.국적: 북송 (北宋)
.직업: 시인, 학자, 화가, 서예가, 정치가
.부친: 소순 (蘇洵)
.배우자: 왕윤지
북송(北宋)의 시인이자, 학자, 정치가이다. 미주 (지금의 쓰촨성) 미산 출신으로 자는 자첨 (子瞻), 호는 동파 (東坡)다. 소식이란 이름보단 성씨에 호를 붙여서 부르는 방식인 소동파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아버지 소순, 동생 소철과 함께 당송팔대가 (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22세에 과거에 합격했으나 직후 모친 상 (喪)을 치러야 했고, 또 그 직후엔 상경하고 얼마 안 되어 아내와 부친 상을 치러야 해서 또 낙향해야 했다.
이후 33세가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벼슬길에 오르는데, 이때는 마침 송신종의 시대로 왕안석의 신법 운동으로 인해 조정이 소용돌이에 휘말렸던 때였다. 소식은 국가 정책의 개선 자체에는 찬성했으나, 왕안석의 세력을 구성하는 인물들의 위선과 속됨 때문에 왕안석 본인에게도 의심을 품고 있었고, 또한 급격한 개혁은 오히려 국정에 혼란만을 가중시킬 것이라 우려했다. 일반적으로 소식을 구법당의 일파로 보지만, 그는 구법당의 의견에도 전적으로 찬성하지 않는 소수파였다. 실제로 후에 구법당이 신법을 일괄적으로 폐지하려 하자, 그는 일부 법은 존속시킬 것을 주장한다.
그 때문에 자신의 출중한 문장력으로 상소를 여러 차례 올려 황제를 설득하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지방관으로 발령받아 오랫동안 지방을 전전했다. 이 과정에서 부임지의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많은 정책을 시행해 명성을 얻었으며, 남송 수도가 될 임안 (지금의 항저우) 지사로 가서 임안을 더 발전시키고 온다. 동파육에 대한 고사 (故事)도 이 과정에서 나왔다. 그러다 1079년에 지방의 실태를 올린 상소가 신법당 일파의 눈에 거슬려 (이 때 왕안석은 실각한 상태였다) 파직당하고 문초까지 받았으나, 태조의 유훈도 있고 하여 목숨은 건져 유배형을 당했다. 이후 유배 생활을 하면서 신선 사상 등에도 심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에 신종이 죽고 구법당이 집권하면서 소식은 예부상서로 정계에 복귀하였으나, 이미 신법의 유효성 여부는 안중에도 없이 권력쟁탈의 빌미로만 이용하는 조정의 상황에 눈살을 찌푸렸고, 특히 당시 세를 불려던 성리학자들과 사이가 나빠져 또 귀양 당했다. 훗날 성리학을 숭상하는 이들이 이런 사실과는 상관없이 소식의 시를 추앙한다.
이때 유배된 곳이 해남인데 소식 덕분에 해남에 학문이 전해졌다고 한다. 이전까지 해남 출신들은 과거를 본다는 것 자체도 생각지 못했는데 소식이 가르친 제자들 몇이 해남 최초로 과거에 급제했다고 한다. 그 뒤 휘종이 즉위하면서 사면받아 상경하던 도중에 병으로 객사하였다.
○ 생애 및 활동
송나라 때 저명한 문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소순(蘇洵)이었고, 그 아우도 소철(蘇轍)로 유명한 문인이다. 이 세 부자를 사람들은 삼소(三蘇)라고 불렀는데, 모두 당송팔대가로 손꼽혔다.
당송8대가의 하나인 구양수 문하에서 배웠으며, 22세에 과거에 급제 일찌감치 문재를 알렸다. 당시 북송(北宋)은 왕안석 등이 주창한 신법을 둘러싸고 당쟁이 확산될 시기였는데, 소동파는 신법에 반대하는 입장이었고(이를 구법당이라 하며, 구법당의 영수는 ‘자치통감’의 저자인 사마광이었다), 이로 인해 정치적인 부침을 거듭했다. 1079년에는 황주(호북성)로 유배를 갔지만 낙천적인 성격으로 6년간의 유배 생활을 무사히 끝냈다. 이후 승진을 거듭하여 한림학사의 지위에 올랐다. 그러나 1094년 다시 신법당이 득세하면서 혜주(광동성)으로 유배되었고 3년 후인 1097년 중국 최남단인 해남도까지 귀양을 갔다. 당시 해남도는 주민 대부분이 소수민족인 여족으로 이루어진 미개척 섬이었고 소동파는 셋째아들 소과만을 데리고 갔다. 해남도에서도 소동파는 뛰어난 적응력을 발휘해 주민들의 인망을 얻었고 중앙의 명을 받고 살던 집에서 쫓겨났을 때에도 해남도 사람들의 도움으로 오두막을 지어 살 수 있었다. 이후 신법당을 지지했던 철종이 죽고 복권되었으나, 귀양길에서 돌아오는 도중 남경에서 6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2번 결혼하여 슬하에 네 아들을 두었다.
항저우, 밀주, 서주, 호주 등에서 벼슬을 지냈다.
○ 작품들
– 시문집
동파칠집 (東坡七集)
– 수필집
答謝民師論文帖
祭黃幾道文
전적벽부(前赤壁賦)
黃州寒食詩帖
題西林壁
飲湖上初晴後雨
– 그림
행목괴석도(枯木怪石圖)
죽석도(竹石圖)
– 저술
동파역전 (주역 해설서)
○ 사상
소동파의 회화론에서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대나무를 그릴 때는 먼저 네 마음 속에 대나무가 있어야 한다.’ 이는 각 개인마다 지닌 대나무를 먼저 들여다봐야한다는 뜻으로 소동파가 생각하는 회화론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소동파는 기본적으로 유교사상에 뿌리를 둔 현실참여주의자로서 나라를 걱정하고 백성을 구제해야 한다는 지식인으로서의 사명감이 매우 투철했다. 게다가 그는 워낙 다정다감한 성격의 소유자였기 때문에 백성에 대한 연민의 정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에 대한 인간적 애정과 관심도 유난히 깊었다.
그러나 그는 한편으로 불교사상과 도교사상에서 비롯된 현실도피적 사고방식도 동시에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물질세계의 허무성과 무가치성을 간파하고 물질세계 바깥에서 노닐려는 초월적 인생관도 지니고 있었으며, 그 결과로 자연을 매우 사랑했고 나아가 그 자신이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다. 그리고 이처럼 세속적인 가치에 대하여 초연할 수 있었기에 그는 온갖 정치적 핍박 속에서 자신의 출중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해 보기는커녕 일생의 대부분을 유배 생활과 지방관 생활로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긍정적인 태도로 삶에 임할 수 있었다.
○ 영향
– 시
소동파의 시는 송(宋)나라 때부터 중국은 물론 고려나 요(遼)나라 같은 이웃 나라에까지도 널리 알려져 있었던 만큼 독자의 수요에 부응하여 그의 시집 역시 송나라 때부터 시작하여 줄곧 간행되어 왔으며, 이 가운데는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도 아주 많다.
소동파(蘇東坡, 1036~1101)가 우리 문단에 끼친 영향은 실로 지대했다. 그러기에 이규보(李奎報, 1168~1241)는 “세상의 학자들이 처음에는 과거시험에 필요한 문체를 익히느라 풍월을 일삼을 겨를이 없다가 과거에 급제하고 나서 시 짓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면 소동파 시 읽기를 무척이나 좋아하기 때문에 매년 과거의 방이 나붙은 뒤에 사람마다 금년에 또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왔다고 여긴다”라고 했고,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까지는 오로지 만당(晩唐) 시만 익혔고 고려 중엽에는 오로지 소동파 시만 배웠다”라고 했다. 김부식(金富軾, 1075~1151)과 동생 김부철(金富轍)의 이름이 소동파(본명 軾)와 소철(蘇轍) 형제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은 소동파에 대한 우리 문인들의 추앙심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하겠다. 이렇듯 우리의 선조들은 소동파 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음식 : 동파육 (東坡肉)
여가가 날 때마다 소동파는 틈틈이 돼지고기를 쪄서 먹곤 했다고 전해진다. 요리를 하던 중에 오랜 친구가 그를 방문해서 바둑을 두곤 했다. 소동파는 바둑에 열중해서 타는 냄새가 나도록 고기를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이렇게 내 놓은 것이 바로 동파육(東坡肉)이라고 하여 거지닭(叫花鷄)과 함께 항저우의 유명한 음식이 되었다.
– 고려에 대한 이해
貊賊 入貢 無絲髮利 而 有五害 今請 諸書 與 收買 金箔 皆 宜勿許。
맥적이 들어와 조공하는 것이 터럭만큼도 이익은 없고 다섯 가지 손해만 있습니다. 지금 요청한 여러 서책과 더불어 거두어 사가는 금박 모두 마땅히 허락하지 말아야 합니다. – 《송사》, 외국열전, 고려전
중국에서 위인이자 시인으로 알아주는 인물이지만 고려를 천한 나라라고 하는가 하면 고려에 대한 서책 수출을 금지해야 한다고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연호도 송나라와 다른 연호를 쓰며 멋대로 고려 황제를 칭한다고 말이다. 한편, 서책 수출을 반대한 데에는 송의 안습한 대외관계 탓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사방에서 틈만 나면 송을 뜯어먹으니, 그런 나라 사정 속에선 고려도 위험한 예비 적성국가로 보였을 법하다는 것. 실제로 대각국사 의천이 송나라에 왔을 때 엄청나게 디스를 걸었다. 하지만 당시 요나라에 하도 치인 탓에 고려를 홀대할 수 없었던 송나라의 사정상, 의천의 안내역할까지 해야 했다.
그런데 당시 송나라의 상황을 고려하면 소동파의 주장도 아예 일리가 없는건 아닌데, 실제 당시 송은 고려 사신을 후하게 대접해주었고 이는 송의 재정에 꽤나 부담이 되었다. 심지어 일부 사신들은 돌아가는 길에 송나라인의 물건을 강탈하기도 하는 안하무인적 행태를 보여줬다는 말도 있다. 허나 당시 국제관계상 송은 고려를 어쩌지 못했다. 소동파 입장에선 북송이 고려에 휘둘리는 것을 안타까워했고, 이런 감정을 고려에 대한 미움으로 발전시켰을 수도 있다.
한편, 소식은 고려인이나 후세의 조선인들에게는 인기가 많았다. 고려에서 조선 중기에 이르기까지 시는 모름지기 소식과 황정견을 모범으로 삼았고, 과거에 급제한 33명을 가리켜 삼십동파출이라고 할 정도로 소식에 대한 인기는 높았다.
결론적으로 고려에 대해 반목하는 감정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나, 단순한 편견만은 아니다. 기록을 보면 그의 제자인 장뢰가 당시 송나라에서 인기를 끌던 고려 부채]를 구해 주자 고려 부채를 칭찬하는 시를 짓기도 한걸 보면 ‘고려’ 자체를 싫어한 것이 아니고 당시 고려 정부의 행실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걸로 보인다.
이러한 소동파 본인의 성향과 별개로 그의 한시가 상당한 가치를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며 이러한 성향을 이유로 그의 업적을 절하하는 것은 옳지 않다.
○ 족보 및 자료
오늘날까지 동양에서 이어지는 족보의 원형은 소순(蘇洵; 부)·소식(蘇軾)·소철(蘇轍; 제)이 정리한 보첩에서 비롯하였다.
소동파에 대한 자료는 『송사』 권338, 「열전」97 ‘소식’편에서 볼 수 있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