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오늘
1694년 11월 21일, 계몽주의 작가 ‘프랑수아마리 아루에’ (François-Marie Arouet) 필명 ‘볼테르’ (Voltaire, 1694 ~ 1778) 출생
프랑수아마리 아루에 (프: François-Marie Arouet)는 필명인 볼테르 (Voltaire, 1694년 11월 21일 ~ 1778년 5월 30일)로 널리 알려진 프랑스의 계몽주의 작가이다.
‘샤를 12세의 역사’, ‘루이 14세의 시대’, ‘각 국민의 풍습·정신론’, ‘캉디드’ 등이 대표작이다.
드니 디드로, 장 자크 루소와 함께 대표적인 계몽 사상가로 손꼽히는 인물이며, 평생을 권위, 비관용에 맞서 싸웠다. 일대기도 거의 대부분 ‘책을 내고, 성명을 발표해, 분노를 샀으며, 투옥되거나 망명했고 철학자들을 비판했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의 인생역정 덕분인지 셀 수 없을 정도로 재치 넘치는 말을 많이 남겼으며 이런 말들은 현대에도 자주 인용되지만, 사실 그 중 태반은 그가 직접 한 말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나는 당신에게 동의하지 않는다. 하지만 난 당신이 주장할 권리를 위해 싸우겠다.’는 말은 1907년에 에벌린 비어트리스 홀 (Evelyn Beatrice Hall)이 ‘볼테르의 친구들’ (The friends of Voltaire)이라는 볼테르 평전에서 ‘볼테르의 태도는 이러했다’는 의도로 쓴 글이다.
또한 기독교와 이슬람을 매우 자주 심하게 비판했으며 대표적으로 잔 다르크에 대해서 비아냥거리는 작품을 남겼다. 묘하게도 사망일이 그녀가 화형당한 날이었다. 또한 무함마드를 거짓 예언자라고 하며 비판하는 발언도 했다.
하지만 무신론자가 아니라 이신론자였다.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지만 볼테르는 무신론도 비판했다. “나는 언제나 무신론이 어떤 좋은 일 (good)도 행할 수 없으며 큰 해를 끼친다고 확신해왔고, 현자가 미신에 반대하는 것과 미친 사람이 신에 반대하는 것 사이에는 무한한 차이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무신론의 체계에는 철학이나 도덕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무신론자들을 믿을 수 없다고 발언한 적도 있다.
또한 이슬람을 비판했다지만 한편으로는 자신의 저서 ‘휴대용 철학사전’에서는 무슬림 사이에서 여성은 노예 상태이며 천국에 갈 수 없다는 무지에서 비롯된 주장이 있다면서 이것은 이슬람의 잘못으로 돌리고 있는 오류라고 언급한다. 그 예로 쿠란에서는 남편이 사망했을 경우 그의 재산에 대한 아내의 권리를 인정하고 딸을 비롯한 여성 유족들도 공평하게 재산을 상속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있다고 언급하고 무슬림 기혼 여성들도 이혼을 할 권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무슬림들은 자신의 가족 여성들과 근친상간을 하지 못하게 한다고 언급하면서 기독교도들은 로마 교황청에서 그런 결혼을 성사시킬 권리를 얻고 무료로 얻는다면서 기독교를 비판한다.
이런 점을 보면 종교 그 자체보다는 종교에서 비롯되는 아집과 독선을 더욱 미워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종교의 배타성을 극도로 혐오했다. 종교로 인해 발생하는 수많은 분쟁과 증오, 그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와 낭비를 비난한 것이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모차르트는 그래서 볼테르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으며, 볼테르가 죽던 해 ‘드디어 그 망나니 볼테르가 죽었다더라’라는 글이 담긴 편지를 쓰기도 했다.
프리드리히 대왕이 그를 무척 흠모했던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결국 프랑스에서 마찰이 생겼을 때 프로이센에 머물렀지만, 얼마 안 가 프로이센에서도 충돌을 빚어 그곳을 떠났다. 그래도 평생 서신을 교환하면서 지냈는데, 서신을 읽어보면 과연 이 사람이 왕인가 싶을 정도로 프리드리히의 마음이 느껴진다.
라이프니츠, 몽테스키외 등과 함께 17세기 이래 프랑스에서 유행한 중국의 물결 (Chinoiserie, 시누아즈리)을 탄 대표적인 계몽사상가이기도 했다. 그는 중국을 기독교를 믿지 않음에도 윤리적으로 올곧은 사회라고 평가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당시 유럽 사회를 비판하였다.
볼테르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볼테르는 사마천의 사기에 쓰인 일화를 원대 잡극 작가인 기군상 (紀君詳)이 재구성한 ‘조씨고아 (趙氏孤兒)’를 번안하여 ‘중국의 고아 (L’Orphelin de la Chine)’라는 희곡 작품을 쓴 적이 있었는데, 여기에 ‘고려 (Corée)’가 등장한다. 희곡에는 중국이 칭기즈칸의 타타르 (몽골)에 의해 점령되자, 중국인 주인공들이 고려의 지원군을 기다려 중국 황자를 고려로 피신시키려 한다는 내용이 등장하는데, 작품에 실제로 고려인 역이 등장하지는 않으며 작품 정황상 칭기즈칸의 군대에 패퇴한 것으로 묘사된다. 원작인 ‘조씨 고아’에는 고려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아, 고려의 등장은 볼테르의 완전한 창작인 바, 볼테르가 대체 어디서 고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작품에 썼는지는 불분명하다.
동시대의 인물은 아니지만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도 볼테르를 좋아했다. 그의 책에서는 볼테르를 거론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알랭 드 보통은 그의 저술서 ‘불안’에서 쇼펜하우어가 인용한 볼테르의 명언을 다시 인용했다.
– 프랑수아마리 아루에 (François-Marie Arouet), 필명 ‘볼테르’
.출생: 1694년 11월 21일, 프랑스 왕국 파리
.사망: 1778년 5월 30일, 프랑스 왕국 파리
.국적: 프랑스 왕국
.종교: 이신론
.별명: 필명 볼테르 (프: Voltaire)
.시대: 18세기 계몽시대 / 지역: 프랑스
.학파: 계몽주의, 고전자유주의
.분야: 정치철학, 문학, 사학사, 성서비평학
.대표작: 캉디드
.업적: 역사철학,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정교분리
.모교: 리세 루이르그랑
.영향받음: 베이컨, 벨, 보쉬에, 데 세르반테스, 키케로, 뒤 샤틀레 후작부인, 코르네유, 에피쿠로스, 호메로스, 라이프니츠, 로크, 루키아노스, 루크레티우스, 멜리예, 몰리에르, 뉴턴, 포프, 라신, 셰익스피어, 투파일, 베르길리우스, 자라투스트라
.영향줌: 벨린스키, 벤담, 보르헤스, 바이런 남작, 예카테리나 2세, 뒤 샤틀레 후작부인, 드니 디드로, 플로베르, 프리드리히 2세, 고드윈, 폰 괴테, 게르첸, 히친스, 위고, 마르크스, 나폴레옹 1세, 니체, 페인, 루소, 셸리, 슈트라우스, 울스턴크래프트
18세기 계몽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이자, 시인, 극작가, 비평가, 역사가인 다재다능한 작가 볼테르 (필명, Voltaire)는 ‘프랑수아 마리 아루에 (Franois Marie Arouet)’라는 이름으로 1694년 11월 21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유복한 공증인의 아들로 태어난 볼테르는 열 살에 예수회가 운영하던 루이 르그랑 (Louis le Grand) 학교에 들어가는데, 이 학교에서 금세 두각을 드러내고 평생 이어갈 교유관계들도 형성한다. 한편, 열두 살이 되었을 때 대부 (代父)인 샤토뇌프 신부가 그를 쾌락주의적이고 무신론적인 귀족들과 시인들이 모이는 ‘탕플 (Temple)’이라는 문학 살롱에 데리고 간다. 17세에 루이 르그랑 학교를 떠나면서 아버지에게 문인이 되고 싶다고 말하지만 아버지는 이에 반대하며 법조계를 택하라고 강경하게 권한다. 그래서 법학 대학에 등록은 하지만 탕플을 계속 드나들면서 사치와 방탕을 선망한다.
이후에도 소 (Sceaux) 성 (城)의 문학 살롱을 드나들면서 재기를 발휘하며 문학적 재능을 증명해 보이던 그는 청년 시대에 섭정 오를레랑 공을 풍자한 시의 작자로 간주되어 바스띠유에 갇혔다가 출옥한 뒤, 볼떼르란 필명으로 24세라는 아주 이른 나이에 ‘오이디푸스’ (Oedipus, 1718)라는 비극 작품으로 유명해진다. 그 시대의 많은 작가들이 그렇듯 볼테르도 존중받는 장르였던 비극과 시로써 작품 활동을 시작했던 것이다. 작가로서의 볼테르는 비극 작품들과 서사시, 역사물 등을 통해 빠른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이런 작품들은 오늘날에는 별로 읽히지도 않거니와 잘 알려져 있지도 않다.
반면, 나중에 재미삼아 쓰고 익명으로 출간한 콩트들이 오늘날까지 매우 잘 알려져 있다. 그중 가장 많이 읽히고 널리 알려진 작품은 『캉디드 : Candide, ou l’Optimisme』 (1759), 『자디그 : Zadig, ou la Destinee』 (1748), 『랭제뉘 : L’Ingenu』 (1767)다. 디드로의 『백과전서』 집필에도 참여하는 등 철학자로서, 작가로서, 행동하는 양심으로서 평생 왕성한 활동을 벌인 볼테르는 84세까지 장수를 누렸지만, 프랑스대혁명은 보지 못하고 1778년 5월 30일에 죽었다. 1791년에는 국가를 위해 큰 공헌을 한 인물들만 들어가는 팡테옹 (Pantheon)에 안치된다.
프랑스 계몽기의 대표적 철학자로 꼽히는 볼테르는 프랑스의 지성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종교적 광신주의에 맞서서 평생 투쟁했던 그는 관용 정신이 없이는 인류의 발전도 문명의 진보도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그의 저서들 속에는 당대의 지배적 종교 권력이었던 가톨릭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등장한다. 그의 생각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가 전통적 가치들의 토대인 기독교 정신을 무너뜨리려 하고, 풍기를 문란케 한다고 비난했다. 나이가 70세에 가까웠을 때는 그 유명한 ‘칼라스 사건’을 계기로 종교적 불관용의 희생자들을 변호하고 돕는 활동들을 사재를 털어가면서까지 적극적으로 벌여서 오늘날까지도 관용의 상징적 인물로 손꼽히고 있다. 그는 생전에는 대시인으로 대접받았지만, 그의 재능의 본질은 풍자 작가, 명쾌하고 기지에 찬 프랑스적 산문 작가의 전형에 있으며, 특히 철학적 에세이와 우화 소설에 뛰어났다. 이신론 (理神論), 이성론의 입장에서 초자연을 강하게 부정하고 신랄하게 성서를 비판해, 후세에 그의 이름은 회의 정신의 상징이 되었다. 계몽주의의 보급을 통해 대혁명의 정신적 기반을 형성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철학의 간』 (1734), 『깡디드』 (1759), 『관용론』 (1763), 『철학사전』 (1764) 등이 있다.
○ 생애 및 활동
파리의 공증인 집안에서 출생하였다. 볼테르는 열 살에 예수회가 운영하던 루이 르그랑 (Louis le Grand) 학교에 들어가, 어린 나이에 두각을 드러내었고 평생 이어갈 교우관계 또한 형성했다. 열두 살이 되었을 때 대부 (代父)인 샤토뇌프 신부가 그를 쾌락주의적이고 무신론적인 귀족들과 시인들이 모이는 ‘탕플 (Temple)’이라는 문학 살롱에 데리고 갔다. 17세에 루이 르그랑 학교를 떠나면서 아버지에게 문인이 되고 싶다고 말하지만 아버지는 이에 반대하며 법조계를 택하라고 강경하게 권한다. 그래서 법학 대학에 등록은 하지만 탕플을 계속 드나들면서 사치와 방탕을 선망한다. 이후에도 소 (Sceaux) 성(城)의 문학 살롱을 드나들면서 재기를 발휘하며 문학적 재능을 증명해 보이던 그는 24세라는 아주 이른 나이에 ‘오이디푸스’ (Oedipus, 1718)라는 비극 작품으로 유명해진다. 그 시대의 많은 작가들이 그렇듯 볼테르도 존중받는 장르였던 비극과 시로써 작품 활동을 시작했던 것이다.
또한 그는 일찍부터 문학에 뜻을 두고 자유사상가와 사귀었다. 1717년 루이 15세의 섭정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2세를 풍자한 시를 썼다고 오인돼 투옥되었다. 출옥 후 비극 ‘오이디푸스’의 대성공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는 또한 궁정에서도 주목을 끈다. 그는 ‘아루에 (Arouet)’라는 평민의 성을 버리고 ‘아루에 2세 (Arouet Lejeune)’의 글자 순서를 바꾸어 자칭 ‘드 볼테르 씨 (M. de Voltaire)’가 되었다. 이 필명은 쉽게 받아들여졌고, 왕비는 친밀하게 그를 ‘내 가엾은 볼테르’라고 불렀다.
그러나 어느 날 슈발리에 드 로앙이 하인들을 시켜서 그를 곤봉으로 후려치게 한다. 자기의 좋은 친구들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공작이나 후작들이 자신이 당하는 모습을 보고 만류하거나 옹호해주기보다는 재미있어 하는 것을 본 그의 분노는 극도에 달한다. 그는 슈발리에에게 결투를 요구했지만 그의 이 불손한 행위로 그는 바스티유 감옥에 투옥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영국으로 건너간다는 약속을 하고서야 겨우 풀려났다. 이러한 것이 불평등과 전제정치에 관해서 그가 겪은 첫 경험이 된다.
전제정치의 악폐를 통감한 그는 자유로운 영국에 공감을 가지고 로크와 뉴턴의 영향을 받아 비판정신은 더욱 강고히 되었다. 영국에 머무르는 동안 서사시 ‘라 앙리아드’ (La Henriade, 1728)를 출판하였다. 라 앙리아드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간 종교 전쟁의 에피소드와 앙리 4세의 즉위를 노래한 시이다. 광신의 무서움을 고발하고 프랑스의 정치 체제를 비판했다.
1729년 프랑스로 귀국했지만 셰익스피어 연극의 영향이 짙은 비극 ‘자이르’ (Zaïre, 1732)에 이어서 발표한 ‘철학서간’ (Lettres philosophiques)이 영국을 찬미하고 프랑스를 비방하였다는 이유로 당국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책은 불태워지고 그의 애인인 샤틀레 후작부인의 영지에 가서 10년간 저술과 연구를 하며 세월을 보냈다. 한때 프랑스 궁정의 역사 편찬관이 되었고 이어 프리드리히 국왕의 초청으로 프로이센에 가서 ‘루이 14세의 시대’ (Le Siècle de Louis XIV, 1751)를 완성하고 그 후 여러 곳을 전전하였다.
수년간을 제네바에서 보내다가 1753년 프랑스령으로 제네바와 가까운 페르네에 정주하며 시·극시·우화·소설·수필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작품을 발표하여 전 유럽에 ‘볼테르 시대’를 이룩하였다. 진보파의 영수로서 ‘페르네 장로’라 불렸고 반 봉건, 반 가톨릭 교회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톨릭에 대한 광신이 원인이 된 부정재판을 탄핵한 칼라스 사건 등의 실천운동은 유명하다. 그 소산인 ‘관용론’ (Traité sur la tolérance, 1763)을 비롯하여 역사책 ‘풍속시론’ (Histoire des voyages de Scarmentado écrite par lui-même, 1756), 사상소설 ‘캉디드’ (Candide, ou l’Optimisme, 1759), ‘철학사전’ (1756)은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작가로서의 볼테르는 비극 작품들과 서사시, 역사물 등을 통해 빠른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이런 작품들은 오늘날에는 별로 읽히지도 않거니와 잘 알려져 있지도 않다. 반면, 나중에 재미삼아 쓰고 익명으로 출간한 콩트들이 오늘날까지 매우 잘 알려져 있다. 그중 가장 많이 읽히고 널리 알려진 작품은 ‘캉디드’, ‘자디그’ (Zadig, ou la Destinee, 1748), ‘랭제뉘’ (L’Ingenu, 1767)이다. 디드로의 ‘백과전서’ 집필에도 참여하는 등 철학자로서, 작가로서, 행동하는 양심으로서 평생 왕성한 활동을 벌인 볼테르는 84세까지 장수를 누렸지만, 프랑스 대혁명은 보지 못하고 1778년 5월 30일에 죽었다. 1791년에는 국가를 위해 큰 공헌을 한 인물들만 들어가는 팡테옹에 안치되었다.
○ 사상
– 로마 가톨릭교회 비판
프랑스 계몽기의 대표적 철학자로 꼽히는 볼테르는 프랑스의 지성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종교적 광신주의에 맞서서 평생 투쟁했던 그는 관용 정신이 없이는 인류의 발전도 문명의 진보도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그의 저서들 속에는 당대의 지배적 교회 권력이었던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등장한다. 그의 생각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가 전통적 가치들의 토대인 기독교 정신을 무너뜨리려 하고, 풍기를 문란케 한다고 비난했다. 나이가 70세에 가까웠을 때는 그 유명한 ‘칼라스 사건’을 계기로 종교적 불관용의 희생자들을 변호하고 돕는 활동들을 사재를 털어가면서까지 적극적으로 벌여서 오늘날까지도 관용의 상징적 인물로 존경받고 있다. 볼테르는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단으로 규정해 가혹하게 탄압하던 개신교도 종교의 자유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할 정도로 당시로서는 대단히 진보적인 주장을 한 철학자였다. 볼테르는 캉디드, 랭제뉘 등 풍자소설로 당시 강력한 지배계급이었던 로마 가톨릭교회와 예수회의 부패와 부도덕을 공격했다. 또 ‘관용론’에서 칼라스 사건으로 처형된 장 칼라스를 적극 옹호하며 가톨릭 교회의 광신을 고발한다. 그는 이 책에서 “불관용은 신의 법도 아니다. 그대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자 한다면, 순교자가 될지언정 망나니가 되지말라”고 말하며 종교의 관용을 주장했다.
– 사상적 관용
그는 디드로 등의 백과전서파를 적극 지지하고 기독교적인 광신, 종교적 편견, 독단적 형이상학 등을 맹렬히 공격하면서 17세기의 이원론적 경향에 반기를 들어 뉴턴이 확립한 자연과학적 인식을 휴머니즘의 윤리에 의하여 현실 사회와 결부시키려고 하였다. 그의 회의적 상대주의는 자연 과학적 인식의 현실화·통속화의 결과였다. 만년에는 이론적 회의를 실천적 확신에까지 끌어올려 자연법의 규범성을 신이 준 불변의 법으로 인정하려 하였다. 그가 각광을 받은 시기는 오래가지 않았으나, 유럽의 모든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역사가 볼테르
‘랑송불문학사’를 쓴 귀스타브 랑송은 “볼테르의 기술은 모든 것에 있어서 똑똑히 볼 것을 필요로하는 끊임없는 이성의 행사이다. 어던 회화적인 세부가 거기에 끼여들어가는 때도 있지만, 그것은 보통 이 세부가 일종의 설명 방법이기 때문이다”며 볼테르를 프랑스 근대 역사가의 진정한 선구자로 높이 평가했다. 볼테르의 역사적 저술은 다음 두 작품이 대표적이다.
– ‘샤를 12세의 역사’
‘샤를 12세의 역사’ (Histoire de Charles XII, 1731)는 볼테르가 스웨덴의 국왕인 샤를 12세(스웨덴어로는 칼 12세)에 대하여 기술한 역사서이다. 1731년에 초판이 발행되었다.
– ‘루이 14세의 시대’
‘루이 14세의 시대’ (Le Siècle de Louis XIV, 1751)는 볼테르가 쓴 역사서이다.그는 이 책을 쓰기 위해 루이 14세의 만년을 목격했고, 수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물었고, 미간행 수기들을 조사했으며, 인쇄된 2백권 의 회상록을 읽었으며, 사료 편찬관의 직책으로 국가의 고문서 보관소에서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썼다. 이 작품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뉠 수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제 3장에서 24장까지로 루이 14세 시대 정치적, 군사적 사건을을 개관했다. 루이 14세의 미성년 시절부터 마자랭 추기경의 죽음에 이르기까지 (3~6장), 루이 14세의 즉위 부터 니메그의 강화까지 (7~13장), 루이 14세의 야망과 우트레히트 강화까지 (18~23장) 유럽 정세를 다룬다.
.두 번째 부분은 29장서 34장에 이르기까지 국민에게 더 중요한 주제’인 내정 문제를 다룬다. 여기에서 그는 부르즈와 계급을 부유케 한 콜베르를 강력하게 옹호한다. 이어 지혜와 비판 정신을 퍼뜨린 과학, 그리고 문학을 언급하며 베이콘, 뉴튼, 갈릴레이 등을 소개한다. 또 라시느, 브왈로 등을 일류로 내세우고 있다.
.세 번째 부분은 35장서 39장까지로 종교를 다룬다.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들의 재산의 과장된 크기를 올바르게 평가하고, 진짜 추문은 그 재산의 고르지 않은 분배에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는 여기에서 유덕한 중국인들이 어떻게 성 도미니크회와 예수회 전도사들을 추방했는가를 이야기하고 있다.
○ 경제 활동
볼테르는 복권과 주식 투기, 국제 무역과 대부업으로 재산을 늘려 1759년 페르니 성을 구입하여 생애 마지막 20년을 이 성에서 살았다. 지주였던 그는 황무지나 다름없었던 땅에 마을이 들어서도록 수완을 발휘했다. 볼테르가 사망할 쯤 그의 연간 세수입은 매우 커져서 프랑스에서 가장 부유한 20대 영주에 들었다. 볼테르는 당대 가장 유명한 문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평민이기도 하였다. 그는 대부업으로 재산을 많이 늘렸는데, 당시 이자를 목적으로 돈을 빌려주는 고리대금업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었으나, 그는 왕실에 거액을 빌려주고 종신연금을 받았다. 1752년 뷔르템베르크의 샤를 외젠 왕자에서 15만 리브르를 빌려주고 죽을 때까지 1만 5천 750프랑을 연금으로 받기로 했다. 사후에는 조카이자 정부였던 드니 부인에게 매년 7천 500프랑을 지불한다는 약속도 받아냈다.
○ 주요 저서들
– 철학서간 (Lettres philosophiques sur les Anglais, 1733)
런던에 망명한 젊은 볼테르는 거기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1726년). 그는 그 곳에서 보고 들은 모든 것에 감동한다. 그는 프랑스에 돌아와 자국민들에게 자유로운 정치란 무엇인가를 보여주고자 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을 짓누르고 있는 전제주의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압제를 견딜 수 없는 것으로 만들어 주려고 하였다. 이 책은 총 25통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다.
.편지 1~7은 영국의 종교, 특히 퀘이커 교도들을 다루고 있는데 프랑스의 가톨릭교회 성직자들에 대한 독설로 가득 차 있다. 볼테르는 ‘만약 영국에 종교가 하나밖에 없다면, 그 독재는 무서운 것이 되리라. 만약에 두 개의 종교가 있다면, 그것들은 서로 목을 자르리라. 그러나 30개의 종교가 있으므로, 그것들은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고 있다”고 말하며 종교의 관용을 주장한다.
.편지 8~10은 영국의 정치 체제를 이상화하면서 그 특징을 논하고 있다.
.편지11~17은 철학에 관한 것으로 실험적 방법과 그 창시자 베이컨에 찬사를 바치고, 로크와 뉴튼에 대해서도 찬사를 보낸다.
.편지18~22는 문학에 바쳐져 있다. 특히 셰익스피어의 자연스러움과 강렬한 상상력을 찬양한다.
.편지23~24는 문학을 사회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편지 25는 파스칼의 갖가지 사상에 관하여 비판적인 의견을 담고 있는데 특히 문제가 된 이 부분이다.
“영국인들은 지상에서 유일하게 국왕에 저항하여 국왕의 권력을 규제할 수 있었고, 계속되는 투쟁을 통하여 군주가 선을 행할 때는 강력하지만 동시에 악을 행하려 하면 제지당하고, 백성들이 혼란없이 정치에 참여하는 지혜로운 정부를 결국 수립했던 민족이다.”
– 랭제뉘 (L’Ingénu)
볼테르가 ‘랭제뉘’ (L’Ingénu)를 쓴 시기는 1760년대 이지만 이야기의 시간적 배경은 1689년이다. 그런데 이야기 속에서는 두 시기의 다양한 사건들이 서로 뒤섞여 있다. 때문에 당대의 프랑스 독자들은 ‘랭제뉘’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사건들로부터 당시의 현실들과 관련된 은유적인 부분들을 찾으려 했고, 그러는 가운데서 큰 즐거움을 느꼈다. 이 작품이 그만큼 시사적인 문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는 얘기다. 볼테르가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케넬 신부의 원고들에서 발췌한 실화 (Histoire veritable tiree des manuscrits du Pere Quesnel)’라는 부제를 붙인 것도 그러한 민감한 사안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랭제뉘’는 1767년 봄에 집필되고 7월에 인쇄되어 8월에 제네바에서 익명으로 먼저 출간되고 이어서 파리에서도 출간되었으나, 파리에서는 경찰에 의해 즉각 회수되었다.
.주제
주인공 랭제뉘는 이야기 초반에서 아메리카 대륙의 휴런족 청년으로 소개된다. 아메리카 대륙이 있다는 사실이 유럽에 알려지자, 유럽에서는 문명의 발전이 빚어낸 모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이상적인 인간형을 원시 상태에서 찾고자 하는 흐름이 존재했다. 이로써 볼테르는 당시 유행하던 ‘선한 원시인 (bon sauvage)’이라는 문학적·철학적 전통의 흐름을 타는 셈이다. 랭제뉘는 이 작품에서 유럽의 문명과 가톨릭교회에 대한 비판을 감행하는 볼테르의 대변자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그는 문명을 희생시키고 원시적인 삶을 찬양하는 ‘선한 원시인’ 신화를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때문에 그는 작품에서 자신의 ‘선한 원시인’ 랭제뉘에게 문명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이 휴런족 청년은 지식의 습득과 함께 정신적 성장도 하게 된다. 자연 상태에서 오염되지 않았던 그의 자유롭고 순수한 정신이 교육으로 인해서 비로서 빛을 발하게 된다는 것이 바로 ‘선한 원시인’ 담론에 대한 볼테르의 입장이었던 것이다.
볼테르는 일찍이 ‘사교계인’ (Le Mondain, 1736)이라는 시를 통해 문명의 이점들을 찬미한 바 있다. 즉, 그는 문명의 폐해를 벗어나 자연으로 회귀할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문명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과 회복해야할 인간적 덕성들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 논박
기독교 논박 : ‘랭제뉘’가 이렇게 프랑스 정부 당국의 검열을 통과하지 못한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된 바처럼 당대의 프랑스 사회에 대한 다양한 풍자들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볼테르는 종교적인 갈등 상황을 묘사하면서 반목하고 있던 장세니스트들과 예수회 양쪽 모두를 포함해서 가톨릭교회 전체를 비난하고 있다. 이 책에 나타난 종교적 비판의 내용은 광신주의에서 비롯된 폭력, 예수회 신부들의 위선과 부패, 성서를 하느님이 구술한 책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실은 매우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모순, 장세니스트들의 형이상학적 논쟁 취향, 사랑이라는 자연적 감정에 반대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반자연적 성향 등에 관한 것들이다.
정치 논박: 또한 그는 왕의 봉인장제도 및 궁정인들의 도덕적 타락, 군대 계급이나 행정직들을 사고파는 제도 등 정치적인 비판에도 힘을 쏟는다. 특히 왕이 마음대로 시민들의 자유를 제약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봉인장 제도의 폐해는 이 작품의 플롯에서 핵심적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볼테르 자신도 이 제도의 희생자가 되어 두 차례나 바스티유 감옥에 갇힌 적이 있었을 만큼, 봉인장 제도는 18세기의 근본적인 문제이자 주된 관심사로 떠오른 사안이었다.
– 미크로메가스 (Micromégas)
볼테르가 인식하고 있는 인간과, 그 인간이 깃들이고 있는 지구의 실체는 비참하리만큼 초라하다. 지구라는 이 행성은 기껏 하나의 ‘진흙덩이’ 혹은 ‘진흙 원자’에 불과하다. 또는 하나의 ‘개미탑’이나 ‘두더지 흙두둑’일 뿐이다. 그리고, 광막한 우주 공간에서 그 ‘먼지 알갱이’ 표면에 기생하며 꺼떡거리는 우리 인간의 모습은 ‘벌레’나 ‘좀’의 꼴과 다름없다. 그렇건만, 그 무한히 작은 것이 무한히 거만하다. 심지어, 그 보잘 것 없는 주제에, 유독 자기들에게만 ‘영혼’이라는 것이 있다는 점을 무슨 특권처럼, 혹은 절대자가 내린 신표 (信標)처럼 자랑스러워한다. 하지만 그 영혼이라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아무도 시원스러운 대답을 하지 못한다. 영혼이란, 소크라테스의 다이몬 (daimon)이나 플라톤의 이데아 등이 그렇듯이, 그 실체가 규명되지도 정의되지도 않은, 순전한 몽상 내지 망상의 소산일 뿐이다. 물론 망상의 소산이라고 하여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우주에 존재하는 무한수의 생명체들 중 유독 자기들에게만 영혼이라는 그 입증되지도 않은 신표가 있다고 주장하는 일부 인간 집단의 몽상은, 또 하나의 불가사의이며 경이로운 현상이다. 물론 그 현상 역시, 소크라테스나 플라톤과 같은 몽상가들의 유산일 수 있으며, 그것이 아마 미신의 굴레를 완전히 벗어던지지 못한 ‘형이상학’ 이라는 아귀다툼의 실마리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없는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예수교의 존속을 가능케 한 자양을 공급한 이들이 그 두 몽상꾼 아닌가? 델포이를 비롯한 여러 곳 신전들의 신탁 (信託)과 ‘선지자’란 말은 무관한 것일까? 델포이 신전과 바티칸 신전이 전혀 이질적인 유물일까? 나아가, 프로메테우스와 크리스토스 (Christos)는 전혀 무관한 존재들일까?
– 철학 사전 (Dictionnaire philosophique)
볼테르는 프로이센 왕의 만찬 석상에서 이 책을 구상했다. 그리고 1764년 철학 사전이라는 표제 아래 한 권의 책을 간행하는데 그것이 판을 거듭 하면서 불어나, 몰랑판으로 4권의 분량이 되기에 이르렀다. 처음의 표제는 ‘휴대용 철학 사전’ (Dictionnaire philosophique)이었다가, 나중에 ‘알파벳 순의 이성’ (La raison par alphabet)이라고 고쳤다. 이 작품은 파리고등법원에 의해 소각되고 작가에 대해서 맹렬한 비판이 일어, 경망하고 부패하고 파렴치하고 맹수 같은 사람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이 작품 역시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판하고 있다.
○ 저서들 목록
대표적인 저서로는 ‘철학의 간’ (1734), ‘깡디드 (Candide, ou l’Optimisme)’ (1759), ‘관용론’ (1763), ‘철학사전’ (1764) 등이 있다. 외에도 널리 알려진 작품은 ‘자디그 (Zadig, ou la Destinee)’ (1748), ‘랭제뉘 (L’Ingenu)’ (1767) 등이 있으며, 디드로의 ‘백과전서’ 집필에도 참여하는 등 철학자 • 작가로서, 행동하는 양심으로서 평생 왕성한 활동을 벌였다.
– Non-fiction
Letters on the Quakers (1727)
Letters concerning the English nation (London, 1733) (French version entitled Lettres philosophiques sur les Anglais, Rouen, 1734), revised as Letters on the English (circa 1778)
“Le Mondain” (1736)
“Plato’s Dream” (1737)
Sept Discours en Vers sur l’Homme (1738)
The Elements of Sir Isaac Newton’s Philosophy (1738; 2nd expanded ed. 1745)
Dictionnaire philosophique (1752)
The Sermon of the Fifty (1759)
The Calas Affair: A Treatise on Tolerance (1762)
Traité sur la tolérance (1763)
Ce qui plaît aux dames (1764)
Idées républicaines (1765)
La Philosophie de l’histoire (1765)
Questions sur les Miracles (1765)
L’Ingénu (1767)
La Princesse de Babylone (1768)
Des singularités de la nature (1768)
Les Dialogues d’Evhémère (1777)
– History
History of Charles XII, King of Sweden (1731)
The Age of Louis XIV (1751)
The Age of Louis XV (1746–1752; published separately 1768)
Annals of the Empire – Charlemagne, AD 742 – Henry VII 1313, Vol. I (1754)
Annals of the Empire – Louis of Bavaria, 1315 to Ferdinand II 1631 Vol. II (1754)
Essay on Universal History, the Manners, and Spirit of Nations (1756)
History of the Russian Empire Under Peter the Great (Vol. I 1759; Vol. II 1763)
– Novellas
The One-eyed Street Porter, Cosi-sancta (1715)
Micromégas (1738)
The World as it Goes (1750)
Memnon (1750)
Bababec and the Fakirs (1750)
Timon (1755)
The Travels of Scarmentado (1756)
The Two Consoled Ones (1756)
Zadig, or, Destiny (1757)
Candide, or Optimism (1758)
Story of a Good Brahman (1759)
The King of Boutan (1761)
The City of Cashmere (1760)
An Indian Adventure (1764)
The White and the Black (1764)
Jeannot and Colin (1764)
The Blind Judges of Colors (1766)
The Princess of Babylon (1768)
The Man with Forty Crowns (1768)
The Letters of Amabed (1769)
The Huron, or Pupil of Nature (1771)
The White Bull (1772)
An Incident of Memory (1773)
The History of Jenni (1774)
The Travels of Reason (1774)
The Ears of Lord Chesterfield and Chaplain Goudman (1775)
– Plays
Voltaire wrote between fifty and sixty plays, including a few unfinished ones. Among them are:
Œdipe (1718)
Artémire (1720)
Mariamne (1724)
Brutus (1730)
Éryphile (1732)
Zaïre (1732), inspiration for Zaira, opera by Vincenzo Bellini (1829)
Zulima (1740)
Mahomet (1741)
Mérope (1743)
La princesse de Navarre (1745)
Sémiramis (1748), inspiration for Semiramide, opera by Gioachino Rossini (1823)
Nanine (1749)
L’Orphelin de la Chine (1755)
Socrate (published 1759)
La Femme qui a Raison (1759)
Tancrède (1760), inspiration for Tancredi, opera by Gioachino Rossini (1813)
Don Pèdre, roi de Castille (1774)
Sophonisbe (1774)
Irène (1778)
Agathocle (1779)
– Collected works
Oeuvres complètes de Voltaire, A. Beuchot (ed.). 72 vols. (1829–1840)
Oeuvres complètes de Voltaire, Louis E.D. Moland and G. Bengesco (eds.). 52 vols. (1877–1885)
Oeuvres complètes de Voltaire, Theodore Besterman, et al. (eds.). 144 vols. (1968–2018)
○ 일화와 명언들
볼테르에 대하여 많은 일화들이 전해진다.
볼테르에게 편지가 와서 뜯어보니, “당신이 써댄 헛소리가 웃겨서 당신의 책을 불태우고 있다. 그래 기분이 어떤지 궁금하다.”라고 적혀 있었다. 볼테르는 그 즉시 답장을 보냈다. “그것 참 고맙군요. 내 책은 구운 밤같이 불에 구워야지 제대로 값어치가 있거든요. 그런데 직접 구워주시다니 이 얼마나 기분 좋은 일입니까?”
작가로도 유명하다 보니 여러 신인 작가들이 글을 보내오기도 했다. 하루는 한 신인 작가의 글을 봤는데 그 작가가 찾아와서 “어떤가요?”라면서 소감을 물었다. 볼테르는 한마디했다. “고칠 부분이 있어서 하나를 고쳤네.” 그 작가가 책을 꼼꼼하게 봤는데 어디에도 고친 부분이 없었다. 그래서 고친 부분이 없다고 하자 “더 자세히 보게나. 난 고친 부분이 있거든.” 결국 고친 부분을 찾았는데 맨 마지막에 Fin (끝)이 Fi (피. 비웃을 때 내는 그 의성어, 한국어로는 풋 정도일 듯)로 고쳐져 있었다.
마녀사냥을 혐오했다. 아예 교황에게 편지를 보내 ‘아직도 마녀사냥이란 이름으로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쓰레기들이 있으니 제발 좀 막아주시죠?’라고 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흡혈귀 사냥 역시 혐오하여 흡혈귀를 잡는다고 무고한 사람, 병자, 장애인을 죽이는 짓을 저지르고 천국간다는 헛소리 말라는 말을 여러 번 하였다. 당시 무지몽매한 평신도들은 볼테르의 이런 주장에 치를 떨었으니, 시대를 앞서도 한참을 앞선 셈. 사실 잔 다르크를 비아냥 댄 이유는 그녀가 처음 프랑스를 구원하겠다고 나서면서 댄 이유가 하느님의 계시였기 때문이다. 이성을 그토록 중시하는 볼테르 입장에서 볼 때는 웬 시골 처녀가 갑자기 나타나 하느님 운운하며 사기극을 벌이는 것으로밖에 안 보였을 거다. 하지만 아래 비판 부분을 보면 볼테르가 잔 다르크를 비판하는 이유는 종교적인 부분 외에도 여성혐오와 신분차별의 태도가 없지는 않아 보이고, 과연 그가 잔 다르크를 비판할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 들 수 있다.
꼭 그가 했다고 할 수 없지만,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 발견에 ‘사과가 떨어지는 걸 보고 발견한 거 아닐까?’라는 농담을 했더니만 이게 유명해졌다고 하는 일화가 전해진다. 아이작 뉴턴이 국장으로 웨스트민스터 성당에 묻히는 것을 본 후 ‘영국에서는 일개 교수가 자신의 천직에 뛰어났단 이유만으로 위대한 왕처럼 묻히는 일이 벌어진다’는 식으로 말하였다. 그만큼 프랑스에 비해 영국은 과학을 중시했고, 비교적 계급보다는 실리를 추구했다는 이야기로, 산업 혁명이 영국에서 발원한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언제 무너져도 이상하지 않았던 당시의 말기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해 조롱하면서 했던 말이 매우 유명하다. “스스로 신성 로마 제국이라 칭하였고 아직도 칭하고 있는 이 나라는 딱히 신성하지도 않고, 로마도 아니며, 제국은 더더욱 아니다. (Ce corps qui s’appelait et qui s’appelle encore le saint empire romain n’était en aucune manière ni saint, ni romain, ni empire.)”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명작 햄릿을 읽어보고 “조야하고 야만적인 작품이다. 어떤 술 취한 야만인이 쓴 작품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했다. 사실,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그 구성이 워낙 파격적이라서 당대에는 “기괴하다, 야만적이다, 괴물 같다”는 평을 많이 받았다. 특히 프랑스는 고전주의 희곡의 본산이었으니 볼테르의 눈에는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이 괴상하게 보이는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닐 것이다. 이런 관점을 가진 것이 꼭 볼테르뿐인 것도 아니고, 괴테 같은 인물도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에서 작중 등장인물의 입을 빌려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위대한 괴물’이라고 평가한 바가 있다. 위대한 작품이기는 한데 기괴하기도 하다는 것이다.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을 읽은 뒤 이렇게 편지를 썼다. “인류를 비판하는 선생님의 새 책을 보았습니다. …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은 네 발로 기어 다니고 싶어지겠습니다.” 5년 후에 루소가 볼테르에게 편지를 썼다. “선생님 … 저도 선생님이 맘에 들지 않습니다.”
– 명언들
나는 신을 경애하고 내 벗을 사랑하고 내 적들을 미워하지 않으며 미신을 경멸하면서 죽는다.
신이 없다면,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자연은 신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용이란 무엇인가? 인간애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불완전한 존재이니 서로의 실수를 용서하는 것, 이것이 첫번째 자연의 섭리다.
무고한 자를 비난하느니 죄 지은 자를 용서하는 게 낫다.
진실을 사랑하되 잘못은 용서하라.
나는 행복하기로 결정했다. 건강에 좋기 때문이다.
책에서 찾아낸 것은 화로의 불과 같다. 우리는 그 불을 이웃에게 건네고 집을 밝게 하며 다른 이에게 전하여 우리 모두의 것으로 만든다.
인간은 무엇인가 되고자 하는 순간 자유가 된다.
사람들은 할 말이 없으면 욕을 한다.
그들은 인간의 권리를 요구했다. 그러나 그것을 야수처럼 주장했다.
행복은 환상에 지나지 않지만, 고통은 현실이다.
몽테스키외는 배운 것에서 거의 항상 틀렸다. 왜냐하면 배운 것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광신도와 노예제의 옹호자와 싸울 때는 거의 항상 옳았다.
내 여행이 어디로 가든, 천국은 내가 있는 곳이다(Wherever my travel may lead, Paradise is where I am).
답변으로 사람을 판단하지 말고 질문으로 사람을 판단하라.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