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오늘
1831년 11월 16일,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군사학자 카를 필리프 고틀리프 폰 클라우제비츠 (Carl Phillip Gottlieb von Clausewitz, 1780 ~ 1831) 별세
클라우제비츠 (독: Carl Phillip Gottlieb von Clausewitz, 1780년 6월 1일 ~ 1831년 11월 16일)의 본명은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Carl Von Clausewitz)이다.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군사학자. 전쟁론의 저자이며 나폴레옹 시대의 탁월한 전략가 중 한 명이자 서양 최초의 군사 사상가이자 철학자라 불리는 인물이다.
‘전쟁론’의 저자로 유명하다. ‘전쟁론’은 전문가들에 의해 끊임없이 인용되면서 군사이론서의 고전이 된 책이다.
○ 생애 및 활동
프로이센 중류층 집안에서 태어났다. 고조부 증조부는 목사였고 할아버지는 역시 목사이며 유명한 신학교수였다고 한다. 삼촌중에 한 명도 목사였다 한다. 훗날 전쟁론 집필때 철학적 사유와 서술 방식엔 신학교수였던 할아버지의 학문적 영향도 있었다고 한다. 목사 집안 이었지만 클라우제비츠의 아버지는 프리드리히 대왕 밑에서 하급장교 중위를 지냈는데 전쟁이 끝나고 프리드리히 대왕의 엄명에 따라 군대에서 쫓겨난다. 원래 프리드리히 대왕은 부르주아들을 경멸해서 장교단에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전쟁시엔 귀족수가 크게 모자라서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가 전쟁이 끝나자 귀족 출신이 아닌 자들을 모두 쫓아낸 것. 그의 아버지는 전역 하고 나서도 장교출신임을 들어 Von을 썼다고 한다. 고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서 신분상승 욕구와 군복무를 갈망했고 그의 형제중 3명이 같이 입대 했다고 한다.
당시 12세에 참전하여 15세에 사관학교에 들어갔으며, 샤른호르스트에게 군사학을 배웠다. 그의 능력이 출중하여, 프로이센 왕실의 아우구스트 왕자 직속 부관이 되어 왕자에게 전쟁에 관한 것을 가르쳤다. 훗날 아우구스트 왕자와의 관계 덕으로 국왕이 되는 왕세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와 둘째 왕자 빌헬름 (빌헬름 1세)도 가르쳤다고 한다.
그런 그가 살았던 시기가 프랑스 혁명 시기인지라, 인생의 상당부분을 나폴레옹 전쟁에 종군하게 된다. 1806년 예나 전투에서 후위대를 맡아 나폴레옹군을 저지하다가 사로잡혀, 파리에서 포로생활을 하기도 했다. 이후 귀국하여 샤른호르스트를 도와 군 개혁에 몸담았으나 1812년 패전한 프로이센이 프랑스의 요구에 의해 동맹을 맺고 대러시아 원정에 끌려가 참전하자, 탈영을 감행 프로이센 출신 탈영병 2만명을 모아 러시아군에 종군한다. 클라우제비츠는 ‘나폴레옹 군대와 대적하여 이긴 세력이 없으니, 나폴레옹의 군대보단, 나폴레옹의 군대를 유지하는 것을 상대해야 한다’는 게릴라전이나 물자 보급을 약화시키는 지연전을 주장하고, 이것이 먹혀들어 1812년 보로디노 전투 이후 나폴레옹이 몰락하는 한 주축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1813년 프로이센군과 접촉하여 프로이센이 대불동맹에 가담하는 계기가 된 프로이센 – 러시아 협력을 구축하였다. 러시아군 신분으로!
이후 해방전쟁의 결과 나폴레옹이 패배하고 귀향을 떠난 1815년에서야, 지난 군영 무단이탈과 적군에 대한 종군혐의가 있던 그는 프로이센 왕이 귀국을 허락해 사관학교 교장이 되었다. 이후 육군대학 교장과 포병감 등을 지내고, 이 시기부터 ‘전쟁론’에 손을 대어, 6-7장을 제외한 장의 초고를 사망하기 전까지 완성한다.
그나이제나우 장군 휘하의 참모장을 역임하다가 유럽 콜레라에 걸려 51세의 비교적 젋은 나이에 사망하고 만다. 사후에 그의 부인이 전쟁론을 출판하였다.
○ 명저 ‘전쟁론‘
그의 저서 ‘전쟁론’은 아시아의 ‘손자병법’과 더불어 시대를 초월한 군사전략서로 꼽힌다. ‘전쟁은 정치의 연장선상에 있다’ 라는 내용은 전쟁의 본질을 꿰뚫는 핵심적인 언급으로, 전쟁론을 읽지 않은 사람들도 많이 아는 말 중 하나다.
사실 꽤 많은 이들이 이 문장 하나만 보고 전쟁론을 접어버린다. 전쟁론은 유명세에 비해 제대로 읽은 사람은 전문가들 중에서도 흔치 않은 책이다. 민간인들은 군사 부문에 대한 배경 지식의 부족으로, 군인들은 클라우제비츠의 철학적 사유 방식에 대한 이해가 없어서 제대로 읽기 쉽지 않다. 거기다 책 자체도 난해하게 쓰였는데, 직접적인 서술보다는 문학적, 철학적 표현들을 많이 사용했다. 사실 클라우제비츠가 머릿말에 반면교사로 달아놓은 문장 보면 전쟁론은 그 때 기준으로는 어렵지 않게 쓴 책이 맞는 것 같다. 가장 결정적인 것은 클라우제비츠 본인이 책을 미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했기 때문에 내용 정리가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런 관계로 전쟁론을 끝까지 읽은 사람도 드물 뿐더러, 그 중에는 오독한 사람도 많다.
– 개요
전쟁은 ‘또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연속’이다.
나폴레옹 전쟁을 겪은 프로이센의 군사학자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저작으로, 그는 완성하지 못하고 콜레라로 죽었다. 사후 클라우제비츠의 아내 마리 폰 클라우제비츠와 아내의 동생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에게는 처남)인 프리드리히 폰 브륄 그리고 부하였던 프란츠 아우구스트 오에첼 소령 등이 클라우제비츠의 노트나 메모를 보고 보완해서 펴낸 책이다. 말하자면 미완성 유고 묶음집이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시대의 전법을 학문적으로 일반화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에서 강조한 것은 ‘중심 (重心; center of gravity, 무게 중심)’의 개념이다. 그리하여 “(쓸데없는 곳을 치는 데 전력을 낭비하지 말고) 모든 전력을 집중하여 적의 중심을 유린해야 승리를 얻을 수 있다”는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하고도 명백한 사실을 강조했다. 반면, 당시 각광받던 조미니의 저술은 ‘결정적 지점 (decisive point)’을 강조 했는데 적이 결집하거나 지형상 우세를 점하기 이전에 결정적 지점을 확보하는 것으로 군사 운용에서의 제약 조건인 병력과 그에 따른 보급, 화력 규모, 지형 같은 여러 변수들을 나폴레옹의 용병방식을 통해 해석, 설명했고, 이는 유럽 군사 전문가와 지식인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클라우제비츠는 이런 식으로 전쟁을 계량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재단 하는 것은 노력의 낭비라고 평가절하 했다. 클라우제비츠는 철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해서 전쟁을 설명하는데 전투라는 것은 수천 또는 그 이상 인간이 벌이는 ‘단체 결투’나 다름없다고 정의하며 전쟁의 3요소로 ‘정치적 목적’ (이성), ‘폭력’ (열정), ‘우연성’을 들었다. 이 우연성이 전쟁을 계량적으로 판단 할 수 없음의 근거이다.
이런 서술 방식은 발표 당시와 상당 기간 후에도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군인이 읽기에는 너무 철학적이고, 군사 분야와 관련없는 일반인이 읽기엔 너무 전문적이라 누가 보더라도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에 헬무트 폰 몰트케가 보불전쟁에서 승리한 뒤 그의 애독서로 전쟁론이 있었음이 소문이 나면서 전 유럽, 그리고 세계에 널리 퍼지게 되는데 독일말로 써놔도 알기 어려운 난해함 때문에 한 번 이상 번역을 거친 타국에서는 물론 본국에서조차 저자의 의도를 다르게 받아들이거나 요상하게 확대 해석하는 식의 폐해가 있었다. 하지만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의 본질을 다룬 집필방식은 처음에 의도했던 대로 그가 죽은 지 수십, 수백 년이 지난 현재까지 유용하다.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과학기술과 진보와 전쟁의 방식은 변화하지만 전쟁의 본질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클라우제비츠의 저서 전쟁론은 훗날 후학들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보여준 지루한 참호전과 소모전을 넘어설 수 있는 이론으로 각광받았으며, 이후 독일과 소련은 각각 1920-30년대 공군과 기갑부대이론과 결합하여 새로운 교리체계를 개발하였다. 단 여기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책을 문리대로 전술적 방식을 그대로 이식하는 것이 아니었다. 전쟁의 규모와 양상이 이전과 달라지면서 ‘정치적 목적성’이 매우 중요해졌기 때문에 이전의 전쟁 방식인 전선에서의 전투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적지 깊숙한 곳을 타격하게 되는데 전선에서 싸우는 기존의 전쟁에서 전쟁수행능력 자체에 타격을 주는 양상의 전쟁으로의 변모는 클라우제비츠가 예견했다기보단 그의 책을 읽은 후학들이 당시 전장 현실을 클라우제비츠 식으로 해석한 것이다.
당시 전쟁이란 그저 군주와 군대와의 싸움으로 인식되었으나, 전쟁론은 ‘총력전’의 도래를 예언했으며, 결과적으로 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전쟁은 그의 예언대로 맞아 떨어졌다. 즉 국력의 결집 유무가 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끼친다는 예상이 맞아 떨어진 것이다.
전쟁론은 상당히 읽기 힘든 책이다. 저자인 클라우제비츠부터가 “2, 3년이면 다 읽히고 잊힐 책을 쓰는 것은 내 자존심이 허락하지 못한다.”라는 학문적 각오로 자신의 반평생을 들여 집필한 데다, 그가 집필 도중 생각을 바꾸어서 다시 쓰다가 콜레라로 갑작스럽게 사망해 책 자체가 미완성인 상태인 것 때문이기도 하다.
그의 사후 원고를 정리한 아내 마리는 당대 여성으로서도 상당한 수준의 고급 교육을 받은 사람인 데다가 남편의 사상적 이해자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기에 그녀가 정리한 지금의 전쟁론이 단순한 ‘미완성 원고’가 아닌 ‘완성된 책’의 가치를 지니는 것은 사실이다. 확실히 목차만 봐도 있을 건 다 있어 보인다.
하지만 여기에는 원고에선 보이지 않는 커다란 맹점이 있는데, 그건 바로 클라우제비츠가 책을 쓰던 중에 전쟁의 정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크게 바꾸고 그에 해당하는 1, 2, 3장을 완전히 다시 썼다는 점이다. 전략과 전술에 대한 4장 이후의 내용들도 고쳐진 정의에 기반을 두어 다시 써져야 했지만 안타깝게도 클라우제비츠가 이 작업에 들어가려는 그 시점에 사망해버리는 바람에 이 부분들은 이전 원고 그대로 남게 되었다.
덕분에 안 그래도 ‘논리적 철학책’이란 말이나 듣는 전쟁론이 앞부분과 뒷부분에서 보이는 저자의 사상 변화 때문에 더 이해하고 읽기가 힘들어졌다. 그나마 남은 부분들이 원론적인 부분들을 기술했다기 보다는 기술적인 부분들에 해당했고, 그마저도 워낙에 잘 쓰인 덕에 아직까지도 많이 읽히고 쓰이기는 한다.
위에 언급된 대로 전쟁론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확대해석했다가 크게 사고를 친 대표적인 사례도 있는데 전쟁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라는 잘못된 결론을 내린 1차대전 시절의 독일 제국군, 2차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이다. 이들 군부집단은 군사적 모험으로 국내외 정치와 외교적 갈등을 전쟁이란 수단으로 해결 할 수 있을 거라는 환상에 젖어들었는데 전쟁론은 어디까지나 전쟁이 벌어질 것 같거나 전쟁을 벌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관한 것을 다룰 뿐이지 전쟁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고는 절대로 약속하지 않는다. 이 점을 주의해야 잘못된 생각에 빠지지 않는다. 라우제비츠 자신은 어디까지나 군국주의자라기보다는 고전적 현실주의자였다. 그는 절대로 전쟁 만능론을 설파한 적이 없으며, 도리어 “전쟁은 정치의 연장이다”라고 말했다. 이것을 생각해볼 때 전쟁은 정치적 목적성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본 것은 맞지만, 전쟁 자체를 모든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은 아니다.
“전투 의지”를 정신력, 즉 엘랑 비탈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나, 1970년대 이후 영미권의 번역은 ‘전투 의지’를 ‘전투에 필요한 지성’으로 번역하는 경향이다. 현재 제일 최근판 한글번역(김만수 대전대 군사학 연구소)에서도 ‘국가의 의지’는 ‘정치적 목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클라우제비츠는 “공격은 적극적이지만 약한 수단이고, 수비는 소극적이지만 강력한 수단이다” 라고 말하기도 했다. 1812년 자신이 직접 참전한 러시아 전역에서처럼 대규모의 적군은 국경 안으로 깊숙히 끌어들여 소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전쟁론이 미친 영향
일단 러시아. 전쟁론이 쓰여지고 이를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나라는 클라우제비츠의 나라인 프로이센(후의 독일)을 제외하면 러시아였다. 어느 정도냐면, 제2차 세계 대전 때 독일 국방군이 자신들이 점령한 러시아 도시들의 도서관을 뒤졌더니 모든 도서관에서 최소한 1권 이상의 전쟁론이 나오더라는 일화가 있을 정도다. 공산주의 혁명의 핵심이던 블라디미르 레닌조차 수차례 반복해 읽고는 세계 적화를 위해선 반드시 정독하라고 권했을 정도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소련의 젊은 장교들은 전쟁론을 읽고 토론하면서 점차 붉은 군대를 ‘숫자만 많은 오합지졸’에서 그럴싸한 전술을 구사하는 군대로 발전시켜 나갔고, 이대로 제2차 세계대전 때까지 쭉 성장했다면 독일군과도 호각일 강한 붉은 군대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스탈린이 “전쟁론은 낡았다.” 소리만 안 했어도… 많은 사람들이 2차대전 때 동부전선에서 초기에 소련군이 독일군에게 고전했던 가장 큰 원인을 대숙청에서 찾지만 이것도 무시 못 할 원인 중 하나다.
스탈린 사후에서야 러시아 내에서 전쟁론이 재평가되었으며, 전쟁학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뤄질 수 있었다. 한참 냉전이 심각할 때 소비에트의 전쟁학 연구는 그 연구 성과에서 적국인 미국을 앞서 있었다고 하며, 웨스트포인트에서 아직 전쟁학 석사과정 밖에 개설하지 못하고 있을 때, 전쟁학 박사가 발표한 논문들이 모스크바에서 서방으로 흘러나오기도 했다.
한편, 전쟁론이 나온 이후 영미 군사학계의 일반적인 태도는그리 호의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리델 하트의 전략론이 ‘우리도 그 정돈 했다’의 주된 증거로 쓰인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정신승리 성격이었고, 실상은 독일·러시아의 수준에 비하면 80년대까지 한수 아래였다.
머니볼의 저자 마이클 루이스의 말에 의하면 1980년대 월스트리트의 금융계에서도 유행하는 책이었다고 한다. 또한 2000년대 후반 금융 위기 때에도 다시 주목을 받기도 하는데, 전쟁론이 강조하는 전쟁요소 중 ‘우연성’이 인간 심리에 의해 요동치며 경제 이론과 다르게 움직이는 금융시장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힐 가능성이 있다 본다.
프랑스 감독인 베르트랑 보넬로 손에 영화화가 되기도 했다. 물론 전기 영화나 일반적인 영화는 아니고 현대를 배경을 상당히 실험적인 내용과 구성을 빌려왔다.
마오쩌둥도 이 책을 여러번 읽고 여기에 손자병법 등 중국의 전통의 병법을 결합하여 특유의 게릴라 이론을 만들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1) 전쟁의 3요소 가운데 민중의 역할을 강조하는 ‘인민전쟁’, 2) 적의 유형병력 격파가 지역 점령보다 우선이라는 섬멸전, 3) 전략적으로 방어를 추구하되 반격 능력을 강조하는 ‘적극적 방어’ 등이 클라우제비츠에게서 얻은 결과물이었다.
– 번역본
현대판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영역본은 1976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출간된 피터 파렛(Peter Paret), 마이클 하워드(Michael Eliot Howard)의 공동 번역본이지만, 번역의 정확성은 마티아스 졸스(O.J. Matthijs Jolles)가 1943년에 독일어 초판본에 기초해 번역한 판본이 신뢰성이 더 높다고 평가받는다.
국내판으로는 2005년에야 처음으로 완역본이 나왔는데 1권이 2006년에 먼저 나오고 나머지 2, 3권은 2009년에 같이 출판되었다.
최근 한국어 완역판은 적어도 번역가가 국어교육과 전공에 독일에서 강의도 했으며, 군사학도 가르치는 전문가라서 번역의 질이 다른 한국어 번역판보다 월등하게 높다. 이전판과 달리 1830년대 초판과 1840년 추가 발행판과 현대 독어판과 영역판을 모두 참고하여 번역했다고 하고 본문에서도 해설과 주석이 상세한 편이다. 이 완역판은 2016년 현재 전자책으로도 판매되고 있다.
이 외에는 1998년 독일 유학파 육군 중장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이 번역해 밀리터리 클래식 시리즈로 출간한 한 전쟁론 축약판도 있다.
– 관련 자료
* 서적
.클라우제비츠 저. 김만수 역. 《전쟁론》. 갈무리. 2009년
.이진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흐름출판. 2015년
* Literature
1945: In the Horatio Hornblower novel The Commodore, by C. S. Forester, the protagonist meets Clausewitz during the events surrounding the defence of Riga
1945: In That Hideous Strength by C. S. Lewis, Lord Feverstone (Dick Devine) defends rudely cutting off another professor by saying “[…] but then I take the Clausewitz view. Total war is the most humane in the long run.”
1952: In John Steinbeck’s novel East of Eden, the character of Lee makes several references to Clausewitz in Chapter 43.
1955: In Ian Fleming’s novel Dr. No, James Bond reflects that he has achieved Clausewitz’s first principle in securing his base, though this base is a relationship for intelligence purposes and not a military installation.
1977: In The Wars by Timothy Findley, a novel about a 19-year-old Canadian officer who serves in the First World War, one of his fellow soldiers reads On War, and occasionally quotes some of its passages.
2000: In the Ethan Stark military science fiction book series by John G. Hemry, Clausewitz is often quoted by Private Mendoza and his father Lieutenant Mendoza to explain events that unfold during the series.
2004: Bob Dylan mentions Clausewitz on pages 41 and 45 of his Chronicles: Volume One, saying he had “a morbid fascination with this stuff,” that “Clausewitz in some ways is a prophet” and reading Clausewitz can make you “take your own thoughts a little less seriously.” Dylan says that Vom Kriege was one of the books he looked through among those he found in his friend’s personal library as a young man playing at The Gaslight Cafe in Greenwich Village.
* Film
1962: In Lawrence of Arabia, General Allenby (Jack Hawkins) contends to T. E. Lawrence (Peter O’Toole) that “I fight like Clausewitz, you fight like Saxe”, to which Lawrence replies, “We should do very well indeed, shouldn’t we?”
1977: In Sam Peckinpah’s Cross of Iron, Feldwebel Steiner (James Coburn) has an ironic conversation in the trenches in gaps in hostilities with the advancing Red Army with his comrade, Cpl. Schnurrbart, in which they refer to German philosophers and their views on war. Schnurrbart: “Clausewitz said, ‘war is a continuation of state policy by other means.’” “Yes,” Steiner says, overlooking the trenches, ” …by other means.”
1978: In the East German Television television series Scharnhorst Clausewitz was played by Bodo Wolf.
1980: East German Television produced a television biopic, Clausewitz – Lebensbild eines preußischen Generals (Clausewitz – Life picture of a Prussian General), with Jürgen Reuter as Clausewitz, directed by Wolf-Dieter Panse. The film was released on DVD in 2016.
1995: In Crimson Tide, the naval officers of the nuclear submarine have a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of the quote “War is a continuation of politics by other means.” The executive officer (Denzel Washington) contends that the interpretation of Clausewitz’s ideas by the captain (Gene Hackman) is too simplistic.
2004: In Downfall, set during the last days of the Third Reich, Hitler initiates Operation Clausewitz, as part of the last defence of Berlin
2007: In Lions for Lambs, during a military briefing in Afghanistan Lt. Col. Falco (Peter Berg) says: “Remember your von Clausewitz: ‘Never engage the same enemy for too long or he will …’”, “adapt to your tactics”, completes another soldier
2009: In Law Abiding Citizen, Clausewitz is frequently quoted by Clyde Shelton (Gerard Butler), the main character.
2012: In the film The Gatekeepers, Ayalon quotes Clausewitz’s definition of “victory” as constituting an improvement of one’s political situation and gets one of the film’s very rare laughs by describing the military theorist as being “smart even though he doesn’t seem to have been Jewish”.
2016: In the 3rd season of the TV series The Last Ship, Captain Chandler quotes Clausewitz as he uses the military theory of “centres of gravity” and SLQ-32 EMW suite to identify command centre with EM wave strength charts.
* Games
Paradox Development Studio’s grand strategy game engine, used in titles such as Europa Universalis and Hearts of Iron, is named Clausewitz Engine.
In Civilization V: Brave New World, an autocratic nation can adopt the “Clausewitz’s Legacy” tenet, granting the nation a temporary bonus on the military offensive.
In the game Napoleon: Total War, Clausewitz is available for recruitment as a high rated general for the Prussia faction.
In Age of Empires III: Definitive Edition, Clausewitz teaches the “Art of War” series of tutorials, which are aimed at preparing players for competitive play.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