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오늘
1995년 12월 25일, ‘타자성의 철학’을 개진한 프랑스 철학자 · 탈무드 주석가 에마뉘엘 레비나스 / 엠마누엘 레비나스 (Emmanuel Levinas, 1906 ~ 1995) 별세
에마뉘엘 레비나스 / 엠마누엘 레비나스 (프: Emmanuel Levinas, 1906년 1월 12일 ~ 1995년 12월 25일)는 프랑스 철학자이자, 탈무드 주석가로, 에드몽 자베스와 더불어 프랑스어권에서 가장 중요한 유대계 작가로도 주목받는다.
엠마누엘리스 레비나스 (이후에 프랑스어 철자법에 맞추어 에마뉘엘 레비나스: Emmanuel Levinas가 됨)는 리투아니아에서 전통적인 유대교 교육을 받았다.
1923년 프랑스로 유학해 철학을 공부하다가 1928∼1929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후설과 하이데거의 수업을 들으면서 현상학을 연구한 뒤 1930년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레비나스는 처음에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을 프랑스에 처음 소개한 현상학 연구자로 활동했다. 세계 2차 대전 이후에 레비나스는 탈무드를 연구하였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생애 후반기에 영향을 끼쳤다고 인정한, 수수께끼의 인물인 “무슈 슈샤니” (Monsieur Chouchani)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일이었다. 이후 1961년 ‘전체성과 무한’으로 국가박사학위를 취득하면서 ‘타자성의 철학’을 개진한 철학자로 서서히 명성을 얻게 된다. 이 논문을 심사한 얀켈레비치는 “당신이 여기 내 자리에 앉아야 했을 텐데요”라고 극찬했고, 리쾨르는 그때 이미 그의 연구의 중요성을 간파했는지 ‘전체성과 무한’의 논문 심사가 끝난 뒤 “이제부터는 그를 눈여겨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후 그는 푸아티에 대학과 소르본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연구에 매진했으며, 말년으로 갈수록 점점 더 그의 철학의 중요성을 인정받게 된다. 현재는 서양철학의 전통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독특한 윤리적 사유로 각광을 받으며 그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별히 리쾨르와 데리다는 그의 사유를 통해 자신들의 사유를 발전시켜 나간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현재 레비나스의 철학은 프랑스 현상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윤리학, 철학, 사회철학, 정치철학의 맥락으로까지 확장되어 유럽과 영미권을 중심으로 매우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이제 레비나스의 철학은 나, 타인, 삶의 의미와 정의 등의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철학으로 자리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일자로서의 ‘나 또는 개인’을 중심으로 한 자기성의 철학과 윤리가 대세를 이루는 서양철학에서뿐만 아니라, 동일자로 타자를 흡수하며 동일자 아래서 개별자를 사유하는 경향이 아직도 강하게 남아 있는 작금의 시대 상황 속에서, 타자성의 철학과 타인과의 관계로서의 정의를 추구한 그의 사유는 앞으로도 커다란 울림을 우리에게 선사한다.
– 엠마누엘 레비나스 (Emmanuel Levinas)
.출생: 1906년 1월 12일, 러시아제국 카우나스
.사망: 1995년 12월 25일, 프랑스 파리
.시대: 20세기 철학, 서양 철학 / 학파: 대륙 철학
.분야: 실존 현상학 · 탈무드 · 윤리학 · 존재론
.업적: 타자 · “얼굴”
.영향받음: 마이모니데스 · 후설 · 하이데거 · 마르셀 · Wahl Rosenzweig · 부버 · 몬시에우르 추우차니 · 데카르트 · 사르트르 · 메를로 퐁티 · 뒤르케임
.영향줌: Blanchot · 데리다 · 메를로 퐁티 · 사르트르 · B-H Lévy · 이반 일리치 · 리꾀르 · Glucksmann · Finkielkraut
.저서들: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 (스트라스부르 대학 박사학위, 1930), 시간과 타자 (1947), 존재에서 존재자로 (1947), 후설과 하이데거와 함께 존재를 찾아서 (1949), 전체성과 무한 (1961),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 (1974), 어려운 자유 (1963), 관념에게 오는 신에 대해 (1982), 주체 바깥 (1987), 우리 사이 (1991) 등
에마뉘엘 레비나스 (Emmanuel Levinas)는 리투아니아에서 유태인 부모 아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3년 프랑스로 유학해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수학했고, 1928~1929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후설과 하이데거로부터 현상학을 배운 뒤, 1930년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39년 프랑스 군인으로 2차 대전에 참전했다가 포로가 되어 종전과 함께 풀려났다. 1945년부터 파리의 유대인 학교(ENIO) 교장으로 오랫동안 일했다. 이 무렵의 저작으로는 『시간과 타자』(1947), 『존재에서 존재자로』(1947), 『후설과 하이데거와 함께 존재를 찾아서』(1949) 등이 있다. 1961년 첫번째 주저라 할 수 있는 『전체성과 무한』을 펴낸 이후 레비나스는 독자성을 지닌 철학자로 명성을 얻기 시작한다. 1974년에는 그의 두 번째 주저 격인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가 출판되었다. 그 밖의 중요한 저작들로는 『어려운 자유』(1963), 『관념에게 오는 신에 대해』(1982), 『주체 바깥』(1987), 『우리 사이』(1991) 등이 있다. 레비나스는 기존의 서양 철학을 자기중심적 지배를 확장하려 한 존재론이라고 비판하고 타자에 대한 책임을 우선시하는 윤리학을 제1철학으로 내세운다. 그는 1964년 푸아티에 대학에서 강의하기 시작하여 1967년 낭테르 대학 교수를 거쳐 1973년에서 1976년까지 소르본 대학 교수를 지냈다. 교수직을 은퇴한 후에도 강연과 집필 활동을 계속하다가 1995년 성탄절에 눈을 감는다.
○ 레바나스 (Emmanuel Levinas) 개관
프랑스의 유태계 철학자이다. 러시아의 영향이 강한 동유럽 리투아니아 출신으로, 유태인 부모에 의해 성경과 탈무드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 동시에 러시아 문학에도 정통했다.
1923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유학한 후 모리스 블랑쇼와 우정을 맺는다. 2차대전 중 프랑스군에 입대해 통역일을 맡았으나 독일군에게 포로로 잡혀 수용소 생활을 했고, 그 와중에 가족들은 나치에게 몰살당했다. 5년간의 수용소 생활 과정에서 플라톤에서 시작하는 서양의 존재론적 전통을 포함한 기존 철학에 대항하는 사상을 이루었다. 이는 유태인으로서 리투아니아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유학해 독일 철학을 배웠다는 특수한 연혁 덕이라 볼 수 있다.
레비나스는 1935년, 그가 생각하는 최초의 저서인 “탈출에 관하여”에서 자기 (soi)에 대한 자아 (moi)의 동일성인 ‘자아와 자기’ 아래선 어떤 탈출이나 구원도 바랄 수 없다고 했는데, 레비나스는 그러므로 초월은 자아와 자기의 관계를 깨부수는 것, 즉 자아가 자기자신이라는 생각을 깨뜨리는 것에 대한 필요로 이 초월에 ‘탈출’, ‘벗어남’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도입한다. 이 연구는 레비나스의 탈자태 개념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가 주목한 부분은 윤리와 전체주의에 관한 문제였는데, 르네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인식 주체 중심의 존재론은 ‘나의 세계’가 ‘나’ 뿐만 아닌 ‘타자’조차도 ‘나의 세계’로 끌어들이는 지극히 자기 중심적인 이론으로 보고 이것이 나치즘과 같은 전체주의로 발전한다고 믿었다. 또한 그는 나치즘과 같은 전체주의 사상의 원천을 서양 존재론의 전통, 존재에서 악이 결여되어있는 것이 아닌, 존재가 악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인한다.
이러한 자기 자신으로 끊임없이 함몰되는 존재론에 대비해 그는 당시 빛을 잃어가던 형이상학적 윤리 철학인 ‘타자의 철학’, 즉 이타주의 철학 혹은 상호존재주의 철학을 제시했다. 그는 자기중심주의와 이기적 자기 주장에 억눌린 약자로서의 타자를 찾고자 하였다. 존재론은 자기 인식 하에 자기 바깥의 모든 것까지 자신의 안으로 내재하려는 인식이지만, 그는 타자는 자신이 어떤 수단으로든 간섭하고 제압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런 고로 타자가 어떠한 존재이든지 간에 그 생명을 존중하고 윤리적으로 대접해야 하며, 그런 타자와의 관계에서 ‘나’라는 존재의 유한성이 극복된다고 믿었다. 서구 전통론의, ‘나’라는 존재에 의해 ‘타자’가 정의된다는 것과는 정면으로 대치되는, ‘타자’가 존재함으로써 ‘나’는 윤리적 책임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는 타자에 의해 자신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말로는 ‘타자의 인질’이 되는 것을 말한다. 타자의 생명과 고유성은 ‘성전 (聖殿)’이며, 우리 자신은 윤리성을 지키기 위해 그들 타자가 유린되거나 다치지 않도록 수호하는 볼모된 자이다.
그래서 레비나스는 아나키의 주체를 말하면서, 타자와 나는 영감의 관계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이러한 ‘윤리학은 존재론에 앞선다 (Ethics precedes ontology)’는 이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상실해 가던 윤리와 도덕론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고, 서구 전통에 대한 비판은 후에 포스트모더니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레비나스의 종교관도 꽤나 흥미로운데, 유대계 배경 집안에서 자란 것과는 다르게 ‘성스러움’을 폭력적인 것으로 구분한다. 신의 뜻 대로 행동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의지로 행동한 후에 신의 뜻대로 행동할 수 있어야 진정한 신을 믿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저작들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 (스트라스부르 대학 박사학위, 1930)
『시간과 타자』(1947),
『존재에서 존재자로』(1947)
『후설과 하이데거와 함께 존재를 찾아서』(1949)
『전체성과 무한』(1961)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1974)
『어려운 자유』(1963)
『관념에게 오는 신에 대해』(1982)
『주체 바깥』(1987)
『우리 사이』(1991) 등
A full bibliography of all Levinas’s publications up until 1981 is found in Roger Burggraeve Emmanuel Levinas (1982).
A list of works, translated into English but not appearing in any collections, may be found in Critchley, S. and Bernasconi, R. (eds.), The Cambridge Companion to Levinas (publ. Cambridge UP, 2002), p. 269–270.
– Books
1929. Sur les « Ideen » de M. E. Husserl1930. La théorie de l’intuition dans la phénoménologie de Husserl (The Theory of Intuition in Husserl’s Phenomenology)
1931. Der Begriff des Irrationalen als philosophisches Problem (with Heinz Erich Eisenhuth)
1931. Fribourg, Husserl et la phénoménologie
1931. Les recherches sur la philosophie des mathématiques en Allemagne, aperçu général (with W. Dubislav)
1931. Méditations cartésiennes. Introduction à la phénoménologie (with Edmund Husserl and Gabrielle Peiffer)
1932. Martin Heidegger et l’ontologie1934. La présence totale (with Louis Lavelle)
1934. Phénoménologie
1934. Quelques réflexions sur la philosophie de l’hitlérisme
1935. De l’évasion
1935. La notion du temps (with N. Khersonsky)
1935. L’actualité de Maimonide
1935. L’inspiration religieuse de l’Alliance
1936. Allure du transcendental (with Georges Bénézé)
1936. Esquisses d’une énergétique mentale (with J. Duflo)
1936. Fraterniser sans se convertir
1936. Les aspects de l’image visuelle (with R. Duret)1936. L’esthétique française contemporaine (with Valentin Feldman)
1936. L’individu dans le déséquilibre moderne (with R. Munsch)
1936. Valeur (with Georges Bénézé)
1947. De l’existence à l’existant (Existence and Existents)
1948. Le Temps et l’Autre (Time and the Other)
1949. En Découvrant l’Existence avec Husserl et Heidegger (Discovering Existence with Husserl and Heidegger)
1961. Totalité et Infini: essai sur l’extériorité (Totality and Infinity: An Essay on Exteriority)
1962. De l’Évasion (On Escape)
1963 & 1976. Difficult Freedom: Essays on Judaism
1968. Quatre lectures talmudiques
1972. Humanisme de l’autre homme (Humanism of the Other)
1974. Autrement qu’être ou au-delà de l’essence (Otherwise than Being or Beyond Essence)
1976. Sur Maurice Blanchot
1976. Noms propres (Proper Names) – includes the essay “Sans nom” (“Nameless”)
1977. Du Sacré au saint – cinq nouvelles lectures talmudiques
1980. Le Temps et l’Autre
1982. L’Au-delà du verset: lectures et discours talmudiques (Beyond the Verse: Talmudic Readings and Lectures)
1982. Of God Who Comes to Mind
1982. Ethique et infini (Ethics and Infinity: Dialogues of Emmanuel Levinas and Philippe Nemo)
1984. Transcendence et intelligibilité (Transcendence and Intelligibility)
1988. A l’Heure des nations (In the Time of the Nations)
1991. Entre Nous
1995. Altérité et transcendence (Alterity and Transcendence)
1998. De l’obliteration. Entretien avec Françoise Armengaud à propos de l’œuvre de Sosno (»On Obliteration: Discussing Sacha Sosno, trans. Richard A. Cohen, in: Art and Text (winter 1989), 30-41.)
2006. Œuvres: Tome 1, Carnets de captivité: suivi de Écrits sur la captivité ; et, Notes philosophiques diverses, Posthumously published by Grasset & Fasquelle
– Articles in English
“A Language Familiar to Us”. Telos 44 (Summer 1980). New York: Telos Press.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