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오늘
4월 17일
그레고리력으로 107번째 날이다.
○ 사건
1492년 – 산타페 협약, 스페인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시아로의 항해를 계약하다. 항해의 목적은 향신료다.
1880년 – 조선에 주조선 일본공사관 설치하다.
1895년 – 청나라가 시모노세키 조약에 조인하여 타이완을 일본에게 할양하다.
1911년 – 조선총독부, 토지수용령 공포하다.
1917년 – 러시아의 볼셰비키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 밀봉열차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전날 귀환하여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찬전 임시정부 타도” 등의 내용을 담은 ‘4월 테제’ 발표하다.
1919년 – 상하이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제 선포하다.
1924년 – 서울에서 전 조선노동총동맹 결성 발족하다.
1925년 – 조선공산당이 창당되다.
1941년 – 유고슬라비아, 독일에게 항복하다.
1946년 – 시리아, 프랑스에서 독립하다.
1952년 – 대한민국 국회 국회의원 123명, 내각책임제의 제3차 개헌안 제출하다 (5.7. 공고).
1954년 – 나세르, 이집트 수상으로 취임하다.
1956년 – 코민포름 해산하다.
1957년 – 강문봉 중장에 사형 선고하다.
1961년 – 미국, 쿠바 피그만을 침공하나 사흘 만에 대패하다. / 미터제 (자동요금계산기) 택시 등장. 단 300대의 택시가 서울시가를 달리기 시작함. 기본요금은 300환을 받고 500m를 넘을 때마다 50환씩 불어 표시되다.
1962년 – 미군, 쿠바 피그만 침공 상륙 개시해 작전 개시 사흘만에 대패하다.
1965년 – 한일협정 반대 시위, 효창공원에서 시민궐기대회가 일어나다.
1968년 – 대한민국의 박정희 대통령이 하와이 호놀룰루를 방문해 린든 B. 존슨 미국 대통령과 회담하다. / 일본에서 조총련계 “조선 대학”이 정식 인가받다.
1969년 – 프라하의 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제1서기 알렉산데르 둡체크 실각, 후임에 구스타우 후사크가 임명되다.
1970년 – 아폴로 13호가 무사 귀환하다.
1971년 –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이 선포되다.
1974년 – 대한민국에서 주간 <내외통신> 창간하다. (북한ㆍ공산권 전문 통신, 1998년 연합통신에 통합)
1975년 – 크메르루주가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을 함락시켜 캄보디아를 장악하다. / 4·19 혁명 묘역, 국립묘지로 승격하다.
1976년 – 대한민국과 바레인이 국교수립하다.
1981년 – 폴란드 정부, 자유 노조 결성을 허용하다. / 롱 미국 태평양함대 사령관, 북한은 10만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다. / 치안본부, 농협·수협·축협 조합장 선거 부정사건 수사하다.
1982년 – 캐나다, 건국 115년만에 자주헌법 공포하다. / 서울대학교 법대 학생 대표 “노진수”씨 실종사건발생하다. / 대한민국 정부, 중소기업의 고도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10개년 계획 발표하다.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대통령, 북한 평양 방문하다.
1984년 – KOC(한국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북한 측에 남북한 체육회담을 열자고 거듭 제의하여 성사되다. / 고려대학교에서 학생 1500여 명 시위, 강제징집 철폐 등 구호를 외치다.
1985년 – 고려대학교에서 전국 23개 대학의 전국대학생총연합회 (전대협, 한대련의 전신) 결성, 의장에 김민석 서울대 학생회장이 선출되다.
1986년 – 네덜란드와 실리 군도가 평화 협정을 맺고 335년 전쟁을 끝내다. / 전두환 대통령, EC(ECC와 유럽연합의 전신)위원장과 한·EC 교역확대 등 논의하다.
1987년 – 통일민주당(가칭) 김영삼위원장, 현행 제5공화국 간선제 헌법하의 대통령선거에 통일민주당 불참 선언하다.
1989년 – 중국 베이징의 천안문 광장에서 4000명의 학생들이 후야오방을 애도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행진을 벌이다. /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미국 대통령, 폴란드 민주개혁 돕기 위한 조치 결정하다. / 대만(중화민국) 기자, 40년만에 중국(중화인민공화국) 방문 취재하다. / 건설부, 고속도로 11개노선 1290㎞를 92년까지 착공키로 계획 발표하다. / 연세대학교와 한양대학교 등에서 의료 노동자들이 임금투쟁하다. / 과외 금지조치 해제에 따라 EBS, 고교 과외방송 실시하다. / 미국의 방송국 CNBC가 개국하다.
1990년 – 대한민국 법무부, 가정파괴범 등 강력범 9명 최형호, 강창구, 육근성, 어성갑 등 교수형 집행하다. / 민주자유당, 당내 영수 4자 회담에 따라 계파갈등 사과문 발표하다.
1991년 –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가이후 토시키 일본 수상과 회담 했다. 다음날 나가사키에서 러일전쟁의 수병 전몰자 (전사자)에 참배하면서 뒤이은 한소 정상회담이 늦춰지다.
1993년 – 미국 대법원, 로드니 킹 구타사건 관련 피고인 경찰관 4명 중 2명에게 유죄판결나다.
1996년 – 정보통신주권수호와 재벌독점방지 위한 개인휴대통신범국민대책위 결성하다. / 공정거래위원회 정재호 정책국장 구속하다. / 국내 최초 전자도서관 LG상남도서관 개관하다.
1997년 – 대한민국 대법원이 전두환 전 대통령에게는 무기징역과 2205억원의 추징금을,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는 징역 17년과 추징금 2628억원을 선고하다.
2000년 – 종합주가지수가 93.17( 11.63%) 하락으로 하락폭-하락률 사상 최고기록을 경신하다.
2003년 – 대한민국 국군, 이라크 전쟁 파병 선발대 첫 출국하가. / 종합주가지수 93.17포인트 (11.63%) 하락으로 하락폭-하락률 사상 최고기록 경신하다. / 16대 대선에서 경선자금 한도초과에 ‘양심고백’한 김근태 의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법정에 출두하다. / 국제언론인협회 (IPI), 한국 언론자유 상황을 우려하는 보고서 제출하다.
2004년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저항운동단체인 하마스 최고 지도자 압델 아지즈 란티시 암살, 이는 3월의 아흐메드 야신 암살에 이은 것이다.
2007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정부청사역 ~ 반석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구간 완전 개통되다.
2008년 –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을 포함한 10명의 임원에 대해 경영권 불법 승계 과정에 개입한 배임죄, 조세포탈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하다.
2016년 – 에콰도르 지진이 발생하다.
2019년 –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 문화
1895년 –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일본 제국과 패전 화평조약인 시모노세키 조약 (마관조약) 체결하다.
1915년 – 경신학교 대학부 개설하다.
1917년 –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 전문학교 창립하다.
1925년 – 조선공산당 창당하다.
1969년 –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화 기수 알렉산데르 둡체크 실각, 후임에 후사크가 오르다.
1970년 – 아폴로 13호가 무사귀환하다.
1975년 – 크메르 루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점령하다.
1976년 – 충청남도 부여군 조촌면 송국리에서 백제 도자기 가마(도요지) 발견하다. / 에버랜드가 자연농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장하다.
1981년 – 폴란드 공산 정부, 농민노조 합법화 승인하다. / 전라남도 진도군, 돌산 연육교 기공하다.
1982년 – 문화방송 여의도 사옥 개막하다.
1985년 – 한신 타이거스는 이 날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홈경기에서 랜디 바스 – 카케후 마사유키 – 오카다 아키노부 3타자 연속 홈런, 일명 백스크린 3연발을 기록하다.
1989년 – 과외 금지조치 해제에 따라 EBS, 고교 과외방송 실시하다. / 미국의 방송국 CNBC가 개국하다.
1997년 – 대법원, 내란죄 사범 전두환, 노태우에게 최종 선고, 형 확정. 12.12 군사반란, 5.17 내란, 5.18 민주화운동과 비자금 사건 관련 선고공판에서 전두환 씨에게는 무기징역형과 추징금 2,205억 원, 노태우 씨에게는 징역 17년과 추징금 2,628억 원 선고하다.
1999년 – 걸그룹 핑클의 팬클럽인 핑키가 창단되다.
2005년 – 일밤의 인기 코너였던 브레인 서바이버, 대단한 도전이 2년여 만에 막을 내리다.
2007년 – 대전 지하철 1호선의 2단계 구간인 정부청사역~반석역과 외삼차량사업소가 개통되다.
2013년 – 구스위키 설립하다.
2014년 – 美항공우주국 (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우리 은하계의 다른 별에서 지구 크기의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행성을 처음으로 발견하다.
2015년 –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로 인해 이를 대체할 위키인 나무위키가 설립되었다. 참고로 구스위키와 설립일이 동일하다.
2019년 – Jeopardy!에서 James Holzhauer가 단일 최다 상금 기록인 $131,127을 기록하면서 본인이 9일 전에 세운 최고 기록인 $110,914을 재경신하다.
○ 탄생
1418년 – 조선 5대 국왕 문종의 정비 현덕왕후.
1578년 – 조선의 16대 왕 인조의 어머니 인헌왕후.
1586년 – 영국의 극작가 존 포드.
1818년 – 러시아 제국 황제 알렉산드르 2세.
1837년 – 미국의 금융인 J. P. 모건.
1849년 – 일본 메이지 덴노의 정실 쇼켄 황후.
1885년 – 중화민국의 군벌 쑨촨팡.
1888년 – 독일의 군악병 헤름스 닐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황진박.
1891년 – 대한민국의 정치깡패 박춘금.
1894년 – 구 소련의 정치인 니키타 흐루쇼프.
1903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민호.
1914년 – 대한민국의 유기농업 선구자이자 풀무원사 창업자 원경선.
1916년 – 스리랑카의 정치인 반다라나이케.
1918년 – 미국의 영화 배우 윌리엄 홀든.
1919년 – 코스타리카 출신의 멕시코 원로 가수 차벨라 바르가스.
1921년 – 대한민국의 군인 김용배.
1923년 – 한국의 동물분류학자 김훈수.
1931년 – 일본의 성우 타키구치 준페이.
1934년 –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전 국방장관 최세창.
1935년 – 일본의 작가, 동물연구가, 작사 하타 마사노리.
1946년 – 독일의 생물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게오르게스 J. F. 쾰러.
1947년 – 일본의 만화가 하나와 가즈이치.
1950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선동.
1951년 – 아르헨티나의 영화배우 올리비아 핫세 (올리비아 허시).
1954년 – 캐나다의 프로레슬러 로디 파이퍼.
1963년 – 미국의 배우 조엘 머레이.
1964년 – 미국의 밴드 TOOL의 보컬 메이너드 제임스 키넌.
1965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표인봉 / 일본의 성우, 배우쿠로다 타카야.
1971년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고형욱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 박용진.
1972년 – 일본의 축구 심판 니시무라 유이치 / 미국의 배우 제니퍼 가너.
1974년 – 영국의 가수, 디자이너 빅토리아 베컴.
1977년 – 미국의 스피드스케이트 선수 채드 헤드릭.
1979년 – 대한민국의 가수 성시경.
1980년 – 대한민국의 가수 정동하.
198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준기 / 대한민국의 배우 이시영.
1985년 – 미국의 배우 루니 마라.
1986년 – 대한민국 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선수 이용래.
1987년 – 북한의 축구 선수 리광혁.
1988년 – 일본의 밴드 ‘ONE OK ROCK’의 보컬 모리타 타카히로.
1992년 – 대한민국의 가수 진호 (펜타곤).
1994년 – 대한민국의 가수 홍석 (펜타곤).
1995년 – 대한민국의 가수 휘인 (마마무).
1999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희수 / 대한민국의 가수 박윤하.
2001년 – 대한민국의 가수 신류진 (ITZY).
2002년 – 대한민국의 가수 레나 (공원소녀).
2003년 – 대한민국의 가수 백지헌 (fromis_9).
○ 사망
1711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요제프 1세.
1761년 – 영국 수학자 토마스 베이.
1790년 – 미국의 발명가, 외교관, 미국 건국의 아버지 벤저민 프랭클린.
1892년 – 캐나다 2대 총리 알렉산더 메킨지.
1902년 – 이사벨 2세의 부군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1925년 – 중화민국의 군벌 탄하오밍.
1937년 – 일제강점기 작가 이상.
1948년 – 일본 42대 총리대신 스즈키 간타로.
1953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초대 부통령 이시영.
1990년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안젤로 스키아비오.
1995년 –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김소희.
1998년 – 미국의 사진가, 폴 매카트니의 부인 린다 매카트니.
2003년 – 영국의 자선가 존 폴 게티.
2004년 – 팔레스타인 하마스 최고 지도자 란티시.
2011년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각본가 데자키 오사무.
2014년 – 콜롬비아의 소설가, 저널리스트이자 정치 운동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2016년 – 미국의 배우 도리스 로버츠.
2018년 – 미국의 제41대 대통령 조지 H. W. 부시의 부인 바버라 부시.
2019년 – 페루의 제93대 대통령 알란 가르시아 / 일본의 소설가 코이케 카즈오.
2021년 – 대한민국의 래퍼 이현배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을분 / 일본의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코바야시 오사무.
2022년 – 프랑스의 가수 캐서린 스파크 / 루마니아의 피아니스트 라두 루푸.
2023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동일.
○ 기념일
세계 혈우병의 날
가톨릭 축일: 성 돈난, 성 란데리코, 성 로베르토, 성 마르치아노, 성 마팔리코, 성 바오로, 성 베드로, 성 스테파노 하딩, 성 아니체토, 복자 야고보, 복자 에베르하르도, 성 엘리야, 성 이시도로, 성 인노첸시오, 복자 제르비노, 성녀 카테리 테카크위타, 복녀 클라라 감바코르타, 성 판타가토, 성 포르투나토, 성 헤르모제네

제공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