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복 목사의 성지 답사기 중에서 (1)
<시드니 인문학교실 제 2차 인문학여행팀> 여러분! 모두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홍길복입니다. 저는 아주 오래전 부터 어디 여행을 하게 되면 그때 그때 마다 여행일기를 쓰는 것이 하나의 습관 처럼 되어 왔습니다. 정확하게 세어보지는 못했지만 그동안 썻던 여행일기가 아마도 한 200일 분은 될 것 같습니다. 이제는 나이가 더해 가는지라 앞으로도 계속해서 그런 여행일기를 쓸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여기에 올리는 글은 16년전에 썻던 글 중 일부입니다. 부족한 사람이 2007년 1월 15일 부터 약 3주에 걸쳐 서울에 있는 장로회신학대학 <성지 답사팀>과 더불어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스라엘, 이집트 등 5개국을 방문했을 때 썻던 <여행 일기> 중 한 부분입니다. 저는 그 때, 여행 중에 썻던 일기를 당시 시드니에서 발행되던 주간지의 요청에 따라 주 1회 씩 59회에 걸쳐 1년이 넘게 연재했었습니다. 물론 그 일기는 전문성을 지닌 글은 아닙니다. 전문가들이 읽으시면 잘못된 것들도 적지 않게 지적해 내시리라 생각되어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2023년 시드니인문학교실에서 준비하고 있는 <제 2차 인문학여행>의 참가자들과 함께 오래 전에 경험하고 생각했던 보잘 것 없는 이런 작은 여행 이야기 이지만 나누고 싶어서 우리가 방문하게 될 <이집트> 부분만을 추수려서 1주일에 한번 정도씩 몇번에 걸쳐 올려드릴려고 합니다. 이 글이 여행을 떠나기 전, 우리가 서로 더 가깝게 사귈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네게브 (Negev)를 지나 이집트땅에 들어서다
브엘세바에서 점심을 먹은 후 우리는 남진을 계속했습니다. 뜨거운 <네게브> 사막을 통과하고 <아라바> 계곡을 따라 400여 킬로미터를 달려 마침내 시내반도의 끝자락,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국경도시 <에일랏, Eilat>에 도착했습니다. 에일랏은 참 잘 다듬어진 휴양도시입니다.
오늘 우리가 지나온 네게브 사막은 그 옛날 이집트를 탈출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천신만고를 겪으며 지나온 <신광야> <바란광야> 길입니다. 그들은 시내산을 떠난 후 <하세롯>을 거쳐 <에시온게벨>을 지나<가데스바네아> 까지 왔습니다. 정말 험하고 힘든 행로였습니다. 여기에서 그들은 12명의 정탐꾼을 뽑아 가나안 땅으로 보냈습니다. 그런데 그것은 엄청난 비극이 되고 말았습니다.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한 10명의 정탐꾼들은 다시 이집트로 돌아가자고 했기 때문입니다. 모든 자유와 해방을 향한 길은 언제나 힘들고 어려운 법입니다. 복고주의적이며 내일을 향한 오늘의 고난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들은 결코 약속된 내일을 향유할수가 없습니다. 그들은 여기에서 다시 광야길로 내몰리어 40년에 걸친 길고 긴 고난의 행진을 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우리는 에어컨이 잘 갖추어진 딜럭스 관광 버스를 타고 불과 몇 시간 만에 이 길을 지나왔지만, 그 옛날 이 광야길은 사실 죽음의 길이라 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 이스라엘은 이 메마른 땅, 황무지, 일년 내내 섭씨 40도를 넘어서는 불볕의 땅에 송수관을 놓고 지하수를 개발하고 담수호를 만들고 꽃과 과일을 재배하며 1억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었습니다. 이제 여기 네게브에서 재배되는 꽃들은 유럽의 꽃시장을 석권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듯 황무지가 장미꽃 같이 피어나는 역사의 중심에는 <키브츠운동, Kibbutz Movement>이 있었습니다. 현재 이스라엘에는 약 250개의 키브츠에 7만여명의 회원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이 사막을 옥토로 만드는 용사들입니다.
에일랏에 있는 타바국경 출입국 사무실 앞에서 우리는 한국에서 성지순례를 온 여전도회 전국연합회 회원들을 만났습니다. 그분들은 이집트에서 출발하여 시내산을 오른 후 그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의 출애굽 행로를 따라서 여기 까지 오신 것입니다. 우리는 출애굽행로를 꺼꾸로 가고 있는데 그분들은 성서의 순서를 따라 여행을 하고 계셨습니다. 서로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우리는 이집트 땅으로, 그리고 그이들은 이스라엘로 발길을 옮겼습니다. 그 동안 우리를 안내했던 류공석목사님과도 헤어졌습니다. 40여명이 넘는 우리팀을 안전하게 살펴주시고 친절하게 가이드해 주시고 자상하게 교육해 주신 것이 참 고마웠습니다.
이집트 땅으로 넘어서자 카이로에서 올라오신 제진수집사님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8년 동안이나 이집트에서 여행사를 경영하시는 초창기 이집트교민 중 한분으로써 시내산만해도 500번 이상을 오르셨다고 하셨습니다. (후기 참고: 안타깝게도 그후 제진수사장님은 2014년 2월 이집트로 여행온 한국관광단에게 던진 폭탄테러를 자신의 몸을 던져 막아냄으로 자신은 숨지고 많은 사람들을 살려냄으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여 우리에게 큰 감동과 울림을 전해 주신 분입니다) 이제 부터는 시나이(Sinai)반도를 따라서 시내산까지 가게 됩니다. 지도를 펼쳐놓고 다시 지형을 살펴봅니다. 홍해가 깊숙히 들어와 있는 곳에는 에일랏이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 광야에서 에시온게벨 곁에 있는 에일랏을 지났으며”(신명기 2:8)
모세시대 부터 있었던 <에시온게벨>과 <에일랏>은 지금도 변함없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에일랏은 옛날부터 대상들의 휴양지요, 무역항구로써 번창한 도시였습니다. 이스라엘은 건국 후 네게브사막의 끝자락인 이곳을 본격적으로 개발하였습니다. 아름다운 홍해바다를 구경하며 휴가를 보낼수 있도록 각종 위락시설을 잘 갖추어 놓았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시내산을 방문하기에는 이곳이 가장 가까운 도시이기에 에일랏은 많은 관광객들에게 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에일랏에서 시내산 까지는 삼각형을 꺼꾸로 세워놓은 것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넓이는 6만 1천 평방킬로미터나 됩니다. 현재 팔레스타인 땅의 두배 이상입니다. 그 유명한 6일 전쟁 이전에는 이 시내반도가 이집트 영토였는데 이스라엘이 그 전쟁에서 승리함으로 시내반도는 이스라엘 땅이 되었습니다. 이스라엘 정부는 시내반도에 각종 기간시설을 하고 도로를 정비했습니다. 에일랏에서 시내산 까지 도로를 닦고 포장하고 확장 했습니다.
1967년 6월 이스라엘은 불과 6일 밖에 않되는 짧은 전쟁을 통하여 2억이나 되는 아랍인들을 물리치고 골란 고원을 점령했으며 시나이 반도를 차지하고 동예루살렘과 웨스트뱅크 및 가자지역을 모두 석권했습니다. 이는 20세기에 국가와 국가 사이에서 일어난 전쟁 가운데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승리요, 동시에 가장 이해가 않되는 패전이었습니다. 그로부터 10년 후 1977년, 이스라엘의 베긴(Begin)수상은 이집트의 사다트(Sadat)대통령을 이스라엘로 초청하여 국회에서 연설하게 하고 동예루살렘을 방문토록 한 후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 반환해 주었습니다. 이는 팔레스타인과 중동의 평화를 위한 전진적 발자취였습니다. 하지만 그 후 사다트는 이집트에서 군인들에게 암살당하고 중동의 평화를 향한 행진은 또다시 뒷걸음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아카바만을 왼쪽으로 끼고 어두운 밤길을 달리고 달려 밤 10시가 되어서야 시내산 밑에 도착했습니다. 차창 밖은 칡흙같이 어두워서 아무 것도 분간 할수가 없었습니다. 가끔 헤드라이트에 비쳐지는 시나이 반도는 그야말로 풀 한포기 없고 나무 한 그루 없는 불모지였습니다. 바람은 세게 불어오고 날씨는 많이 추웠습니다. 이런 길을 걸어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찌 불평과 불만이 없을 수가 있었겠습니까? 여기는 단순히 척박한 불모지 정도가 아니라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라는 말이 옳을 듯 합니다. 이 엄청난 재앙과 죽음의 땅을 통과해 온 그들의 불평과 불만이 넉넉히 짐작도 되고 이해도 되었습니다. 사람은 사막을 통과해 보아야 마침내 사람이 되고, 광야를 거쳐야만 드디어 진리를 알게 된다고 하는 베두인들의 말이 생각났습니다. 아주 늦은 밤 우리는 시내산 밑에 있는 모간 랜드 호텔(Morgan Land Hotel)에 도착했습니다.(계속)
홍길복 목사
(호주연합교회와 해외한인장로교회 은퇴목사)
홍길복 목사는 황해도 황주 출생 (1944)으로 연세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목회자다. 1980년 호주로 건너와 40여년 간 이민목회를 하는 동안 시드니제일교회와 시드니우리교회를 섬겼고, 호주연합교단과 해외한인장로교회의 여러 기관에서 일했다.
2010년 6월 은퇴 후에는 후학들과 대화를 나누며 길벗들과 여행하는 자유를 만끽하는 중이다. 자신이 경험한 이민, 특히 이민한 기독교인들의 삶을 보편적인 이야기로 풀어내는 글쓰기를 바탕으로 ‘동양인 예수’, ‘내 백성을 위로하라’, ‘성경에 나타난 이민자 이야기’, ‘이민자 예수’ 등의 책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