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복 목사의 성지 답사기 중에서 (2)
<시드니 인문학교실 제 2차 인문학여행팀> 여러분! 모두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홍길복입니다. 저는 아주 오래전 부터 어디 여행을 하게 되면 그때 그때 마다 여행일기를 쓰는 것이 하나의 습관 처럼 되어 왔습니다. 정확하게 세어보지는 못했지만 그동안 썻던 여행일기가 아마도 한 200일 분은 될 것 같습니다. 이제는 나이가 더해 가는지라 앞으로도 계속해서 그런 여행일기를 쓸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여기에 올리는 글은 16년전에 썻던 글 중 일부입니다. 부족한 사람이 2007년 1월 15일 부터 약 3주에 걸쳐 서울에 있는 장로회신학대학 <성지 답사팀>과 더불어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스라엘, 이집트 등 5개국을 방문했을 때 썻던 <여행 일기> 중 한 부분입니다. 저는 그 때, 여행 중에 썻던 일기를 당시 시드니에서 발행되던 주간지의 요청에 따라 주 1회 씩 59회에 걸쳐 1년이 넘게 연재했었습니다. 물론 그 일기는 전문성을 지닌 글은 아닙니다. 전문가들이 읽으시면 잘못된 것들도 적지 않게 지적해 내시리라 생각되어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2023년 시드니인문학교실에서 준비하고 있는 <제 2차 인문학여행>의 참가자들과 함께 오래 전에 경험하고 생각했던 보잘 것 없는 이런 작은 여행 이야기 이지만 나누고 싶어서 우리가 방문하게 될 <이집트> 부분만을 추수려서 1주일에 한번 정도씩 몇번에 걸쳐 올려드릴려고 합니다. 이 글이 여행을 떠나기 전, 우리가 서로 더 가깝게 사귈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시내산에 오르다
2007년 1월 29일 월요일 새벽 2시, 호텔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방 마다 다니면서 세차게 문을 두드렸습니다. 한 두 세 시간이나 잤을까요? 벌떡 일어났습니다. 이미 잠들기 전에 모든 것을 다 챙겨놓긴 했지만 우리는 시내산 등정을 위해 마치 출전 준비를 하는 군인들 처럼 복장을 갖추고 버스에 올랐습니다. 참 추웠습니다. 차로 한 10여분 쯤 갔습니다. 칠흙같이 어두웠습니다. 아무 것도 보이질 않는데 손전등을 들고 가이드를 따라 <시내산 국립공원, Mt. Sinai National Park> 입구의 매표소 앞에 도착했습니다. 나누어준 입장권을 이집트 관리들이 한사람씩 모두 검색했습니다. 새벽 3시경, 우리는 <성 카트리나 수도원, St. Catherina Monastery> 입구에 모여 손에 손을 잡고 기도를 드렸습니다. 3천5백년 전 모세가 하느님을 뵙고 하느님의 음성을 듣고 십계명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그 거룩한 산에 오르고져하는 우리도 아주 경건한 마음으로 두 손을 모았습니다. 몇몇 사람들에게는 따로 기도의 제목을 주었는데 제 아내에게 주어진 제목은 <세계의 평화를 위한 기도>였습니다.
시내산은 시내광야 한 가운데 자리하고 있습니다. 시내반도는 그야말로 건조하고 매마른 사막입니다. 간간히 종려나무로 이루어져 있는 오아시스가 있기는 하지만, 거이가 거치른 돌덩어리들과 모래밭으로 이루어진 땅입니다. 그 옛날 아브라함과 사라는 이 사막을 거쳐 애굽으로 오갔으며, 요셉 역시 미디안 상고에게 팔려 바로 이 길을 거쳐서 애굽으로 끌려 갔습니다. 마리아와 요셉 역시 헤롯의 칼날을 피하여 아기 예수를 데리고 이 뜨거운 사막길을 거쳐서 애굽으로 피난을 갔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길은 4백년 동안이나 애굽에서 노예살이를 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자유와 해방을 찿아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갔던 바로 그 길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광야에는 유목민으로 살고 있는 베드윈족 이외에는 아무도 발 붙여 사는 사람이 없습니다.
시내산은 모세가 3번이나 올라갔던 <모세의 산>입니다. 모세는 이 산에서 하느님을 뵈었고 그로 부터 십계명을 비롯한 여러가지 율법을 받았습니다. 모세는 시내산의 수많은 산봉우리들 중에서 과연 어느 산정에서 십계명을 받았는지 정확하게 알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퍽 오랜 세월에 걸쳐 수 많은 순례자들은 지금 우리가 오르려는 이 산을 <모세의 산, 아랍어로는 Jobel Musa> 라고 믿어 왔고 또 그리 불렀습니다. 지금 우리가 오르는 이 시내산은 높이가 2285미터라고 합니다. 물론 이 산정이 시내산 중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는 아닙니다. 저 멀리 보이는 <카타리나 산 Mt. Catherine>은 높이가 2650미터라고 하는데 더 높은 산정들도 보입니다. 구약성서에서, 남쪽 유대인들은 주로 이 산을 <시내산>이라고 불렀지만, 북쪽 이스라엘 사람들은 <호렙산>이라고 부르곤 했습니다. 같은 산을 두고도 남북 분단 후엔 그 산을 부르는 이름도 제각기 달랐습니다.
카트리나 수도원 앞에서 우리는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출발했습니다. 한 그룹은 우리 처럼 좀 나이가 든 사람들로써 낙타를 타고 올라갔고, 다른 그룹은 주로 힘찬 젊은이들로 걸어서 산행을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출발한 카트리라 수도원 광장이 이미 해발 1500미터 지점인지라 여기서 부터 약 500미터 가량은 낙타를 타게 되었습니다. 험한 길이고 뒤뚱거리긴 했지만 가끔은 멈추어 쉬면서 캄캄한 밤 하늘을 올려다 봅니다. 인간들이 사는 세상에서 하느님이 계신 하늘을 가장 가깝게 볼 수 있는 곳이 시내산 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어쩜 저렇게도 찬란하고, 빛나고, 아름답게 만들어졌는지 ! 시내산을 오르는 신 새벽에 바라보는 별들은 내가 이제 까지 본 별들의 세계 중에서 제일 찬란하고 아름다운 것이었고 하느님의 모습을 제일 가까이에서 마주하는 자리였습니다. 늘 땅 아래만 내려다 보면서 살아온 사람들은 반드시 일생에 한번 쯤은 고개를 들고 올려다 보아여 할 하늘이 시내산으로 오르는 <별들이 빛나는 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300개의 돌계단을 걸어서 올라온 젊은이들과 낙타를 타고 올라온 우리는 거이 비슷한 시간에 산정 가까이에서 만났습니다. 산정 까지는 여기서 부터도 약 250미터나 됩니다. 이 또한 만만치 않은 길이지만 그래도 우리는 힘을 내어 750여개의 계단을 걸어서 올랐습니다. 경사는 심했고, 날씨는 너무도 추웠습니다. 바람은 얼마나 쎈지 몸을 날려보낼 것만 같았습니다. 그래도 젊은 신학생들이 이곳 저곳에서 손을 잡아주고, 끌어주고, 밀어주었습니다. 드디어 우리는 한 사람의 낙오자도 없이 하나님의 산 호렙의 정상에 올라섰습니다. 눈물이 났습니다. 정상에는 이곳 저곳에 작은 움막 같은 카페들이 있었습니다. 우리 일행은 움막 두어개를 빌렸습니다. 담요도 빌리고 뜨거운 커피나 핫 초코렛을 마시면서 얼어버린 몸을 녹였습니다. 아직 해가 떠오르려면 좀 더 기다려야 했습니다. 우리는 산정의 한 곳에 자리를 잡고 가즈런히 모여 기도를 드리며 마음을 모았습니다. 모세가 만났던 그 하느님을 우리도 만나고 싶었습니다. 하느님이 사랑하셨던 이 세상을 나도 사랑하리라 다짐하는 순간이었습니다. 드디어 동쪽 하늘이 열리고 조금씩 밝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저 멀리 동쪽 아카바만 쪽에서 붉은 해가 솟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그 순간, 시내산 산정에 모였던 수백명의 순례자들은 모두들 한결같이 숙연해 졌습니다.
찬란하고 영광스런 시온의 아침입니다. / 빛나고 높은 보좌에 계신 하느님의 형상이 보이는 듯 했습니다. / 하느님의 신비는 인간의 언어를 넘어서는 거룩한 세계입니다. / 말로는 형언 할수 없는 초월의 세상이 거기 있었습니다. / 가장 거룩한 순간에는 입을 다무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입니다. / 우리는 침묵 속에서 주를 찬양하고, 주께 감사를 드리고, 새롭게 자신을 둘러 보았습니다. / Wonderful ! Great ! Marvelous ! Amazing ! Surprise !
놀랍고 뜨거운 가슴을 안고 7경 부터 우리는 산을 내려오기 시작했습니다. 낙타는 타지 않고 모두들 걸어서 내려왔습니다. 힘들기는 고사하고 발걸음은 아주 가벼웠습니다. 두 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버킷 리스트 bucket list> – 제 일생, 죽기 전에 꼭 해 보고 싶은 것 하나를 해 본 기쁨이었습니다. (계속)
홍길복 목사
(호주연합교회와 해외한인장로교회 은퇴목사)
홍길복 목사는 황해도 황주 출생 (1944)으로 연세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목회자다. 1980년 호주로 건너와 40여년 간 이민목회를 하는 동안 시드니제일교회와 시드니우리교회를 섬겼고, 호주연합교단과 해외한인장로교회의 여러 기관에서 일했다.
2010년 6월 은퇴 후에는 후학들과 대화를 나누며 길벗들과 여행하는 자유를 만끽하는 중이다. 자신이 경험한 이민, 특히 이민한 기독교인들의 삶을 보편적인 이야기로 풀어내는 글쓰기를 바탕으로 ‘동양인 예수’, ‘내 백성을 위로하라’, ‘성경에 나타난 이민자 이야기’, ‘이민자 예수’ 등의 책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