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복 목사의 성지 답사기 중에서 (6)
<시드니 인문학교실 제 2차 인문학여행팀> 여러분! 모두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홍길복입니다. 저는 아주 오래전 부터 어디 여행을 하게 되면 그때 그때 마다 여행일기를 쓰는 것이 하나의 습관 처럼 되어 왔습니다. 정확하게 세어보지는 못했지만 그동안 썻던 여행일기가 아마도 한 200일 분은 될 것 같습니다. 이제는 나이가 더해 가는지라 앞으로도 계속해서 그런 여행일기를 쓸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여기에 올리는 글은 16년전에 썻던 글 중 일부입니다. 부족한 사람이 2007년 1월 15일 부터 약 3주에 걸쳐 서울에 있는 장로회신학대학 <성지 답사팀>과 더불어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스라엘, 이집트 등 5개국을 방문했을 때 썻던 <여행 일기> 중 한 부분입니다. 저는 그 때, 여행 중에 썻던 일기를 당시 시드니에서 발행되던 주간지의 요청에 따라 주 1회 씩 59회에 걸쳐 1년이 넘게 연재했었습니다. 물론 그 일기는 전문성을 지닌 글은 아닙니다. 전문가들이 읽으시면 잘못된 것들도 적지 않게 지적해 내시리라 생각되어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2023년 시드니인문학교실에서 준비하고 있는 <제 2차 인문학여행>의 참가자들과 함께 오래 전에 경험하고 생각했던 보잘 것 없는 이런 작은 여행 이야기 이지만 나누고 싶어서 우리가 방문하게 될 <이집트> 부분만을 추수려서 1주일에 한번 정도씩 몇번에 걸쳐 올려드릴려고 합니다. 이 글이 여행을 떠나기 전, 우리가 서로 더 가깝게 사귈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피라미드 (Pyramid)와 스핑크스 (Sphinx)
우리는 카이로 시내를 가로질러 남서쪽으로 10킬로미터 쯤 떨어진 <기자, Giza>지역으로 이동했습니다. 이곳에는 사진에서도 많이 보아 퍽 익숙한 3개의 커다란 피라미드 (The Great Pyramid of Giza)와 스핑크스가 있습니다.
21세기, 문화와 문명이 거이 최고도에 이르렀다고 자부하는 우리 시대에도 지난 날의 인류역사와 문화와 문명 속에는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이 적지 않습니다. 흔히 문명의 수수꺽기라고 불리우는 불가사의 (不可思議)들이 많이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약간씩 달리 말하지만 고대의 7대 불가사의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중에는 오늘 우리가 방문한 카이로 기자에 있는 <쿠푸, Khufu> 왕의 피라미드가 늘 첫째로 꼽힙니다. 그리고 올림피아의 제우스상, 에페소스의 아르미테스 신전, 만리장성, 콜로세움, 마추피추, 페트로, 타지마할 같은 것들을 꼽곤 하지만 이집트에 대해 관심과 애정이 깊은 이들은 이집트에만도 피라미드와 기원전 3세기에 알렉산드리아 파로스섬에 세운 등대 (Lighthouse of Alexandria, Pharos of Alexandria)인 알렉산드리아 파로스를 비롯하여 테베의 네크로폴리스와 왕가의 계곡을 7대 불가사이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합니다.
피라미드는 지금부터 약 4천 6백년 전에 건축된 고대 이집트 왕들의 무덤입니다. 이는 이집트의 고왕국 시대 부터 약 천년 가까이 유행되어 왔던 왕실의 무덤 유적을 통칭하는 것으로써 지금 우리는 이를 <피라미드, Pyramid>라고 부릅니다. 피라미드란 말은 <네모 반듯한 지반 위에 사면을 삼각형식의 기울어진 축대로 쌓아 올려가다가, 그 꼭지점에서는 3각형 네개가 함께 만나도록 되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원래 피라미드는 왕의 무덤 한나만 덩그러니 지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왕 자신의 무덤인 피라미드 외에도 그를 위한 내장품들을 넣어둔 별실을 위시하여, 신전 (The Valley Temple)과 장례전 (The Mortuary Temple)도 함께 지었고, 또 이 왕실 무덤을 지키고 수호하기 위해 스핑크스 (Sphinx)도 세워놓았습니다. 그래서 피라미드학 (Pyramidology)을 전문적으로 연구히는 학자들은 <피라미드 콤플렉스, Pyramid Complex)라는 개념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이집트에서 발굴된 피라미드는 모두 14지역에서 약 70개 정도에 이르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어 널리 알려진 곳은 기자의 피라미드입니다. 오늘 우리가 찿아온 기자의 피라미드는 이집트의 31왕조 중 제 4왕조 시대인 기원 전 2천 6백년 전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측합니다. 이집트의 파라오 (바로, Pharaoh)들 중에서 쿠푸왕 (Khupu)왕과 그의 아들 카프라 (Kafra)와 손자 멘카우라 (Menkaura)의 무덤 3개가 나란히 서 있습니다. 물론 그 중에서 제일 큰 피라미드는 할아버지 쿠푸의 무덤이고 , 둘째 것이 아들의 무덤이고, 제일 작은 것이 손자의 무덤입니다. 피라미드 하나를 짓는 데는 평균 20년 정도가 걸렸으며, 약 10만명 정도의 인력이 동원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쿠푸왕의 피라미드는 동서남북의 지면이 각각 230미터씩 되는 정방형이고, 높이는 150미터 쯤 됩니다. 외벽의 기울어진 각도는 52도로 측정이 되었습니다. 땅의 기초는 아주 단단한 암반이고, 여기에 사용된 수 많은 돌들은 이 근처 까지 흘러들어왔을 것으로 보이는 나일강의 수로를 통하여 운반해 왔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피라미드를 쌓는데 사용된 돌들의 무게는 평균 2톤에서 부터 2.5톤 정도이지만, 아주 큰 것은 통돌로 15톤이나 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계산해 보면 이 3개 중 제일 큰 쿠푸왕의 피라미드를 쌓는 데 만 해도 이런 통돌들이 약 230만개 정도는 들어간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피라미드 안으로 들어가는 문은 막아놓았습니다. 이는 그 누구도 사자 (死者)의 세계에는 접근해서는 않된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은 피라미드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와 구멍들이 이곳 저곳에 적지 않게 많이 생겼났습니다. 이는 지난 수백년 동안 수많은 피라미드 도굴꾼들이 드나들면서 뚫어놓은 것들입니다. 실재 현존하는 피라미드들은 외형으로 보면 웅장하게 보이지만 내부의 소장품들은 거이가 다 도굴이 되어 남아 있는 것은 별로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거기에다 피라미드에 대한 조사와 연구라는 명목으로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이집트를 침공한 1798년 이후 부터 본격적으로 이곳 피라미드를 파헤치고 고귀한 유물들을 침탈해 갔습니다. 많이 늦었지만 지금은 국립 카이로대학에 <피라미드학과>가 생겨나 주도적으로 연구, 발굴, 관리, 전시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기자의 피라미드 근처에서는 옛날 왕비나 고관 대작들의 무덤과 유품들도 적지 않게 빌굴되고 출토되었습니다. 우리는 근처의 작은 지하 무덤도 찿아가 보았습니다. 이 곳에서는 당시에 사용되었던 것이라고 생각되는 작은 배 한척도 발견되었는데 이 배에는 <태양의 배>라는 이름표가 붙어 있었습니다. 이 배는 길이가 43미터에 폭은 6미터에 이르는 큰 배로써 아마 당시 죽은 왕의 시신을 왕궁에서 이곳으로 운구하는데 사용되었던 배가 아닐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인간에게는 영과 육이 있다고 믿었습니다. 동시에 그들은 현세와 내세가 있어서, 사람은 죽은 후에 그 영이 안식할 자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까지 출토된 수 많은 이집트의 유물들 가운데는 그들의 이런 신앙이 여러가지로 표출되어 있습니다. 피라미드는 바로 이런 영원을 향하여 가는, 영원한 안식의 자리를 찿아낸 장례문화 중 가장 두드러진 것입니다. 살아있는 몸은 잠간이요, 언젠가는 죽게 될 것인데, 그때 죽은 몸에서 벗어난 영은 영원히 사는 것이니, 그 영이 거할 집과 또 그 영에게 필요한 여러가지 부장품들을 피라미드 속에 넣어주어야 한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그 때 그곳이나, 지금 여기나, 인간은 영원을 사모하는 존재입니다. <만일 땅에 있는 우리의 장막집이 무너지면 하느님께서 지으신 집, 곧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요,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이 우리에게 있는 줄을 아나니> (고후 5:1)
인간, 인간의 유한성, 하느님, 하느님의 영원하심을 묵상하면서 피라미드를 떠난 우리는 스핑크스 쪽으로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스핑크스, Sphinx>란 이집트어로 <살아있는 형상>이라는 뜻입니다. 스핑크스는 고대 이집트와 시리아와 그리스 신화에 공히 나오는 신화적존재입니다. 얼굴은 사람인데 몸은 사자이어서 <인두사신, 人頭獅身> 이라고 합니다. 기자의 스핑크스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또 오래된 스핑크스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길이는 73미터요, 높이는 20미터요, 폭은 12미터나 되는 석회암 통돌로 만들어 진 것입니다. 이 스핑크스의 얼굴은 쿠푸왕의 아들 카프라의 모습이며 머리에는 파라오들이 쓰던 두건, 즉 <네메스, Nemes>를 두루고 있습니다. 네메스와 함께 머리 위에는 커다란 코브라 한 마리가 올라가 있습니다. 이 둘은 왕의 위엄과 권위, 그리고 그 능력의 위대함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이집트에서 스핑크스는 신전의 수호자이거나 아니면 피라미드의 문지기였다고 보는 견해가 유력합니다.
<아침에는 세 발로 걷고, 낮에는 두 발로 걷다가, 저녁이 되면 세 발로 걷는 것이 무엇이냐?> 누구든지 피라미드 근처로 접근하는 것을 막으면서 스핑크스가 던졌다고 전해지는 수수꺽기를 되새겨 봅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권세란 무엇인가?>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이 엄청나게 커다란 돌덩어리에는 왕권도 붙어 있고, 신비도 숨겨 있지만, 그러나 <여기>가 아닌 <저기> 그리고 <지금>이 아닌 <영원>을 그리워하는 인간의 꿈과 숙제가 질문되고 있습니다. (계속)
홍길복 목사
(호주연합교회와 해외한인장로교회 은퇴목사)
홍길복 목사는 황해도 황주 출생 (1944)으로 연세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목회자다. 1980년 호주로 건너와 40여년 간 이민목회를 하는 동안 시드니제일교회와 시드니우리교회를 섬겼고, 호주연합교단과 해외한인장로교회의 여러 기관에서 일했다.
2010년 6월 은퇴 후에는 후학들과 대화를 나누며 길벗들과 여행하는 자유를 만끽하는 중이다. 자신이 경험한 이민, 특히 이민한 기독교인들의 삶을 보편적인 이야기로 풀어내는 글쓰기를 바탕으로 ‘동양인 예수’, ‘내 백성을 위로하라’, ‘성경에 나타난 이민자 이야기’, ‘이민자 예수’ 등의 책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