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0년 5월 23일, 고려 31대 국왕 공민왕 (恭愍王, 1330 ~ 1374) 출생
공민왕 (恭愍王, 1330년 5월 23일 /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 음력 9월 22일)은 고려의 제31대 국왕 (재위: 1351년 ~ 1374년)이다.

초명은 기 (祺), 휘는 전 (顓), 몽골식 이름은 바얀 테무르(몽: Bayan Temur, 한: 伯顔帖木兒 ‘백안첩목아’)이며 호는 이재 (怡齋)와 익당 (益堂)이다.
충숙왕과 공원왕후 홍씨의 차남이며 충혜왕의 동복 동생이다.
묘호는 없으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 (仁文義武勇智明烈敬孝大王)이고, 명에서 받은 시호는 공민 (恭愍)이다.
즉위 초반에는 무신 정권의 세력 기반을 혁파하고 원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주국을 선언하였으며 신돈을 등용하여 개혁정책을 펼쳤으나 노국대장공주의 사후 개혁의지를 상실하였다.
신돈 등을 등용하여 권문세족과 부패 관료와 외척을 정리하고 신진사대부를 중용하는 등의 개혁정책을 폈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남색과 술, 향락에 탐닉하던 중 1374년 홍륜, 최만생에 의하여 시해되었다.
영명하고 다재다능하였으며, 특히 그림과 서예에 능하였다.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아홉 살에 불과한 아들 모니노(우왕)가 왕위를 계승하였는데, 모니노의 생모인 반야가 신돈의 노비라는 점 때문에 후에 정통성 논란이 나타난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