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6년 11월 24일,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하륜 (河崙, 1348 ~ 1416) 별세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 / 1347년 음력 12월 22일 고려 경상도 진주 출생 ~ 1416년 11월 24일 / 음력 11월 6일 조선 함경도 정평에서 객사)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대림(大臨) 또는 중림(仲臨), 호는 호정(浩亭)이다.
아버지는 부사 하윤린(河允麟)이며, 권문세족인 이인임의 조카 사위이다. 이인복, 이색의 문인이다. 고려 말 정몽주, 남은, 권근 등과 함께 신진사대부를 형성했고, 처음에는 역성혁명에 반대하다가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참여했다. 정도전과 함께 한양 천도를 적극 주장했고, 1393년 정도전이 쓴 표전문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홍무제가 문책하자 명나라에 가서 사태를 해결하였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과 1400년(정종 2)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하고 1416년에 70세로 치사(致仕)하여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이 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생애 및 활동
1360년(공민왕 9)에 국자감시(國子監試), 1365년에는 문과에 각각 합격하였다. 이인복(李仁復)·이색(李穡)의 제자로, 1367년에 춘추관검열·공봉(供奉)을 거쳐, 감찰규정(監察糾正)이 되었으나 신돈(辛旽)의 문객인 양전부사(量田副使)의 비행을 탄핵하다가 파직되었다.
그 뒤 고공좌랑(考功佐郎)·판도좌랑(版圖佐郎)·교주찰방(交州察訪)·제릉서영(諸陵署令)·지평·전리정랑(典理正郎)·전교부령지제교(典校副令知製敎)·전의부령(典儀副令)·전법총랑 (典法摠郎)·보문각직제학·판도총랑 (版圖摠郎)·교주도안렴사 (交州道按廉使)·전리총랑 (典理摠郎)·전교영(典校令)·대사성 등의 관직을 거치고, 1380년(우왕 6) 모친상을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
3년 상을 마친 뒤 우부대언·우대언·전리판서·밀직제학을 거쳐, 1385년에 명나라사신 주탁 (周卓) 등을 서북면에서 영접하는 일을 맡았다. 1388년 최영 (崔瑩)이 요동 (遼東)을 공격할 때 이를 반대하다가 양주로 유배되었으나(『태종실록』 「하륜 졸기」에 나오는 내용임. 반면, 『고려사절요』 · 『동국통감』 등에서는 하륜이 이인임의 인척이었다는 이유로 최영에 의해 양주에 유배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음), 위화도회군 이후로 복관되었다.
그리고 그 해 가을 영흥군왕환(永興君王環)이 일본으로부터 돌아왔을 때 그가 가짜임을 밝혔다가 오히려 광주(光州)·울주 등지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윤이(尹彛)·이초(李初)의 변이 일어나자 의혹이 풀려 1391년(공양왕 3)에 전라도도순찰사가 되었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경기좌도관찰출척사가 되어 부역제도를 개편, 전국적으로 실시하게 하였다.
또한, 신도(新都)를 계룡산으로 정하는 것을 반대, 중지시켰다. 1394년(태조 3)에 첨서중추원사(簽書中樞院事)가 되었으나 이듬해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
그러나 곧 기복(起復)되어 예문춘추관학사가 되었는데, 때마침 명나라와의 표전문(表箋文) 시비가 일어나자 명나라의 요구대로 정도전(鄭道傳)을 보낼 것을 주장하고 스스로 명나라에 들어가 일의 전말을 상세히 보고, 납득을 시키고 돌아왔다.
그러나 정도전의 미움을 받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좌천되었는데, 그 때 항왜(降倭)를 도망치게 했다 하여 수원부에 안치되었다가 얼마 뒤 충청도도순찰사가 되었다.
그는 이방원(李芳遠)을 적극 지지하여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종이 즉위하자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이 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서 진산군(晉山君)에 피봉되었다.
그리고 그 해 5월 명나라 태조가 죽자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종의 왕위계승을 승인받아 귀국, 참찬문하부사·찬성사·판의흥삼군부사 겸 판상서사사·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을 거쳐 진산백(晉山伯)으로 봉해졌다.
이 해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이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했다가 영삼사사(領三司事)로서 지공거(知貢擧)가 되고 관제를 개혁하였다. 그리고 영사평부사 겸 판호조사(領司評府事兼判戶曹事)로서 저화(楮貨)를 유통시키게 하였다.
1402년(태종 2)에 의정부좌정승 판이조사(議政府左政丞判吏曹事)로서 등극사(登極使)가 되어 명나라 성제(成帝)의 즉위를 축하하고 조선의 고명인장(誥命印章)을 받아가지고 돌아왔다.
그리하여 1405년에는 좌정승 세자사(世子師)가 되고, 다음 해에는 중시독권관(重試讀券官)이 되어 변계량(卞季良) 등 10인을 뽑았다. 그 뒤 영의정부사·좌정승·좌의정을 역임하고 1416년에 70세로 치사(致仕),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이 되었다.
그는 태종의 우익으로 인사 청탁을 많이 받고 통진 고양포(高陽浦)의 간척지 200여 섬 지기를 농장으로 착복, 대간의 탄핵을 받았으나 공신이라 하여 묵인되었다. 치사한 뒤에도 노구를 이끌고 함경도의 능침(陵寢)을 돌아보던 중, 정평군아(定平郡衙)에서 죽었다. 인품이 중후, 침착, 대범하였다.
저서로 문집 『호정집(浩亭集)』 약간권이 있다. 태종의 묘정(廟庭)에 봉안되었다. 후대에 그를 한나라의 장자방(張子房), 송나라의 치규(稚圭)라 일컫기도 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 사후
하륜은 사후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태종은 그를 자신의 장자방이라 했으며, 후대에 하륜은 한나라의 장자방, 송나라의 치규(稚圭)에 흔히 비유되었다. 그러나 자신의 이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변통도 가능하며 때에 따라서는 변절이나 권모술수로 보일 수 있는 수단까지도 불사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륜의 묘는 진양군(현 진주시) 미천면의 오방동(현,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오방리 산 166)에 위치하며, 진주성 내 영남포정사 왼편으로 1970년대 세운 출생지비가 있다. 그의 묘소 주변에는 할아버지 하시원, 할머니 진주정씨, 아버지 하윤린, 어머니 진주강씨의 묘가 함께 소재해 있으며 이들 묘역은 1977년 12월 28일 경상남도기념물 제41로 지정되었다.
함양 경충재, 함양 부조묘 등에 제향되었다. 함양군 병곡면 도천리에 있는 사당 경충재는 후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86호로 지정되었다.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으며, 경상남도 함양군에는 그의 부조묘가 세워졌다. 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도천리 441번지에 있는 하륜의 부조묘는 2004년 7월 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6호로 지정되었다.
○ 가족 관계
- 본가 진주 하씨(晉州 河氏)
조부 : 식목녹사 증 하시원(式目錄事 贈 晉康府院君 河侍源, ? – 1360년)
조모 : 정균(鄭均)의 딸 증 정경부인 진주 정씨(贈 貞敬夫人 晉州 鄭氏)
아버지 : 순흥부사 증 진양부원군 하윤린(順興府使 贈 晉陽府院君 河允潾, ? – 1394년)
외조부 : 검교예빈경 강승유(檢校禮賓卿 姜承裕)
어머니 : 증 진한국대부인 진주 강씨(贈 辰韓國大夫人 晋州 姜氏, ? – 1380년)
부인 : 이인미의 딸 진한국대부인 성주 이씨(辰韓國大夫人 星州 李氏)
장남 : 좌군도총제 하구(左軍都摠制 河久, 1380년 – 1417년)
장녀 : 홍섭(洪涉)과 혼인
차녀 : 이승간(李承幹, 1416년 – 1417년)과 혼인
- 처가 성주 이씨(星州 李氏)
처증조부 : 정당문학 성산군 이조년(政堂文學 星山君 李兆年, 1269년 – 1343년)
처조부 : 성산군 경원공 이포(星山君 敬元公 李褒, ? – 1373년)
처백부 : 안흥부원군 이인복(安興府院君 李仁復, 1308년 – 1374년)
처백부 : 이인임(李仁任)
장인 : 예의판서 이인미(禮儀判書 李仁美)
○ 저서
음양(陰陽)·의술·성경(星經)·지리(地理) 등에도 정통하였고 일찍 《태조실록》 15권을 찬수하였다.
《호정집》(浩亭集)
《삼국사략》(三國史略)
《동국약운》(東國略韻)
- 공저
《동국사략》(東國史略)
《태조실록》(太祖實錄)
- 작품
이색 묘지명
도인송도지곡(都人頌禱之曲)
수명명(受明命) (1402)
성덕가(聖德歌) (1402)
○ 시 한편
제광주청풍루 (題廣州淸風樓) / 광주 청풍루에 제하다
少年曾此一看花 (소년증차일간화) / 젊어 여기서 꽃을 한 번 보았는데
老大今來感慨加 (로대금래감개다) / 늙어서 지금 오니 감개가 무량하구나
歲月不留人換盡 (세월불류인환진) / 세월은 머물지 않아 사람은 다 바뀌었는데
眼前風物尙繁華 (안전풍물상번화) / 눈앞의 풍물들은 오히려 번화하기만 하구나
참고 = 위키백과, 한민족대백과사전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