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7년 8월 2일,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언어학자•외교관 신숙주 (申叔舟, 1417 ~ 1475) 출생
신숙주 (申叔舟, 1417년 8월 2일 /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다.

본관은 고령 (高靈), 자 (字)는 범옹 (泛翁), 호는 희현당 (希賢堂) 또는 보한재 (保閑齋)이다. 시호는 문충 (文忠)이다. 신장 (申檣)의 아들이자 윤회의 손녀사위이기도 하다.
1438년(세종 20년) 생원,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고 1439년(세종 21년) 친시문과 (親試文科)에 급제하여 세종 때 집현전의 학사로서 성삼문, 박팽년, 정인지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와 연구에 기여하였다.
1447년(세종 29년) 문과 중시 (重試)에 4등으로 합격하여 당상관이 되었으며, 이후 계유정난과 세조 반정을 적극 지지하였고, 세조의 최측근으로 활약했다. 문신의 신분이었으나 병력을 이끌고 여진족과 왜구 토벌에 여러 번 출정하였으며 1461년부터 1464년, 1471년부터 1475년까지 의정부영의정을 역임했다.
사육신과 함께 문종의 유언을 받들어 단종을 보필하기로 약속했으나 이후 변절하여 수양대군 (세조로 즉위)의 편에 가담하였다.
결국 계유정난으로 단종의 왕위를 빼앗았다. 이후 단종 복위 운동이 일어나자 단종과 금성대군의 처형을 강력히 주장하여 관철시켰으며, 남이의 옥사 때 남이의 처형에도 적극 참여하여, 사후 사림파 도학자들로부터 비판과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1910년(융희 4년) 이후 그의 한글 창제에 대한 공적 재조명 여론이 나타났으며, 1980년대 이후부터 그에 대한 재평가 노력이 진행되었다.
뛰어난 학식과 글재주로 6대 왕을 섬겼고, 《국조오례의》, 《고려사》, 《고려사절요》, 《국조보감》, 《동국정운》 등의 편찬에도 참여하였으며, 농업과 축산업 기술에 대한 서적인 《농산축목서》를 편저하였다.
생전에 정난공신, 좌익공신, 익대공신, 좌리공신 등 4번 공신에 책록되었다. 사육신과 생육신 김시습, 그 밖에 한명회, 권람 등 다양한 인맥을 형성한 인물이기도 하다. 윤회, 정인지의 문인이다.

○ 생애 및 활동
본관은 고령 (高靈). 자는 범옹 (泛翁), 호는 희현당(希賢堂) 또는 보한재 (保閑齋). 신덕린 (申德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신포시 (申包翅)이고, 아버지는 공조참판 신장(申檣)이며, 어머니는 지성주사 (知成州事) 정유 (鄭有)의 딸이다.
1438년(세종 20) 사마양시에 합격하여 동시에 생원 · 진사가 되었다. 이듬해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전농시직장 (典農寺直長)이 되고, 1441년에는 집현전부수찬을 역임하였다.
1442년 국가에서 일본으로 사신을 보내게 되자 서장관으로 뽑혔다.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참가하여 공적이 많았다. 중국음을 훈민정음인 한글로 표기하기 위하여 왕명으로 성삼문 (成三問)과 함께 유배중이던 명나라 한림학사 황찬 (黃瓚)의 도움을 얻으러 요동을 열세차례나 내왕하였는데, 언어학자인 황찬은 신숙주의 뛰어난 이해력에 감탄하였다고 한다.
1447년 중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응교가 되고, 1451년(문종 1)에는 명나라 사신 예겸( 倪謙) 등이 당도하자 왕명으로 성삼문과 함께 시짓기에 나서 동방거벽 (東方巨擘)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 해 장령 (掌令) · 집의 (執義)를 거쳐, 직제학을 역임하였다.
1452년(문종 2) 수양대군이 사은사 (謝恩使)로 명나라에 갈 때 서장관으로 추천되어 수양대군과의 유대가 이때부터 특별하게 맺어졌다.
1453년 승정원동부승지에 오른 뒤 우부승지 · 좌부승지를 거쳤다. 같은 해 수양대군이 이른바 계유정난을 일으켰을 때 외직에 나가 있었으며, 수충협책정난공신 2등에 책훈되고, 곧 도승지에 올랐다.
1455년 수양대군이 즉위한 뒤에는 동덕좌익공신 (同德佐翼功臣)의 호를 받고 예문관대제학에 초배 (超拜)되어 고령군 (高靈君)에 봉하여졌다.
이어 주문사(奏聞使)로 명나라에 가서 새 왕의 고명 (誥命: 임명장)을 청하여 인준을 받아온 공으로 토전 (土田) · 노비 · 안마 (鞍馬) · 의복을 함께 받았다.

1456년(세조 2)에 병조판서로서 국방에 필요한 외교응대의 일을 위임받아 사실상 예조의 일을 전장하게 되었다. 곧이어 판중추원사 (判中樞院事)가 되어 판병조사(判兵曹事)를 겸하고, 우찬성이 되어서는 대사성까지 맡았다.
1457년 좌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오르고 1459년에는 좌의정에 이르렀다. 이 무렵 동북 방면에 야인(野人)의 잦은 침입으로, 강경론을 폈다.
1460년에 강원 · 함길도의 도체찰사에 임명되어 야인정벌을 위하여 출정하였다. 군사를 몇 개 부대로 나누어 여러 길로 한꺼번에 진격하는 전략을 펼쳐 야인의 소굴을 크게 소탕하고 개선하였다.
1462년에 영의정부사가 되고, 1464년에 지위가 너무 높아진 것을 염려하여 사직한 적이 있으며, 1467년에 다시 예조를 겸판하였다.
이듬해 예종이 즉위함에 유명 (遺命: 유언)으로 승정원에 들어가 원상 (院相: 어린 임금을 보좌하던 원로대신)으로 서무를 참결 (參決: 참여하여 결정함) 하였다.
같은 해 이른바 남이 (南怡) 옥사를 처리하여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 (輸忠保社炳幾定難翊戴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듬해 겨울에 예종이 승하하자, 대왕대비에게 후사 (後嗣)의 택정을 서두를 것을 건의하여 대통 (大統)의 승계에 공이 컸다.
성종이 즉위함에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의 호를 받고, 영의정에 다시 임명되었다.
노병 (老病)을 이유로 여러 차례 사직하였으나 허락을 얻지 못하였고, 1472년(성종 3)에는 『세조실록 (世祖實錄)』 · 『예종실록 (睿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세조 때부터 작업을 해온 『동국통감 (東國通鑑)』의 편찬을 성종의 명에 의하여 신숙주의 집에서 총관하였다.
그리고 세조 때 편찬하도록 명을 받은 『국조오례의 (國朝五禮儀)』의 개찬 · 산정 (刪定)을 위임받아 완성시켰다. 또한 여러 나라의 음운 (音韻)에 밝아, 여러 역서 (譯書)를 편찬하였으며, 또 일본 · 여진의 산천 요해 (要害)를 표시한 지도를 만들기도 하였다.

그리고 『해동제국기 (海東諸國記)』를 지어 일본의 정치세력들의 강약, 병력의 다소, 영역의 원근, 풍속의 이동(異同), 사선(私船) 내왕의 절차, 우리측 관궤(館餽: 객사로 보내는 음식)의 형식 등을 모두 기록하여 일본과의 교빙(交聘)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많은 업적을 남기고 1475년(성종 6)에 일생을 마쳤다. 세조는 일찍이 “당태종에게는 위징, 나에게는 숙주”라고 할 정도로 세조와의 관계가 깊었다. 이러한 관계는 사육신 · 생육신을 추앙하는 도학적(道學的)인 분위기에서는 항상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나, 당대에서의 신숙주의 정치적 · 학문적 영향력은 큰 것이었다.
신숙주를 좋게 평가하는 표현으로는 ‘항상 대체 (大體)를 생각하고 소절 (小節: 작은 절의)에는 구애되지 않았다.’든가, ‘큰일에 처하여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강하 (江河)를 자르듯 하였다.’는 것과 같은 것이 있다.
과거시험의 시관(試官)을 열세 차례나 하여 사람을 얻음이 당대에서 가장 많았고, 예조판서를 십 수년, 병조판서를 여러 해 동안 각각 겸임한 것은 드문 일이었다.
이렇게 특별한 배려는 외교 · 국방면에서 신숙주의 탁월한 능력에 따른 것으로서, 저술 대부분이 이에 관계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사대교린의 외교문서는 거의가 신숙주의 윤색을 거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글씨를 잘 썼는데 특히 송설체에 뛰어났다고 한다.
전하는 필적으로는 송설체의 유려함을 보여 주는 「몽유도원도 (夢遊桃源圖)」의 찬문 (贊文)과 진당풍 (晉唐風)의 고아한 느낌을 주는 해서체의 「화명사예겸시고 (和明使倪謙詩稿)」 등이 전한다.
시호는 문충 (文忠)이다.
저서로는 『보한재집(保閑齋集)』이 전하는데, 1644년(인조 22)에 7세손 신숙(申洬)이 영주군수로 있을 때 교서관본 완질을 얻어 간행한 것이다.

○ 사상
- 개혁관
그는 새로운 인재를 등용하는 것이 개혁이라 생각했다. 성삼문과 신숙주의 정치개혁에 대한 처방은 비슷하면서도 약간 다르다. 성삼문은 ‘제도개혁보다 마음을 바로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반면 신숙주는 ‘제도개혁보다 인재를 바로 등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사람이 바뀌지 않고는 제도의 개혁이 어렵다고 판단했고, 개혁이 어려운 이유로는 기득권의 반발을 지목했다.
- 미신에 대한 배격
그는 무속과 점술 등을 미신이라며 비판하였다.
1443년(세종 25년) 10월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 귀국하는 길에 현해탄 앞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배가 침몰될 위험이 닥치자, 당시 사공들은 점을 쳐서 배가 좌초될 위기에 처한 것은 그 배에 승선한 임신한 여자 때문이라는 원성이 일며 그녀는 바다에 던져 용왕의 진노를 풀어야 된다고 하였다.
이 임산부는 바다에 던져질 위기에 처했으나 신숙주가 나서서 이를 말렸다. 그는 기후의 변화는 자연의 뜻이라며 ‘매사를 어떻게 점술과 예언에만 의존하려 하느냐’며 ‘남을 죽여서 나 살기를 구하는 것은 인간으로서는 차마 못할 일’이라면서 말렸다. 얼마 뒤 구름이 걷히면서 풍랑이 멈추었고, 그의 기지로 임산부는 극적으로 목숨을 구하였다.
- 명분론에 대한 거부
그가 수양대군을 따라 명나라에 사절로 파견되었을 때 명나라는 영락제와 건문제 사이의 왕위 다툼이 끝나고 이른바 ‘인선의 치’가 꽃을 피우고 있었다.
영락제와 건문제의 제권 다툼과 영락제가 정화 등을 중용하여 문치와 무역으로 명나라를 번영시키는 것을 보고 마음을 달리 먹게 되었다.
그는 신흥국가로서 흥륭하는 명나라의 모습을 보며, 조선의 선비사회를 지배하는 명분론과 의리론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첫 스승인 윤회를 통해 정도전과 하륜의 학통을 계승한 것과 스승 정인지를 통해 정몽주의 학통 등 다양한 스승의 학문을 접한 것도 그가 한가지 사상에 얽매이지 않는 요인이 됐다. 이것이 뒤에 성삼문, 박팽년 등과 현실정치에서 길을 달리 걷게 된 사상적 원인 중의 하나가 된다.
그는 현실에 도움이 되지 않는 명분은 폐기처분해야 된다고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그는 ‘항상 근본적인 것만 밝히고 지나치게 세세한 것은 따지지 않았으며 대사를 처리하고 대의를 결단하는 것이 강하 (江河)를 터 놓은 듯 시원스러웠다’고 한다.
- 성삼문과의 비교
신숙주는 현실이 중요한 것이며 남는 것은 인간이 성취해 놓은 업적이라고 생각했고, 성삼문은 이상이 중요한 것이고 남는 것은 대의라고 생각했다.
성삼문의 이러한 생각은 죽음과도 맞바꿀 수 있을 만큼 꿋꿋한 것이었다. 성삼문은 죽어가면서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으며, 신숙주는 단종의 폐위와 죽음이 목숨을 걸 만한 일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죽지 않고 살아남아 자신의 갈 길을 갔다.
신숙주와 달리 성삼문은 정치적인 것보다는 학문적이며 유교적인 성향을 더 짙게 갖추고 있는 인물이었다. 그에게 정치적 경륜은 그리 중요할 것이 없었다. 그의 궁극적 관심은 충군과 절의, 그리고 학문이었다.
- 세조와의 관계
신숙주는 계유정난의 공적 면에서는 한명회보다는 적을지는 모르나, 세조에게 끼친 정치적 영향력과 개인적인 친분에서는 누구보다 앞섰다. 따라서 정사를 논하는 것과 관련하여 신숙주는 단연 세조의 오른팔격이었다. 세조는 그의 호방하면서도 치밀한 성품을 높이 샀다.
○ 가족 관계
삼촌 신평 (申枰)의 딸로 사촌누이가 폐비 윤씨의 모친이자 연산군의 외할머니인 부부인 신씨이다. 넷째 아들 신정의 딸 신씨는 태종의 서자 온녕군의 손자인 금천도정 이변과 결혼하였다. 아들 신주의 아들인 신종호는 세종의 서손자사위이며, 신종호의 아들이자 그의 증손인 신항은 다시 성종의 서녀 혜숙옹주와 결혼하여 왕실과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
부인 윤씨는 1456년 병자년 1월 21일 사망하였다. 송화잡기에는 남편 신숙주가 죽지 않고 돌아온 것을 저주하고 원망하면서 목을 매고 죽었고, 사육신의 옥사는 윤씨의 죽음 5개월 뒤인 6월의 일이었음을 세조실록에서는 적고있다.
할아버지 : 신포시(申包翅)
할머니 : 경주 김씨 – 김충한(金沖漢)의 딸
아버지 : 신장(申檣, 1382년 ~ 1433년 2월 8일)
어머니 : 나주 정씨 – 정유(鄭有)의 딸
형 : 신맹주(申孟舟)
형 : 신중주(申仲舟, 1412 ~ 1447)
남동생 : 신송주(申松舟, 1419 ~ 1464)
남동생 : 신말주(申末舟, 1429 ~ 1503)
여동생 : 조효문(? ~ 1462)의 처
부인 : 무송군부인 무송 윤씨(茂松郡夫人 茂松 尹氏, ? ~ 1456년 1월 23일) – 윤경연(尹景淵)의 딸
장남 : 신주(申澍, 1434년 ~ 1456년 2월 21일)
며느리 : 청주 한씨 – 한명회(韓明澮)의 장녀
손자 : 신종흡(申從洽, 1454 ~ ?)
손자 : 신종옥(申從沃, 1455 ~ ?)
손자 : 신종호(申從濩, 1456 ~ ?) – 의창군(세종의 서자)의 사위
차남 : 신면(申沔, ? ~ 1467년 5월 21일)
며느리 : 정씨 – 정호(丁湖)의 딸
손자 : 신용관(申用灌, 1459 ~ ?)
손자 :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손녀 : 강학손(姜鶴孫)의 처
3남 : 신찬(申澯)
손녀 : 정유강(鄭有綱)의 처
4남 : 신정(申瀞, 1442 ~ 1482)
며느리 : 전주 이씨 – 후령군(태종의 서7남)의 딸
손자 : 신영홍(申永洪, 1469 ~ ?)
손자 : 신영철(申永澈, 1471 ~ ?)
5남 : 신준(申浚, 1444 ~ ?)
자부 : 유수창(柳秀昌)의 딸
손자 : 신복순(申復淳, 1464 ~ ?)
손녀 : 신씨 – 금천도정 이변(태종의 서자 온녕군의 손자)의 처
6남 : 신부(申溥, 1446 ~ ?)
손녀 : 조수강(趙壽崗)의 처
7남 : 신형(申泂, 1449 ~ ?)
며느리 : 연일 정씨 – 정부(鄭溥)의 딸
손자 : 신광윤(申光潤, 1468년 9월 24일 – 1554년 10월 15일)
손자 : 신광한(申光漢)
8남 : 신필(申泌, 1454 ~ ?)
며느리 : 파평 윤씨 – 정신옹주의 아들 윤삼원(尹三元)의 차녀
손자 : 신세연(申世淵, 1473 ~ ?)
손자 : 신세광(申世洸, 1474 ~ ?)
손녀 : 진주 하씨 현감(縣監) 하형(河瀅)의 처
손녀 : 최준(崔俊)의 처
손녀 : 단양 우씨 참봉(參奉) 우세범(禹世範)의 처
장녀 : 신씨(1455 ~ ?) – 신명수(申命壽)의 처
측실 : 배씨(裵氏)
9남(서자) : 신결(申潔)
차녀(서녀) : 숙원 신씨(淑媛 申氏) – 세조의 후궁

○ 저서 및 작품
- 저서
《보한재집》
《사성통고》
- 편저
동국정운
농산축목서
동국정운(공저)
국조보감 (공저)
- 기행문
《북정록》
《해동제국기》
- 서예
《몽유도원도》의 찬문
- 작품
《화명사예겸시고》
일본 지도
만주 지도
북경 지도
봉사조선창화시권 – 보물 제1404호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