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4년 1월 1일, 스위스의 신학자 · 종교개혁자 울리히 츠빙글리 (Ulrich Zwingli, 1484 ~ 1531) 출생
울리히 츠빙글리 (독: Ulrich Zwingli, 1484년 1월 1일 ~ 1531년 10월 11일) 또는 훌드리히 츠빙글리 (Huldrych Zwingli)는 스위스의 종교개혁자이다.
그는 루터와 함께 아울러서 종교 개혁의 양대산맥이다.
츠빙글리가 역설한 신학의 핵심은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된 말씀이며 그 권위는 어떠한 종교회의나 교부들의 주장보다도 더 높다는 것이다.
– 울리히 츠빙글리 (Ulrich Zwingli)
.출생: 1484년 1월 1일, 스위스 Wildhaus
.사망: 1531년 10월 11일, 스위스 Kappel am Albis
.국적: 스위스
.학력: University of Vienna, University of Basel
.손주: 루돌프 그월더, Anna Gwalther, Magdalena Gwalther
.증손: 요지아스 심러, 카스파 심러, 루돌프 심러, 도로테아 심러
.영향을 준 인물: 마르틴 루터,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토마스 위텐바흐
울리히 츠빙글리는 스위스 종교개혁 운동가다.
마르틴 루터와 동시기에 활동했으나 업적을 제대로 쌓기 전에 죽었다. 이 때문에 후대의 영향력은 별로 남아있지 않은 편이다.
게다가 스위스에서 거물 종교 개혁가 장 칼뱅이 대두되니 역사적 입지가 비교적 좁아졌다.
그래도 나름 종교 개혁에 크게 공헌한 인물이며 초기 종교개혁가로 존중되고 있다.
○ 생애 및 활동
- 출생과 성장
루터보다 7주 늦은 1484년 1월 1일 토겐부르크 자치주의 빌드하우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대대로 부락의 촌장을 역임해왔으며, 외할아버지는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였다.
츠빙글리는 베젠의 학장으로 취임한 삼촌에게 신학교육을 받았는데, 새로운 학문 조류인 인문주의를 받아들여 조카에게 전수해 줌으로써 자신의 역할을 충실하게 감당했다.
10세 때에는 바젤에서 라틴어 문법, 음악, 그리고 변증학을, 1498년에는 베른 대학에서 스위스 종교 개혁의 기수로 알려진 하인리히 뵐플린에게 배웠다.
1500년부터 2년 동안은 비엔나로 옮겨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보호 아래 학문활동을 하였고, 1502년에는 바젤로 돌아와서 성 마틴 대학에서 라틴어를 배웠다.
1506년에는 문학석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사목 활동과 종교 개혁
.10년 동안의 사목
1506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로 서품을 받았으며, 글라루스의 성직자가 되어 부임하였다.
10년 동안 사목 활동을 하면서 헬라어를 공부, 희랍과 고대 로마의 철학자, 시인, 웅변가, 저술가에 대해 배웠다.
이 기간에 인문학자이자 성직자 (사제)인 에라스뮈스와 서신을 교환하며 우정을 쌓았으며,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
.용병제도 반대
그는 글라루스의 성직자로서 자연히 용병으로 싸우는 글라루스 연대의 군종 사제 자격으로 두 차례나 이탈리아에도 갔었다.
하지만 전쟁의 비인간성을 경험한 츠빙글리는 용병제도에 반대하여, “스위스의 죄악, 악덕, 불신앙성, 외국 숭배와 이것이 조국의 자녀들을 집어삼키는 것에 대해서”와 “황소의 우화”을 통해서 스위스의 용병제도를 공격하였다.
이것은 에라스뮈스의 영향을 받아 상징적이며, 풍자적이었다.
당시 그의 모습은 신학자라기보다는 철학자, 수사학자, 인문주의자, 도덕주의자라고 말해야 옳을 것이다.
.종교개혁
하지만 그의 신념은 용병으로 먹고 살던 교구민들로부터 배척을 받아서 1516년 4월 순례지로 이름난 아인지델른으로 옮겼다.
그는 이곳에서 설교가로 알려졌으며, 교부들의 책을 읽었다. 주일 미사시간에는 구입하면 연옥의 영혼들이 죄를 용서받는다는 면죄부의 해악성을 고발하는 설교를 하였다.
동시에 그는 로마 교황청을 비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일부 학자들은 1516년에 스위스의 종교개혁은 시작되었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츠빙글리가 비판한 대상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권위를 비판하고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권위를 증거하였다.
츠빙글리의 개혁안중에는 용병제도에 반대하는 등 과격성을 갖고 있어서, 용병 제도로 생계를 유지하던 스위스 주민들과의 분쟁의 불씨를 안고 있었다.
- 츠빙글리의 신학
츠빙글리의 신학은 성경에 기초하는데 성경을 영감된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고 고대의 범교회적 공의회나 교부들과 같은 인간의 문헌들 (Sources) 보다도 성경의 권위를 높게 두고 있다.
그는 또한 정경인 복음서들 안에는 차이점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영감론과 함께 인간적 요소가 있음 인정하였다.
츠빙글리의 주장을 이어받아 그의 후계자 하인리히 불링거는 1560년 경에 작성한 제 2 스위스 신앙고백서에 근거한 개혁교회 신앙고백을 작성하였다.
세례에 관한 츠빙글리의 견해는 유아세례의 집례를 공격했던 재세례파들에 대한 답변이었다.
그는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신 것과 마찬가지로 제자들과 하나님과 맺은 기독교인들의 언약의 표라고 주장하면서 유아세례를 지지하였다. 이것은 칼뱅에서도 동일한 견해이다.
.성경
성경은 종교 개혁자 츠빙글리의 작품에서 중심적인 것이며, 그의 신학의 발전에서 중요했다.
그는 그의 작품속에서 지속적으로 성경을 호소하였다. 이런 그의 강한 증거들은 그의 초기 작품들인 Archeteles (1522), Certainty of the Word of God (1522)에 나타난다.
인간은 거짓말장이이나 오직 하나님만은 진리라고 믿었다.
그에게 있어서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며 오류의 어둠속에서 빛을 주신다.
.세례
츠빙글리의 세례관은 재세례파들과의 충돌에서 주된 근원이었다.
그들은 유아세례를 반대하고 콘라드 글레벨과 펠릭스 만즈의 지도력을 중하게 여겼다. 츠빙글리는 재세례는 불필요하다고 강하게 주장하였다.
세례와 관련된 그의 주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Baptism, Rebaptism, and Infant Baptism (1525), A Reply to Hubmaier (1525), A Refutation (1527), Questions Concerning the Sacrament of Baptism (1530).
.성만찬
성만찬은 개혁자들과 교회 그리고 그들사이에도 강조점의 차이로 인하여 종교개혁에서 논쟁의 핵심이었다.
루터는 성만찬이란 선물이 포함된 교리를 방어하는 문제로 보았지만 그러나 츠빙글리는 성만찬을 하나님의 구원의 선물로 이해하고 인정하는 교리를 비판하는 문제였다.
.국가
츠빙글의 사상에서 교회와 국가의 관계는 그가 한손에 성경 다른 손에는 칼을 가지고 서있는 곳 바세르 교회 (Wasserkirche, 물의 교회라는 의미)에 있는 동상에서 가장 잘 보여진다.
그에게 있어서 교회와 국가는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아래 하나이다.
- 67개 신조
츠빙글리는 금식에 대한 자세와 성경의 명료성에 대한 주장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갈등을 빚었다.
츠빙글리는 갈등의 해결을 위해 공개토론을 시의회에 요청하였다.
시의회는 그의 제안을 받아들여 1523년 1월 29일 취리히에서 토론을 개최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콘스탄스 주교가 파송한 파베르 박사와 여러명의 사제들이 참석하였다.
츠빙글리는 토론장에서 1522년에 작성한 〈67개 신조 (The 67 Articles)를 중심으로 그의 입장을 설명하였다.
이 〈67개 신조〉에는 그의 사상이 함축적으로 요약되어 있다.
그는 신조에서 가톨릭 교회의 부정과 부패의 원인이 성경보다 인간의 전통을 강조하는데 있다고 지적하였다.
“지난 여러 해 동안 순수하고, 맑고 밝은 빛인 하나님의 말씀이 인간의 야심과 지식으로 흐려지고 혼탁해졌으며 희미해 졌습니다….우리는 하나님의 참된 뜻과 참된 예배를 오직 성경, 곧 오직 하나님의 진리에 대하여 12제자들이 쓴 글에서 찾고 배울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어떠한 인간의 법을 통해서는 불가능합니다.”
츠빙글리는 성경만이 최종적인 권위를 갖는다는 전제에 근거하여, 신조의 초반 15개 조항에 복음의 본질, 중보자 그리스도, 교회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고, 후반에서는 교황, 미사, 면죄부 등 가톨릭 교회의 관행을 비판하였다.
츠빙글리는 또한 이 신조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을 “거짓 사도”요(55조), “시몬과 발람의 동료이며, 사탄의 화신”이라고 칭하였다 (56조).
또 사제의 결혼을 금지하는 제도에 대해서도 “하나님이 허락하셨거나 금하지 않은 모든 것이 선하므로, 모든 인간에게 허락된 결혼을 사제에게 금하는 것은 그릇된 것’이라고 서술하여 교황청의 독신주의를 비판했다 (29조).
그는 또 “고해성사가 죄를 용서받는 수단일 수 없고, 단지 도움을 구하는 것’이며 (52조), “면죄부는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탄이 고안해 낸 사악한 제도”라고 하였다 (55조).
- 시의회의 공개토론
1523년 취리히 시의회에서 열린 공개토론은 가톨릭 교회측을 곤경에 빠뜨렸다.
회중 가운데 한사람은 교황의 특사에게 왜 성경적인 근거가 없는데 왜 결혼한 사제들을 감옥에 보내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특사가 독신주의가 성경에 있다고 주장하자, 츠빙글리가 성경의 장과 절을 대라고 응수하였다.
결국 토론회는 츠빙글리의 승리로 끝나게 되었다.
공개토론을 통해서 시민들은 참된 종교와 그릇된 종교를 분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시의회는 종교개혁을 지원하고 가톨릭 세력을 억제하면서 개혁의 틀을 세워나갔다.
시의회는 츠빙글리와 그의 설교를 합법적으로 인정하고 주 (canton)안에 거주하는 사제들에게 츠빙글리의 가르침을 따르되 반드시 성경에 근거한 것만 설교하도록 명하였다.
- 마르부르크 회의
1529년 10월 1일 헤세의 영주 필립이 로마 가톨릭교회의 탄압에 맞서 개신교 연맹을 조직하고 교회 연합을 추진하기 위해 독일과 스위스의 종교개혁가들을 그의 영지에 초대하였다.
독일에서는 루터와 멜랑히톤, 카스팔 쿠르키거, 요하네스 브렌즈, 유스투스 요나스와 안드레아스 오시안더가 참석하였고, 스위스에서는 츠빙글리과 요하네스 외콜라마디우스, 마틴 부쳐, 헤디오 등이 참석하였다.
츠빙글리는 여기에서 루터에게서 신학적 도움을 받았다. 그러나 성찬에 대한 문제에 서로 견해가 달라 합의를 보지 못하였다.
츠빙글리는 그리스도가 이 지구상에 계신 것이 아니라 하늘에 계시므로 그 분이 떡과 함께 있다는 것은 미신이며, 그리스도인은 성찬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영적인 교제를 가질 뿐이므로 단지 상징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 저술
츠빙글리는 가톨릭 교회의 그릇된 신학과 재세례파의 도전에 직면하여 이에 대항하는 여러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그는 1524년 《참 종교와 거짓 종교에 관한 주석》 (“Commentary on True and False Religion”)을 발표하여 가톨릭교회의 오류를 지적했다.
1525년에는 《세례에 대하여》 (of Baptism), 《재세례와 유아세례에 관하여》 (Of Rebaptism and Infant Baptism, 5월), 《주의 만찬에 관하여》, 《신앙 주해》 등의 저술을 남겼다.
‘하나님 말씀의 명확함과 확실함 또는 능력에 관하여’ (1526)에서 그는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말씀을 성령의 조력으로 어떤 사람의 가르침이 없이도 충분히 이해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심지어, 철학과 신학의 도움 없이도 오직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으로부터 직접 교리를 가져올 것을 요청하였다.
1529년의 마스부르크 회의이후에 루터란은 찰스 5세에게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을 선사했고, 츠빙글리는 <믿음에 관하여 (Fidei ratio)>를 저술하였다. (1530)
- 마지막
츠빙글리는 직설적인 개혁주장으로 적이 많았고 그래서 교리적인 면보다는 용병제도 반대, 숙박업 반대 등 스위스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없는 개혁안에 관한 성토가 대부분이었다.
그 때문에 만장일치 또는 다수에 의해서 1518년 12월 27일 츠빙글리는 취리히에 도착하였다.
취리히에 도착한 그의 종교개혁은 진행되었다.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은 스위스 전역으로 퍼져 나갔으나, 모든 곳에서 환영받지는 않았다.
산림 자치주들은 개혁교회 스타일의 개혁을 원하지 않았고 로마 가톨릭교회측과 동맹을 맺었다.
그러자 개신교 자치주에서는 산림 자치주에 생활필수품을 공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산림 자치주는 전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밖에 없었고 1531년 산림 자치주는 8,000여명의 병사로 카펠에 쳐들어 왔다.
츠빙글리가 이끄는 1500여명의 취리히 군대는 10월 11일 제 2차 카펠 전쟁에서 교전하였으며, 츠빙글리를 위시한 개신교 목사 25명, 의회의원 26명이 전사하였다.
가톨릭교회측은 큰 부상을 입고 쓰러진 츠빙글리를 발견하고 고해성사를 하라고 했는데 츠빙글리는 거부했고 시신이 4등분 되는 처참한 죽임을 당했다.
츠빙글리의 시체를 조각내어 불태우고, 그 재를 공중에 뿌리면서 승리를 자축하였다. 츠빙글리는 개혁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47세의 나이로 숨지고 말았다.
츠빙글리는 47세라는 인생의 황금기에 죽음으로 인해서 자신이 벌인 많은 사업을 완수하고 개혁을 확고하게 만드는 큰 과업을 취리히의 하인리히 불링어와 주네브의 칼뱅 등 다음 세대 개혁자들에게 넘겨주었다.
○ 저서
주요저서로 《참 종교와 거짓 종교에 관한 주석》 (“Commentary on True and False Religion”), 《세례에 대하여》 (of Baptism), 《재세례와 유아세례에 관하여》 (Of Rebaptism and Infant Baptism, 5월), 《주의 만찬에 관하여》, 《신앙 주해》, <믿음에 관하여 (Fidei ratio)> 등이 있다.
- works
.Volume 1: 1995, 512 pages
Pestlied (1519/20) “The Plague Song”
Die freie Wahl der Speisen (1522) “Choice and Liberty regarding Food”
Eine göttliche Ermahnung der Schwyzer (1522) “A Solemn Exhortation [to the people of Schwyz]”
Die Klarheit und Gewissheit des Wortes Gottes (1522) “The Clarity and Certainty of the Word of God”
Göttliche und menschliche Gerechtigkeit (1523) “Divine and Human Righteousness”
Wie Jugendliche aus gutem Haus zu erziehen sind (1523) “How to educate adolescents from a good home”
Der Hirt (1524) “The Shepherd”
Eine freundschaftliche und ernste Ermahnung der Eidgenossen (1524) “Zwingli’s Letter to the Federation”
Wer Ursache zum Aufruhr gibt (1524) “Those Who Give Cause for Tumult”
.Volume 2: 1995, 556 pages
Auslegung und Begründung der Thesen oder Artikel (1523) “Interpreta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theses or articles”
.Volume 3: 1995, 519 pages
Empfehlung zur Vorbereitung auf einen möglichen Krieg (1524) “Plan for a Campaign”
Kommentar über die wahre und die falsche Religion (1525) “Commentary on True and False Religion”
.Volume 4: 1995, 512 pages
Antwort auf die Predigt Luthers gegen die Schwärmer (1527) “A Refutation of Luther’s sermon against vain enthusiasm”
Die beiden Berner Predigten (1528) “The Berne sermons”
Rechenschaft über den Glauben (1530) “An Exposition of the Faith”
Die Vorsehung (1530) “Providence”
Erklärung des christlichen Glaubens (1531) “Explanation of the Christian faith”
.The complete 21-volume edition is being undertaken by the Zwingliverein in collaboration with the Institut für schweizerische Reformationsgeschichte, and is projected to be organised as follows:
vols. I–VI Werke: Zwingli’s theological and political writings, essays, sermons etc., in chronological order. This section was completed in 1991.
vols. VII–XI Briefe: Letters
vol. XII Randglossen: Zwingli’s glosses in the margin of books
vols XIII ff. Exegetische Schriften: Zwingli’s exegetical notes on the Bible.
.Vols. XIII and XIV have been published, vols. XV and XVI are under preparation. Vols. XVII to XXI are planned to cover the New Testament.
Older German / Latin editions available online include:
Huldreich Zwinglis sämtliche Werke, vol. 1, Corpus Reformatorum vol. 88, ed. Emil Egli. Berlin: Schwetschke, 1905.
Analecta Reformatoria: Dokumente und Abhandlungen zur Geschichte Zwinglis und seiner Zeit, vol. 1, ed. Emil Egli. Zürich: Züricher and Furrer, 1899.
Huldreich Zwingli’s Werke, ed. Melchior Schuler and Johannes Schulthess, 1824ff.: vol. I; vol. II;vol. III; vol. IV; vol. V; vol. VI, 1; vol. VI, 2; vol. VII; vol. VIII.
Der evangelische Glaube nach den Hauptschriften der Reformatoren, ed. Paul Wernle. Tübingen: Mohr, 1918.
Von Freiheit der Speisen, eine Reformationsschrift, 1522, ed. Otto Walther. Halle: Niemeyer, 1900.
.See also the following English translations of selected works by Zwingli:
The Christian Education of Youth. Collegeville: Thompson Bros., 1899.
Selected Works of Huldreich Zwingli (1484–1531).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01.
The Latin Works and the Correspondence of Huldreich Zwingli, Together with Selections from his German Works.
Vol. 1, 1510–1522, New York: G.P. Putnam and Sons, 1912.
Vol. 2, Philadelphia: Heidelberg Press, 1912.
Vol. 3, Philadelphia: Heidelberg Press, 1912.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