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7년 5월 15일, 이탈리아의 작곡가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Claudio Monteverdi, 1567 ~ 1643) 출생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Claudio Monteverdi, 1567년 5월 15일 ~ 1643년 11월 29일)는 이탈리아의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가수이다.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Claudio Monteverdi)
.출생: 1567년 5월 9일, 이탈리아 크레모나
.사망: 1643년 11월 29일, 이탈리아 베니스
.국적: 이탈리아
.부모: 마델레나 지그나니, 발다사레 몬테베르디
.배우자: 클라우디아 카타네오 (1599 ~ 1607년)
.자녀: Massimilino Monteverdi, 레오노라 몬테베르디, 프란체스코 몬테베르디
.대표곡: 오르페오, 포페아의 대관식, 율리우스의 귀환
몬테베르디의 작품은 르네상스와 바로크 음악의 과도기에 놓여있다.
그의 작품은 그 두시기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스타일의 변화에 변화를 가져온 가장 중요한 혁명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몬테베르디는 가장 최초로 드라마적으로 실용가능한 오페라인 《오르페오》를 작곡했으며, 그 작품은 그에게 한평생 명예를 드높이게 되었다.

○ 생애 및 활동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Claudio Monteverdi)는 1567년 5월 15일, 이탈리아 북쪽 지방인 크레모나의 의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몬테베르디란 이름은 이탈리어로 ‘초록빛 산’을 뜻한다. 유년시절 크레모나 성당의 maestro di cappella인 마르크 안토니오 인게그네리에게서 배우게 된다.
그곳 성당 성가대에서 기록이 없는 것을 봐선, 음악 레슨은 아마도 개인 교습이라 생각된다.
16세에 <교회용 합창곡집>을 발표하였다.
1590년부터 만토바 공(公) 빈첸초 1세 아래서 궁정 음악가로서 약 20년 동안을 지냈다. 가극 <오르페오>와 <아리안나>를 작곡하여 명성을 떨쳤다.
1613년 당시 이탈리아 음악가 최고의 영예인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성당의 악장이 되어 교회 음악의 개량 등에 힘을 쏟았다.
1637년 베네치아에 세계 최초의 공중 가극장 산 카시아노 (San Cassiano)이 개관되자, 가극·발레 음악을 발표하여 가극의 창시자로 불리게 되었다.
그간 오페라는 주로 귀족과 부자들을 위한 여흥거리였지만 이 산 카시아노 (San Cassiano) 오페라극장의 건립으로 일반 시민들도 당대의 고급문화인 오페라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몬테베르디 역시 이 극장에서 상연을 위한 작품을 여럿 남겼는데, 1639년 베네치아 축제 기간에 오페라 오딧세이의 귀향 (Il ritorno d’Ulisse in patria)이 상연되었고 그가 죽기 1년 전인 1642년에는 오르페오 못지 않게 음악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오페라 포페아의 대관식 (L’incoronazione di Poppea)이 상연되었다.
1643년 11월, 몬테베르디는 7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유해는 베네치아에서 가장 큰 성당인 프라리 (Frari) 성당에 안치되었다.

○ 평가
르네상스 후기와 바로크 초기에 활약했던 음악가로서 당대뿐만 아니라 유럽 음악사 전체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이다.
널리 쓰이는 표현은 아니지만 ‘오페라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당대의 가장 진취적인 작곡가 중 한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바로크 음악, 특히 오페라의 개척자로 유명하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중세나 르네상스 양식을 무시하거나 버리지 않고 그 장점을 절묘하게 취했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는 다성음악으로 대표되는 르네상스 양식과 통주저음으로 대표되는 바로크 양식이 공존하고 있으며 작곡된 시기별로 양식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마디로 전통과 혁신이 훌륭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온고이지신 (溫故而知新)이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음악가로 볼 수 있다.
현존하는 3개의 오페라를 비롯하여 그가 남긴 많은 작품들은 400여년이 지난 현재에도 연주자들의 중요한 레파토리로 자리잡고 있다.

○ 작품
몬테베르디는 적어도 18개의 오페라를 작곡하였으며, 그 중 오직 오르페오, 포페아의 대관식, 율리우스의 귀환과 그의 두 번째 오페라인 l’Arianna의 유명한 아리아인 “Lamento”만이 현존한다.
《아리안나》(L’Arianna, 레치타티보 〈아리안나의 탄식〉만 현존)
《오르페오》(L’Orfeo)
《율리시스의 귀환》(Il ritorno d’Ulisse in patria)
《포페아의 대관식》(L’incoronazione di Poppea)
기타 세속적이거나 성가곡들
Il Combattimento di Tancredi e Clorinda
Vespro della Beata Vergine
Selva Morale e Spirituale (1640)
Scherzi Musicali
Madrigali Guirreri et Amorosi
마드리갈을 묶은 8개의 책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