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1년 4월 1일, 이탈리아의 화가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Cristofano Allori, 1577 ~ 1621) 별세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Cristofano Allori, 1577년 10월 17일 ~ 1621년 4월 1일)는 후기 피렌체 매너리즘을 이끈 이탈리아의 화가이다.

–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Cristofano Allori)
.출생: 1577년 10월 17일
.사망: 1621년 4월 1일
.직업: 화가
.부모: 알레산드로 알로리
.스승: Alessandro Allori
.사조: 바로크, 매너리즘
.주요 작품: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담아 들고 있는 유디트 (Judith with the Head of Holofernes)
1577년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화가였던 아버지 알레산드로 알로리에게 화가 수업을 받지만, 차갑고 해부학적인 화풍에 염증을 느껴 그레고리오 파가니의 작업실에 문하생으로 들어가 화가 수업을 받았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들고 있는 유디트”가 있다.
○ 생애 및 활동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Cristofano Allori)는 16세기 후반 이탈리아 매너리즘 화가로 피렌체에서 주로 활동했다. 그는 알로리 데토 일 브론지노(Allori detto il Bronzino)로 불리기도 했다. 알로리는 1577년 10월 17일 후기 르네상스 화가였던 알레산드로 알로리 (Alessandro Allori)와 마리아 세발데시 (Maira Cevaldesi)dml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미술 교육 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크게 없으나, 아버지인 알레산드로의 르네상스 화풍을 배우는 대신 그레고리오 파가니 (Gregorio Pagani)의 문하생으로 들어갔다. 파가니 밑에서 공부를 하던 알로리는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Michelangelo Buonarotti)와 코레지오 (Corregio)의 영향도 많이 받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알로리는 자신의 경험을 반영한 작품들을 제작하는데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이 당시 매너리즘 작가들에게서 종종 찾아볼 수 있는 경향이었다. 이런 경향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 예술가의 초상화가 들어간 작품들이었다. 알로리 역시 이런 작품을 제작했는데 그 작품이 바로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들고 있는 유디트’ (Judith with the Head of Holophernese, 1610~1612년경)이다.
이 그림의 주제는 구약성경 외전인 유딧서에 등장하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피렌체에서 굉장히 인기가 많았다. 알로리는 이 작품을 그리고 나서 금방 유명해졌으며 그의 작품을 모사한 작품들도 많이 생겨났다. 알로리의 전기를 쓴 작가인 발디누치 (Baldinucci)에 따르면 이 작품에는 알로리의 자전적인 요소가 많이 반영되어 있다.
알로리는 이 작품에 자신의 연인이었던 마리아 데 지오반니 마자피리 (Maria de Giovanni Mazzafirri)와의 이야기를 녹여냈는데 그 둘의 끝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알로리는 홀로페르네스의 얼굴에 자신의 자화상을 그려넣었으며, 유디트는 마자피라의 얼굴로 그렸다. 그리고 유디트 뒤에 있는 하인은 그녀의 어머니와 닮아 있다.
알로리는 이 작품에서 풍부한 색상을 사용하고 질감과 형태를 정교하게 표현했는데 특히 유디트의 부드러운 피부와 화려한 의상이 눈에 띈다. 유디트는 전혀 동요가 없는 홀로페르네스의 잘린 머리를 들고 있는데 홀로페르네스의 창백한 피부와 유디트의 맑고 부드러운 얼굴 그리고 밝은 색채의 의상이 대비를 이룬다. 또 유디트의 화려한 의상은 이 당시 피렌체에서 섬유 산업이 발달했기 때문에 이를 상징하는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이 작품은 1621년 알로리가 죽고 난 이후 메디치 (Medici) 가문의 컬렉션이 되어 1666년 피티 궁 (Pitti Palace)에 전시되었다. 섬세한 구성과 관람자의 눈 앞에서 사건이 벌어진 것만 같은 생생한 장면 묘사는 바로크 시기의 대표 작가인 카라밧지오 (Caravaggio)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 평가
크리스토파노 알로리는 이탈리아 매너리즘 시기 작가다. 그의 작품에서는 르네상스 미술에서 바로크 미술로 이행하던 시기의 과도기적인 미술 양식이 잘 드러난다. 매너리즘 시기 작품에서는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와 작가들이 각자 추구하던 이상적인 아름다움, 혹은 자신의 전기적 요소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알로리의 걸작으로 여겨지는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들고 있는 유디트가 이런 양식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겠다.
알로리의 자전적인 요소와 화려하면서도 기이한 분위기, 극적인 요소 그리고 눈 앞에서 사건이 벌어지는 것 같은 생생함이 반영된 작품은 17세기 바로크의 자연주의 창시자인 카라밧지오의 화풍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런 점에서 크리스토파노 알로리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양식의 교량 역할을 했던 매너리즘 시기 대표작가라고 평가할 수 있다.
○ 주요 작품
Francesco and Caterina Medici, c. 1598
Self-portrait, 1606
Annunciation, Pistoia Cathedral
Pieta, around 1600
Virgin and saints
Saint Catherine of Siena. Musée départemental de l’Oise.
Judith with the Head of Holofernes (Royal Collection version, 1613)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