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8년 2월 4일, 프랑스의 소설가 피에르 드 마리보 (Pierre Carlet de Chamblain de Marivaux, 1688 ~ 1763) 출생
피에르 카를레 드 샹블랭 드 마리보 (프: Pierre Carlet de Chamblain de Marivaux, 1688년 2월 4일 ~ 1763년 2월 12일)는 프랑스의 극작가이자 소설가이다. 긴 이름을 줄여서 흔히 ‘피에르 드 마리보’ 혹은 ‘마리보’라고 부른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585.jpg)
– 피에르 드 마리보 (Marivaux)
.출생: 1688년 2월 4일, 프랑스 파리
.사망: 1763년 2월 12일, Montceau-les-Mines – Pouilloux Airport, 파리
.국적: 프랑스
.언어: 프랑스어
.직업: 극작가, 작가, 저널리스트, 소설가, 저자
.주요 작품: <사랑과 우연의 장난>, <사랑의 기습>, <마리안의 생애> 등 30여 편
아버지는 조폐국장을 지냈으며, 어린 시절은 리옹에서 자랐고 커서는 리모주에서 보내면서 그 동안 법률을 배워 1712년에 파리로 나왔다. 퐁트넬, 라모트 등과 사귀어 그 소개로 랑베르 후작부인이나 상탕부인의 살롱에 출입했다.
문학에 뜻을 두어 처음에는 두세 가지 소설에 손을 댔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1720년에 처음으로 비극 <안니바르>를 프랑스 극장에서 상연, 극작가로서의 첫출발을 했다. 이 비극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으나 그 해 <사랑과 진실> <사랑으로 연마된 아를르캥>의 두 희곡을 이탈리아 극장에서 상연, 특히 후자는 성공을 거두어 이 극단과의 오랜 교섭이 시작된다.
그 해 로의 경제정책 파탄으로 재산을 잃은 그는 생활을 위해 <르 스펙타퇴르 프랑세>(1722-23)를 비롯한 정기 간행물을 혼자서 편집, 발행했다. 여기에는 사회비평가로서의 수완보다 오히려 자기를 표현하는 일이 적었던 그의 모랄리스트로서의 인품을 엿볼 수 있겠다.
그는 평생에 40편 이상의 희극을 썼으며 그 주요한 것은 1722년의 <사랑의 기습>, 23년에 <이중의 외도>, 27년의 <제2의 사랑의 기습>, 30년에 <사랑과 우연의 장난>, 37년에 <허위의 고백>, 40년에 <시련> 등이고, 생전에 상연된 29편의 희극 가운데에서 프랑스 극단에 위임된 것은 10편이었다. 그 나머지는 모두 당시의 ‘현대인의 자유로운 극단’이었던 이탈리아 극단을 위해 쓰여졌으며 코메디아 델 아르테의 메커니즘 속에 경쾌하고 미묘한 정신을 확립시켰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586-1.jpg)
○ 생애 및 활동
보마르셰(Beaumarchais)와 함께 18세기 희극 작가를 대표하는 마리보(Marivaux)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는 그가 남긴 작품에 비해 훨씬 적다. 1688년 2월 4일 파리에서 태어난 마리보는 11세가 되는 해에 화폐 주조국의 책임자로 발령 난 부친을 따라 오베르뉴 지방의 리옹을 거쳐 리모주에 정착해 소년기를 보낸다. 오라토리오 수도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에서 라틴어를 배우고 고대 작가들을 비롯해 르네상스 시대와 17세기 프랑스 작가들의 작품을 접한다. 청년기에 접어든 마리보는 1710년에 파리에 복귀해 법학 공부를 시작하지만 이내 자신의 분야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문학에 입문할 것을 결심한다.
24세가 되는 1712년에 처녀작이라고 할 수 있는 단막극 <신중하고 공정한 아버지>를 리모주에서 공연하지만, 정작 그가 문단에 데뷔한 것은 극작이 아닌 소설 장르를 통해서다. 1713년에 발표한 ≪호감이 주는 놀라운 효과≫는 사교계의 취향을 반영하는 이른바 ‘프레시오지테(préciosité)’ 경향의 장편 연애소설이다. 이후 마리보는 ≪진창에 빠진 마차≫(1714), ≪변장한 일리아드≫(1717) 등의 소설을 발표하며 사교계의 살롱에 출입하기 시작한다. 파리에서 문필가로서의 명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마리보는 ≪메르퀴르 드 프랑스≫ 같은 신문에 자신의 기사를 올리면서 기자로서 활동하기도 한다.
마리보는 1716년 피에르 카를레 드 샹블랭(Pierre Carlet de Chamblain)이라는 본명을 버리고, 집 근처에 있는 길의 이름에서 힌트를 얻어 ‘마리보’라는 필명을 쓰기 시작한다. 이듬해 마리보는 파리 원교(遠郊)에 있는 고도(古都) 상스의 부유한 부르주아지 출신으로 막대한 지참금을 가져온 콜롱브 불로뉴(Colombe Boulogne)와 결혼하지만, 당시 프랑스 경제를 뒤흔든 스코틀랜드 출신의 투자가 존 로(John Law)가 야기한 파산 사태의 희생자가 되어 대부분의 재산을 날리고 만다. 경제적으로 파산한 마리보에게 닥친 또 하나의 불행은 그의 부인이 결혼 7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이다. 네 살에 불과한 딸을 혼자서 양육하게 된 마리보는 이제 작가적 명성이 아니라 생계를 꾸려 가기 위해 글을 써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마리보의 극작 활동은 1720년에 본격화되어 <한니발의 죽음>, <사랑과 진실>, <사랑으로 세련되어진 아를르캥> 등 무려 세 편의 작품이 같은 해에 발표된다. 루이 14세 치세 말기 맹트농 부인을 조롱했다는 이유로 프랑스에서 추방되었던 이탈리아 극단의 배우들은 오를레앙 공의 섭정 시작과 더불어 1716년, 파리 무대로 복귀해 예전에 거두었던 성공을 재현하고 있었다. 마리보가 1720년대에 완성한 15편의 극작 가운데 무려 11편을 이탈리아 극단에서 공연한 것으로 보아 코메디아 델라르테에 대한 그의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
마리보는 극작가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중에도 ≪프랑스 관객≫이라는 신문을 창간하는가 하면, ≪마리안의 삶≫(1731∼1741), ≪출세한 농부≫(1735) 같은 작품을 발표해 소설의 형식과 미학을 혁신했다. 마리보는 1742년,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문필가로 평가되는 볼테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한림원 회원으로 선출되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 한림원 회원이 된 이후 마리보의 작품 활동은 현저하게 감소해 1763년 파리에서 사망할 당시 그는 동시대 문단에서 거의 잊힌 존재가 되었다.
1980년대 이후 프랑스 연극계와 평론계의 인사들은 마리보의 연극을 새롭게 조명하기 시작했다. 18세기의 몰리에르로 추앙받던 보마르셰를 제치고 마리보는 이제 몰리에르와 비교되는 작가로 평가가 역전되었다. 두 작가 모두 이탈리아 희극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연애 감정의 세밀한 묘사에서 마리보가 몰리에르를 능가하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596.jpg)
○ 작품 세계
마리보는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항상 하나의 테마, 즉 고백 이전의 상호간에 모색하는 사랑의 마음을 꾸준히 묘사했다.
이 은밀한 감정은 자존심·수치심에서 나온 온갖 장애 (오해나 질투나 속이 뻔한 거짓말) 등에 부딪히면서도 마지막의 ‘사랑의 고백’이라는 환희의 순간을 향해 인도되어 간다.
마리보 연극의 희극성은 바로 이 점에 있다고 하겠으며 관객으로서는 이미 명확해진 이 감정의 여로를 주인공만이 알아차리지 못한 채 무익한 우여곡절을 겪는 모습은 관객의 미소를 자아내게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영혼의 미소라는 희극미가 당시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지녔던 몰리에르 및 그 후계들의 그것과 본질적으로 달랐음은 명확하다.
여기서는 성격의 전형이나 풍속묘사는 그 흔적을 감추고 소극적 (笑劇的)인 수법도 단역 가운데에서 겨우 약간을 찾아 볼 수 있을 뿐이다.
고전희극에서는 줄거리의 일부에 불과했던 연애를 확대시켜 유일한 테마로 하고, 이를 독자적인 작극법과 문체로 처리하여 마리보는 프랑스 희극사에 연애심리극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라신에서 발단된 이 흐름은 19세기의 뮈세, 포르토리슈에게로 계승된다.
미묘한 여성심리를 다루는 극단적으로서의 세련된 수법은 동시대인으로부터 마리보다즈 (마리보 취미)라고 불려, 때로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오늘날에 와서 그의 작품은 심리주의적 고전으로서 널리 애호되고 있다.
소설가로서의 마리보도 오늘날 재평가되고 있어 <마리안의 일생> (1731-41), <벼락부자가 된 농부> (1734-35)의 두 장편은 모두 서민을 주인공으로 사실적인 풍속묘사나 심리묘사에 근대소설에의 접근을 느낄 수 있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584.jpg)
○ 작품
그는 평생에 40편 이상의 희극을 썼으며 그 주요한 것은 1722년의 <사랑의 기습>, 23년에 <이중의 외도>, 27년의 <제2의 사랑의 기습>, 30년에 <사랑과 우연의 장난>, 37년에 <허위의 고백>, 40년에 <시련> 등이고, 생전에 상연된 29편의 희극 가운데에서 프랑스 극단에 위임된 것은 10편이었다.
그 나머지는 모두 당시의 ‘현대인의 자유로운 극단’이었던 이탈리아 극단을 위해 쓰여졌으며 코메디아 델 아르테의 메커니즘 속에 경쾌하고 미묘한 정신을 확립시켰다.
마리보는 극작가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중에도 ≪프랑스 관객≫이라는 신문을 창간하는가 하면, ≪마리안의 삶≫(1731∼1741), ≪출세한 농부≫(1735) 같은 작품을 발표해 소설의 형식과 미학을 혁신했다.
주요 작품에 <사랑과 우연의 장난>, <사랑의 기습>, <마리안의 생애> 등 30여 편이 있다.
*Works
- Plays
1712: Le Père prudent et équitable
1720: L’Amour et la Vérité
1720: Arlequin poli par l’amour (Harlequin’s Lesson of Love)
1720: Annibal, his only tragedy
1722: La Surprise de l’amour (The Agreeable Surprise)
1723: La Double Inconstance (Infidelities)
1724: Le Prince travesti
1724: La Fausse Suivante ou Le Fourbe puni (The False Servant)
1724: Le Dénouement imprévu
1725: L’Île des esclaves (Slave Island)
1725: L’Héritier de village
1726: Mahomet second (unfinished prose tragedy)
1727: L’Île de la raison ou Les petits hommes
1727: La Seconde Surprise de l’amour
1728: Le Triomphe de Plutus (Money Makes the World Go Round)
1729: La Nouvelle Colonie lost and then rewritten in 1750 with the title of La Colonie
1730: Le Jeu de l’Amour et du Hasard (The Game of Love and Chance)
1731: La Réunion des Amours
1732: Le Triomphe de l’amour (The Triumph of Love)
1732: Les Serments indiscrets (Careless Vows)
1732: L’École des mères
1733: L’Heureux Stratagème (Successful Strategies)
1734: La Méprise
1734: Le Petit-Maître corrigé
1734: Le Chemin de la fortune
1735: La Mère confidente
1736: Le Legs (The Legacy)
1737: Les Fausses Confidences (The False Confidences)
1738: La Joie imprévue
1739: Les Sincères (The Test)
1740: L’Épreuve
1741: La Commère
1744: La Dispute (A Matter of Dispute)
1746: Le Préjugé vaincu
1750: La Colonie
1750: La Femme fidèle
1757: Félicie
1757: Les Acteurs de bonne foi (The Constant Players)
1761: La Provinciale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595.jpg)
- Journals and essays
1717–1718: Lettres sur les habitants de Paris
Lettres contenant une aventure
Pensées sur differents sujets
1721–1724: Le Spectateur français
1726: L’Indigent philosophe
1734: Le Cabinet du philosophe
- Novels
1713–1714: Les Effets surprenants de la sympathie
1714: La Voiture embourbée — an “improvised” novel (roman impromptu)
1714: Le Bilboquet
1714: Le Télémaque travesti
1716–1717: L’Homère travesti ou L’Iliade en vers burlesques
1737: Pharsamon ou Les Folies romanesques (Pharsamond, or the New Knight-Errand)
- Unfinished novels
begun in 1727: La Vie de Marianne (The Life of Marianne)
begun in 1735: Le Paysan parvenu (The Upstart Peasant)
*대중매체
- Film and Television
I nostri figli [it], directed by Ugo Falena (Italy, 1914, short film, based on the play The Game of Love and Chance)
Monsieur Hector, directed by Maurice Cammage (France, 1940, based on the play The Game of Love and Chance)
El juego del amor y del azar [es], directed by Leopoldo Torres Ríos (Argentina, 1944, based on the play The Game of Love and Chance)
Le Jeu de l’amour et du hasard [fr], directed by Marcel Bluwal (France, 1967, TV film, based on the play The Game of Love and Chance)
La Double Inconstance [fr], directed by Marcel Bluwal (France, 1968, TV film, based on the play Double Inconstancy)
Caribia – Ein Filmrausch in Stereophonie [de], directed by Arthur Maria Rabenalt (West Germany, 1978, based on the play La Dispute)
Les Fausses Confidences [fr], directed by Daniel Moosmann [fr] (France, 1984, based on the play Les Fausses Confidences)
La Fausse Suivante, directed by Patrice Chéreau (France, 1985, TV film, based on the play La Fausse Suivante)
La Vie de Marianne [fr], directed by Benoît Jacquot (France, 1995, TV film, based on the novel La Vie de Marianne)
False Servant, directed by Benoît Jacquot (France, 2000, based on the play La Fausse Suivante)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270px-Pierre_Carlet_de_Chamblain_de_Marivaux_-_Versailles_MV_2985.jpg)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585.jpg)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