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6년 3월 9일, 바로크시대 독일의 작곡가 요한 파헬벨 (Johann Pachelbel, 1653 ~ 1706) 장례
요한 파헬벨 (독: Johann Pachelbel, 1653년 9월 1일 세례 ~ 1706년 3월 9일 매장)은 바로크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며, 남독일오르간악파의 유행을 이끈 오르간 교사였다. 세속음악과 종교음악에 걸쳐 방대한 작품들을 작곡했으며, 코랄 프렐뤼드와 푸가의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중기 바로크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로 자리매김하였다.
“완벽하고 흔치 않은 거장.” ― 다니엘 에벌린 (Daniel Eberlin), 당시 아이제나흐 궁정의 카펠마이스터

– 요한 파헬벨 (Johann Pachelbel)
.본명: 요한 크리스토프 파헬벨 (Johann Christoph Pachelbel)
.출생: 1653년 8월 말,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자유제국도시
.세례: 1653년 9월 1일,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사망: 1706년 3월 (52세),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장례: 1706년 3월 9일,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국적: 독일
.직업: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활동: 1653 ~ 1706년
.사조: 바로크 음악
.자녀: 6남 2녀
.종교: 기독교(개신교, 루터회)
바로크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연도상으로 보면 디트리히 북스테후데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중간 세대이다.
파헬벨의 곡은 그의 일생동안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그는 많은 제자를 두었고, 그의 작품들은 독일 남부와 중부 작곡가들에게 본보기가 되었다. 오늘날 파헬벨은 《라 장조의 카논》로써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있지만, 그 외에도 오르간을 위한 《바 장조의 샤콘느》, 《마 단조의 토카타》, 그리고 건반을 위한 변주곡집인 《아폴로의 육현금》 (Hexachordum Apollinis) 등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그는 선율과 화성적 명료성을 강조하여 복잡하지 않은 대위법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북스테후드와 비교할 때 그 역시 실내악과 성악에서 다양한 앙상블과 악기의 조합을 실험하였고 많은 곡에 매우 풍부한 기악 효과를 부여하였지만, 기교적 고난도나 화성적 모험을 추구하지는 않았다.

○ 생애 및 활동
1653년, 뉘른베르크의 중산층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한스 파헬벨은 와인상이었다. 어릴때부터 음악에 관심이 많았던 파헬벨은, 성 제발두스 교회에서 성가대의 수석 성가대원인 음악가이자 음악교사인 하인리히 슈베머에게서 기초적인 음악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같은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를 담당한 뉘른베르크 악파의 중요한 음악가인 게오르그 카스파 베커에게서도 수학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 기록은 오늘날에 와서는 신빙성을 의심받고 있다. 다만 슈베머와 베커는 모두 뉘른베르크 악파의 창시자로 꼽히는 요한 에라스무스 킨더만의 제자들이기 때문에 가능성은 어느정도 있지 않을까 싶다.
파헬벨의 생애에 대한 중요한 기록은 1740년 함부르크에서 요한 마테존이 쓴 전기 모음집 《개선문의 기초 (Grundlage einer Ehrenpforte)》로, 이 책에 의하면 젊은 파헬벨은 학문과 음악에 대한 열정이 넘쳤고 매우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성 로렌츠 교회의 부속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마친 파헬벨은 1669년, 알트도르프 대학에 입학했다. 하지만 부친의 재정난 때문에 1년만에 대학을 그만두어야 했다.
하지만 학업에 대한 열정을 멈출수 없던 파헬벨은 레겐스부르크의 김나지움 포티쿰에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워낙 공부 잘하는 모범생이라 교수들이 감동을 먹고 학교밖에서 음악을 배우는것도 허락해 줬을 정도였다고 하니 알만하다. 이 시기에 파헬벨에게 음악을 가르친 선생은 킨더만의 요한 카스파르 케를의 제자인 카스퍼 프렌트로 그에게서 이탈리아 오페라나 가톨릭 교회 음악을 접하게 된것으로 보인다.

- 음악 활동
파헬벨은 신성로마제국의 수도였던 빈의 성 슈테판 대성당에 오르간 연주자로 공식적인 음악 생활을 시작했으며 후에 1677년 아이제나흐 궁정의 오르가니스트로써 1년 동안 봉직했다.
이후 에어푸르트로 옮겨가 그 자리에 12년 동안 일했다. 바로 이곳에서 파헬벨은 바흐 가문의 요한 암브로지우스 바흐와 인연을 맺기 시작하여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누나 요한나 유디타 바흐의 대부가 되었고, 형이었던 요한 크리스토프를 3년동안 가르치기도 했다.
이곳에서 결혼했지만 흑사병으로 부인을 잃었으며 재혼을 해 슬하에 일곱 자녀를 두었다.
이후 2년간 슈투트가르트에서, 3년간은 고타에서 오르가니스트로 일했고 말년에는 교향 뉘른베르크의 성 제발두스 교회에서 일하다가 1706년에 향년 52세로 별세했다.

○ 작품 세계
오르간 작품으로 유명하며 J.S.바흐 이전의 위대한 오르간 연주자 중의 한 사람이다.
1673년 오스트리아 빈의 장크트슈테판대성당의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하였다.
1677년 아이제나흐의 궁정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하면서 J.C.바흐 등에게 교습하기도 하였다.
1695년 뉘른베르크에 있는 장크트제발두스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로 임명되어 죽기 전까지 이곳에 머물렀다.
오르간을 가르치기도 했는데, 그의 제자 중에는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도 포함되어 있었다.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는 파헬벨에게 배운 것을 다시 동생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가르쳤는데 이것이 그의 공식적인 최초의 건반악기 교습이었다.
파헬벨의 모든 작품들은 단순한 대위법 양식으로 씌어졌다.
그의 오르간 작품들은 J.J.프로베르거를 거쳐 프레스코발디에 이르는 이탈리아 음악형식들을 그가 이미 알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그의 코랄 프렐류드인데, 이것은 보다 서정적인 음악이 주류를 이루는 가톨릭계 남부 독일의 분위기 속에서 프로테스탄트인 북부 독일의 코랄 선율이 자리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
널리 알려진 〈카논 D장조〉는 원래 3개의 바이올린과 계속저음(Continuo)을 위해 작곡된 곡인데 같은 조로 된 지그와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아들 빌헬름 히로니모우스 파헬벨 역시 오르간 연주자이며 작곡가였다.
건반음악 분야에서 남독일 (이탈리아풍)양식과 중부독일양식을 독창적으로 융합하였으며, 특히 성부 진행의 아름다움과 화음의 단순함, 음형 변주의 기법 등을 특징으로 하는 코랄편곡을 하여 코랄 푸가, 코랄 파르티타 등 다수의 걸작을 남겼다.
<파헬벨코랄>이라 하는 코랄 프렐류드 기법과 코랄변주곡은 뒤에 바흐의 창작에 영향을 주었다.
대위법 양식을 동원한 그의 오르간 작품들은 남부 독일과 중부 독일 양식을 융합하여 독창적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코랄변주곡 (chorale partita:코랄 선율에 기초를 둔 오르간 변주곡)을 통하여 변주기법과 단순하면서도 아름다운 화음의 묘사에 뛰어났다.
주요 작품에 《음악에 의한 죽음을 생각한다, Musikalische-Sterbens Gedanken》(1683), 《음악의 기쁨, Musikalische Ergoetzen》 (1691)이 있다.
음악적으로 보면 파헬벨은 매우 중요한 작곡가로 파헬벨의 코랄 전주곡이나 토카타, 환상곡 같은 오르간 곡들은 정교한 대위법이 적용된, 디트리히 북스테후데의 북부 독일 양식에 비견되는 남부 독일 양식의 대표적인 표본으로써 후배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파헬벨의 작품은 히데오 츠카모토 (Hideo Tsukamoto)의 분류를 따라 T. 번호로 표기한다. 분명 나름대로 다작을 했다.
요한 파헬벨의 카논
샤콘느, 푸가, 푸게타, 마니피카트 푸가 등
다양한 교회 음악들 (오르간용)
마니피카트 푸가 No.7

- 카논과 지그
작곡가로서 여러 곡을 남겼지만, 사실 그가 지금도 대중들에게서도 두고두고 화자될 정도로 그를 유명하게 만든 대표곡은 역시 카논이다.
정확한 이름은 《세 대의 바이올린과 통주저음을 위한 카논과 지그 라 장조》 (독: Kanon und Gigue in D-Dur für drei Violinen und Basso Continuo)인데, 사실 상 유일하게 대중적으로 알려진 그의 곡이다.
더 정확히는 이 곡 중 지그를 제외한 초반부가 파헬벨의 카논으로 알려진 것이다.
파헬벨의 카논은 클래식의 주류에서 잊혀졌다가 만들어진지 225년뒤인 1919년에 파헬벨의 음악에 관심을 가진 학자 구스타프 베크만 (Gustav Beckmann, 1894 ~ 1935)에 의해 악보가 출판되고, 21년뒤 1940년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가 음반을 처음 냈으며, 다시 40년뒤에 아카데미 수상작인 1980년 영화 보통 사람들에 삽입되면서 비로소 대중에 알려지게 되었다.
즉, 대략 300년 가까이 묻혀있다가 부활한 곡이다.

○ 앨범
1.Johann Pachelbel – Toccatas, Fugue And Chorale Preludes • Johann Gottfried Walther – Concerto And Chorale Preludes / Luther Noss [Overtone – OVER. 8, 1954]
2.Corelli – Concerto Grosso No.8 [Christmas Concerto] • Ricciotti – Concertino No.2 • Gluck – Chaconne • Pachelbel – Kanon / Stuttgart Chamber Orchestra, Karl Münchinger [Decca – SXL 2265, 1961]
3.Johann Staden • Johann Erasmus Kindermann • Johann Philipp Krieger • Johann Krieger • Georg Kaspar Wecker • Johann Pachelbel – Nürnberg-Die Freie Reichsstadt [Odeon – C 91 110, 1962]
4.Buxtehude • Pachelbel • Sicher • Schlick • Daquin • J.S. Bach • Carl Weinrich – Christmas Music Of The Baroque / Carl Weinrich [RCA Victor Red Seal – LSC-2820, 1965]
5.Johann Pachelbel – Helmut Winter À L’Orgue Historique De Trebel / Helmut Winter [Harmonia Mundi – HMO 30.582, 1966]
6.Johann Ludwig Krebs – An Der Silbermannorgel Des Domes Zu Freiberg • Johann Pachelbel – Orgelwerke / Hans Heintze [ETERNA – 8 25 835, 1968]
7.Pachelbel • Albinoni • Rameau* · Purcell • J.S. Bach – Meisterwerke Des Europäischen Barock / Eduard Kaufmann, Walter Prystawski, Jean Soldan, Festival Strings Lucerne, Rudolf Baumgartner [Deutsche Grammophon – 135 054, 1968]
8.Pachelbel – Le Canon De Pachelbel & Deux Suites Pour Cordes • Fasch – Le Concerto Pour Trompette De Fasch & Deux Symphonies / Maurice André, Orchestre De Chambre Jean-François Paillard [Erato – STU 70468, 1968]
9.J.S. Bach • Buxtehude • Pachelbel – Lautenmusik Des Barock / Walter Gerwig [Bärenreiter-Musicaphon – BM 30 L 1530, 1969]
10.Johann Pachelbel – Orgelwerke / Jørgen Ernst Hansen [Telefunken – SAWT 9614-A, 1969]
11.Albinoni • Vivaldi • Pergolesi • Corelli • Pachelbel – Adagio / Orchestre De Chambre De Guyenne, Georges Boueil [RCA Victor – 105.7001, 1970]
12.Albinoni – Adagio • Pachelbel – Canon • Ysaÿe – Paganini~Variations E. A. / Lola Bobesco, Ensemble D’Archets Eugène Ysaÿe [Deutsche Grammophon – 2538 162, 1972]
13.Albinoni • Pachelbel • Boccherini • Respighi – Adagio / Berliner Philharmoniker, Herbert Von Karajan [Ex Libris – XL 171 817, 1972]
14.Albinoni – Adagio • Bach – Sinfonia • Beethoven – 12 Contradances • Handel – Minuet • Mozart – March In D • Mendelssohn – Scherzo • Pachelbel – Canon / The Academy Of St. Martin-in-the-Fields, Neville Marriner [Die Stimme Seines Herrn – 1 C 063-02 503, 1974]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