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7년 5월 14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 제1차 피니스테레곶 해전 (The First Battle of Cape Finisterre) 발발
제1차 피니스테레곶 해전 (The First Battle of Cape Finisterre)은 1747년 5월 14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일부로 영국과 프랑스가 격돌한 해전이다. 같은해 10월 또 한번 수송선단과의 전투 (제2차 피니스테레곶 해전)가 벌어졌기 때문에 구별하기 위해 제1차라고 불렀다.

– 제1차 피니스테레곶 해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일부
.날짜: 1747년 5월 14일
.장소: 피니스테레곶 근처
.결과: 영국의 승리
.교전국: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프랑스
.지휘관: 제독 조지 앤슨 / 제독 드 라 존키에르
병력: 14척 전열함, 1척 프리킷함, 1척 화공선 / 4척 전열함, 2척 프리킷함, 30척 상선
.피해 규모: – / 4척 전열함, 2척 프리킷함, 7척 상선 나포, 포로 3,000명
조지 앤슨 제독이 이끄는 14척의 전열함으로 이루어진 함대가 드 라 존키에르 제독이 이끄는 30척의 프랑스 선단을 공격했다. 스페인의 북서쪽 피니스테레곶 연안의 비스케이만에서 4-5시간에 걸쳐 벌어진 전투에서 영국은 프랑스의 전열함 4척, 프리깃함 2척 및 상선 7척을 나포했다. 그외 기타 상선은 나포를 모면했다.
프린스 조지 (Prince George)호에 탑승한 앤슨과 데번셔 (Devonshire)에 탑승한 피터 워런 소장은 4월 9일 프랑스의 수송을 방해하려는 목적으로 플리머스 (Plymouth)에서 출항했다. 대선단을 확인한 앤슨은 전열을 형성하라는 신호를 보냈다. 워런 소장은 적이 수송선단의 도주를 돕기 위해 기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앤슨에게 접근하자고 진언했다. 앤슨은 곧 총추격의 신호를 보냈다. 즉시 군함 센츄리언이 돛을 내리고 처음으로 접촉한 최후미의 프랑스 함을 추격했다. 두 함은 격렬한 응전을 벌였고, 얼마 안 가 2척이 지원하기 위해 되돌아왔다. 영국측도 데번셔를 포함한 3척이 추격하여 난전을 벌였다. 프랑스 함대는 수적으로 크게 열세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함이 나포되는 밤 7시까지 전투를 계속했다. 동인도 무역선도 9척이 나포되었다. 사상자는 프랑스측이 700명과 포로 3,000명, 영국측이 520명이었다. 또한 약 300,000 파운드 상당의 전투선을 얻었고, 이것은 영국 함선으로 편입되어 쓰이게 되었다.
앤슨은 이 승리로 인해 중장으로 승진했고, 귀족이 되었다.

– 참전 함선
.영국 (조지 앤슨) : 함선명, 대포, 비고
프린스 조지(Prince George) 90 기함
데번셔(Devonshire) 66
나뮈르(Namur) 74
몬머스(Monmouth) 64
프린스 프레더릭(Prince Frederick) 64
야머스(Yarmouth) 64
프린세스 루이자(Princess Louisa) 60
노팅엄(Nottingham) 60
디파이언스(Defiance) 60
펨브룩(Pembroke) 60
윈저(Windsor) 60
센츄리언(Centurion) 50
포클랜드(Falkland) 50
브리스틀(Bristol) 50
앰버스케이드(Ambuscade) 40
팰컨(Falcon) 10
벌컨(Vulcan) 8 화공선(Fireship)
.프랑스 (드 라 존키에르) : 함선명, 대포, 비고 (*표시는 프랑스 동인도 회사 소속 함대)
디아망(Diamant)* 30/56 나포 후 침몰
필리베르(Philibert)* 30 나포
비질랑(Vigilant)* 20 나포
쉬메르(Chimère) 36
뤼비(Rubis) 52 나포
자송(Jason) 50 나포
세리외(Sérieux) 64 기함, 나포
앵뱅시블(Invincible) 74 나포
아폴롱(Apollon)* 30 나포
테티스(Thétis)* 22 나포
모데스트(Modeste)* 18 나포
글루아(Gloire) 40 나포
에메로드(Emeraude) 40
다트머스(Dartmouth)* 18 (훗날 영국 사략선), 나포
24척의 상선 중 6척 나포
○ 부록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제2차 피니스테레곶 해전 (1747년 10월 25일)
제2차 피니스테레곶 해전은 1747년 10월 25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일부로써 스페인 북서부 피니스테레곶 근처 비스케이만 (Bay of Biscay)에서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벌어진 해상 전투이다. 그해 5월 14일 이미 영국 함대와 프랑스 수송선단 간 같은 해역에서 벌어진 해전(제1차 피니스테레곶 해전)이 있기 때문에 제2차라고 부른다.

– 제2차 피니스테레곶 해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일부
.날짜: 1747년 10월 25일
.장소: 피니스테레곶 근처
.결과: 영국의 결정적 승리
.교전국: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프랑스
.지휘관: 제독 에드워드 호크 경 / 제독 데셀비에 드 레탕뒤엘
.병력: 14척 전열함 / 8척 전열함, 여러 상선
.피해 규모: – / 6척 전열함 나포
영국 함대는 에드워드 호크 경 제독 휘하의 준비가 완료된 14척의 전열함이 있었고, 프랑스측은 데셀비에 드 레탕뒤에르 (Desherbiers de l’Etenduère) 제독 지휘하의 8척의 전열함이 호위하는 수송선단이 있었다. 전투는 선단을 기다리며 대기하던 영국 함대의 결정적 승리로 끝났고, 이후 전쟁이 종료될 때까지 프랑스 해군은 활동이 거의 없었다.
프랑스 함대는 매우 용감하게 싸웠다. 그러나 이 배의 뛰어난 품질은 영국함의 수적 우세를 이기지 못했다. 영국함대는 서서히 프랑스 함대를 압박하고 그들을 나포했다. 보드레이 백작 (Comte de Vaudreuil)이 지휘하는 앵트레피드 (Intrépide)는 프랑스 전열의 선두에 있다가 제독을 구하기 위해 되돌아와 2척 모두 탈출에 성공했다. 다른 함은 거의 영국에게 나포되었다.
군함끼리의 전투가 벌어지는 동안 프랑스 선단은, 레탕뒤에르가 가슴아프게도 할양한 26문의 함 카스토르 (Castor)와 64문 함 콩탕 (Content)의 호위를 받으며 서인도 제도로 향하는 항로를 계속 나아갔다. 그러나 결국 그들 대부분은 그 해역에서 진로를 저지당하고 사로잡혔다.
이 재난으로 인해, 프랑스 정부는 해상에서 무력하다는 것을 확신했다. 그리고 그 이후, 영국의 봉쇄를 뚫으려는 수송선단의 행동은 거의 없었다.

– 참전 함선
.영국 (에드워드 호크) : 함선명, 대포, 비고
데번셔(Devonshire) 64/66 기함
켄트(Kent) 74
에든버러(Edinburgh) 70
몬머스(Monmouth) 64
야머스(Yarmouth) 64
프린세스 루이자(Princess Louisa) 60
윈저(Windsor) 60
라이온(Lion) 60
틸버리(Tilbury) 60
노팅엄(Nottingham) 60
디파이언스(Defiance) 60
이글(Eagle) 60
글로스터(Gloucester) 50
포틀랜드(Portland) 50
프리깃함 수척
위즐(Weazel) 슬루프함?
.프랑스 (레탕뒤에르) : 함선명, 대포, 비고
앵트레피드(Intrépide) 74
트리당(Trident) 64 나포
테리블(Terrible) 74 나포
토낭(Tonnant) 80 기함
모나르크(Monarque) 74 나포
세베른(Severn) 50/56 나포
푸규(Fougueux) 64 나포
넵튠(Neptune) 70/74 나포
카스토르(Castor) 26
콩탕(Content) 64
수송선단 252척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