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1년 2월 21일,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카를 체르니 (Carl Czerny, 1791 ~ 1857) 출생
카를 체르니 (Carl Czerny, 1791년 2월 21일 ~ 1857년 7월 15일)는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작곡가이다. 그의 이름을 딴 피아노 교본으로 유명하다.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음악교사. 루트비히 반 베토벤의 제자들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이자, 비르투오소 프란츠 리스트의 스승으로도 알려져 있다. 연주보다는 음악교사로서 많이 활동했다고 하였고, 생애 대부분을 고향인 빈에서 보냈고, 66세의 나이로 죽을 때까지 독신으로 살았었다.

– 카를 체르니 (Carl Czerny)
.출생: 1791년 2월 21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사망: 1857년 7월 15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본명: Carl Czerny
.학력: 빈 음악 및 공연예술 대학교
.직업: 피아니스트, 작곡가, 음악교사
빈에서 태어난 후 처음에 보헤미아 (체코) 출신인 아버지로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곧 두각을 나타내어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제자가 되었다. 1800년 첫 연주회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했고, 1812년 베토벤의 황제 협주곡을 연주해 호평을 받았다.
그 후로는 주로 피아노 연주자보다는 피아노 교사로 이름을 알렸으며, 프란츠 리스트도 그의 유명한 제자 중 하나이다. 작곡가로는 1000개에 달하는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그 분야도 매우 다양하나, 주로 피아노곡이 알려져 있다.
연습곡이 특히 유명한데, 그 중에서 작품번호 139번, 849번, 299번, 740번은 대한민국에서 각각 체르니 100번, 30번, 40번, 50번으로 알려진 것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피아노 학습에서 필수적인 곡으로 여겨지고 있다 (체르니 60권, 70권, 110번, 160권도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다).
오르간을 위한 작품과 9개의 교향곡, 협주곡 등도 남겼으며,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많은 종교 음악도 남겼으나, 이들은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

○ 생애 및 활동
1791년 지금의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태어났다. 당시 체르니의 집안은 음악가 집안이었는데, 그의 할아버지는 프라하 근방에 있는 님부르크라는 마을의 바이올리니스트였고, 그의 아버지인 ‘벤첼 체르니’는 오보이스트이자, 오르가니스트, 그리고 피아니스트였다. 카를 체르니가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았을 때, 벤첼 체르니는 폴란드 지방에 있던 어떤 영주의 교사로서 일하였으며 이후 폴란드로 잠시 이주해서 살게되었으나, 1795년에 강제로 빈으로 다시 귀환하게 된다.
체르니는 어려서부터 음악신동의 두각을 보였었는데, 3살에 처음 피아노를 접했으며 7살에 처음으로 작곡을 하였다. 처음에는 벤첼이 카를에게 피아노와 음악을 가르쳐 주었으며, 그가 9살이 되던 해인 1800년에는 처음으로 대중에서 피아노 연주를 하였다.
1801년에 베토벤이 카를에게 자신의 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소나타’를 연주하도록 시켰는데, 체르니의 연주에 깊은 감명을 받고 그를 제자로 받아들이기로 하였다. 1801년부터 1804년까지 꾸준히 피아노를 가르쳐 주었으며, 그 뒤에도 계속해서 몇 번씩 가르쳐주었다. 베토벤의 제자로 있으면서 편지로 많은 교류를 하였는데 현재 이 편지의 내용들은 모두 베토벤의 일상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체르니는 후에 베토벤의 조카의 음악교육을 해주기도 하였다.
15살이 되던 해부터 본격적으로 다른 이들에게 피아노 교육을 시작하였는데, 빈의 상류계층들의 음악교사로서 활동하였으며 하루에 수업양이 엄청났다고 한다. 그가 가르쳤던 제자들은 스테판 헬러, 지기스문트 탈베르크 등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단연 가장 유명한 제자는 프란츠 리스트였다. 1819년에 그의 아버지가 처음으로 리스트를 체르니에게 교육을 시킬 목적으로 데려왔던 것이 둘의 첫 만남이었다.
체르니는 리스트를 성심성의껏 가르쳤으며, 베토벤, 클레멘티, 바흐, 모셸레스의 곡들을 가지고 주로 연습을 시켰다. 체르니는 당시 리스트의 재능의 깊게 눈여겨 보았으며 어려운 경제사정을 이해하여 리스트만큼은 교육비를 전혀 받지않고 피아노를 가르쳐주었다. 리스트는 이에 대한 보답으로 후에 파리를 여행할 당시에 체르니가 작곡한 곡들을 자주 연주하였고, 1852년에 출판한 그의 유명한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을 스승인 체르니에게 헌정하기도 하였다.
이후 리스트와 함께 프랑스를 여행하기도 하였고, 이탈리아와 영국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1840년부터 작곡에 매진하였는데 피아노를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부터 비르투오소들까지 여러 사람들을 위한 엄청나게 많은 수의 연습곡들을 작곡하였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피아노 독주곡, 교향곡, 협주곡 등등을 작곡하였다.
1857년, 66세의 나이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사망하였다.

○ 작품목록
살아생전 1000개 가까이 되는 곡들을 작곡하였으며, 피아노 독주곡이 독보적으로 많다. 이 중에서도 연습곡이 제일 잘 알려져 있고 비단 잘 알려진 체르니 100, 30, 40, 50등을 포함하여, 연주회용 대연습곡, 살롱 연습곡 등등 여러가지 연습곡들을 작곡하였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피아노 독주곡과 협주곡 등을 작곡하였다.
– 연습곡
Op. 139 중 98번
Op. 849 중 10번
Op. 740 중 31번
Op. 299 중 39번, 27번, 14번
– 피아노곡
Op. 14 – 화려한 변주곡
Op. 146 – 장송행진곡
Op. 493 – ‘피가로의 결혼’의 다양한 주제에 의한 화려한 환상곡
Op.368 No. 4 – 녹턴
Op.33 – 로드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856 중 E flat minor 전주곡과 푸가
Op.92 – 토카타
Op.268 – 피아노 소나타 10번
Op. 7 – 피아노 소나타 1번
Op. 10 – 화려한 대 소나타
Op. 13 – 피아노 소나타 2번
Op. 14 – 화려한 변주곡
Op. 27 – 환상곡
Op. 31 – 3개의 푸가
Op. 33 – 피에르 로드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9]
Op. 49 – 2개의 화려한 소나티네
Op. 50 – 네 손을 위한 2개의 화려한 소나티네
Op. 54 – 네 손을 위한 화려한 특징적 서곡
Op. 57 – 피아노 소나타 3번
Op. 65 – 피아노 소나타 4번
Op. 76 – 피아노 소나타 5번
Op. 89 – 푸가풍의 기상곡
Op. 92 – 토카타
Op. 172 – 대 기상곡
Op. 232 – ‘프라 디아볼로’의 가장 좋아하는 2가지 주제에 의한 화려한 기교의 대 변주곡
Op. 233 – 화려한 론도
Op. 245 – 3도 진행과 이중음형의 숙달을 위한 대 연습곡
Op. 268 – 피아노 소나타 10번
Op. 345 – 환상곡
Op. 364 – 대 연습곡
Op. 369 – 화려한 기교의 대 기상곡
Op. 368 – 8개의 녹턴
Op. 400 – 푸가 연주의 학습
Op. 493 – ‘피가로의 결혼’의 다양한 주제에 의한 화려한 환상곡
Op. 504 – ‘이집트의 모세’의 가장 좋아하는 행진곡의 주제에 의한 환상곡과 변주곡
Op. 604 – 다양한 특징의 8개의 낭만적 녹턴
Op. 647 – 녹턴
Op. 692 – 24개의 특징적 대 연습곡
Op. 754 – 6개의 살롱 연습곡
Op. 755 – 완성 연습곡
Op. 756 – 25개의 살롱 대 연습곡
Op. 763 – 타란텔라 풍의 스케르치노
Op. 776 – 즉흥곡과 푸가
Op. 787 – 화려한 갤럽
Op. 822 – 새로운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
Op. 843 – 10개의 소품집

– 실내악곡
Op. 51 –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2개의 화려한 소나티네
Op. 95 – 화려한 9중주
Op. 105 – 피아노 3중주 1번
Op. 166 – 피아노 3중주 2번
Op. 173 – 피아노 3중주 3번
Op. 177 – 현악 5중주를 위한 2개의 푸가
Op. 230 – 피아노 4중주
Op. 289 – 피아노 3중주 4번
– 관현악곡
Op. 28 – 피아노 협주곡 F장조
Op. 142 – 서곡 1번 C단조
Op. 214 – 피아노 협주곡 A단조
Op. 780 – 교향곡 1번 C단조
Op. 781 – 교향곡 2번 D장조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