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년 5월 7일,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니콜로 피치니 (Niccolò Piccinni, 1728 ~ 1800) 별세
니콜로 피치니 (Niccolò Piccinni, 1728년 1월 16일 ~ 1800년 5월 7일)는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이다.
오늘날 그의 오페라는 거의 상연되는 일이 없으나 18세기 후반에 파리에서 활약했고, 글루크의 대항적 존재로 간주되었다.
그리하여 동일 대본으로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를 글루크와 경작(競作)하여 두 사람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두 파로 갈려 이른바 ‘글루크 피치니 논쟁’을 일으킨 것은 유명하다.
만년은 프랑스 정부가 주는 연금을 받았고, 파리 음악원의 감독으로 후진지도에 힘썼다.
니콜로 피치니 (Niccolò Piccinni)는 18세기 동안 이탈리아의 교향곡 (symphonies), 종교 음악 (sacred music), 실내악 (chamber music) 및 오페라 작곡가 (composer of opera)였다. 그는 오늘날 다소 모호하지만 자신의 시대에 있어 가장 인기 있는 오페라 작곡가 (most popular composers of opera) – 특히 나폴리 오페라 부파 (Neapolitan opera buffa) – 중 하나였다.

– 니콜로 피치니 (Niccolò Piccinni)
.출생: 1728년 1월 16일, 이탈리아 바리
.사망: 1800년 5월 7일, 프랑스 파리 빠씨
.국적: 이탈리아
.직업: 오페라 작곡가
.배우자: Vincenza Sibilla
.자녀: 루이지 피치니
니콜로 피치니 (Niccolò Piccinni)는 희극 오페라 (comic operas)로 잘 알려져 있지만, 오페라 세리아 (opera seria, 정극)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가장 유명한 오페라 (most famous opera)는 〈La buona figliuola〉(1760)로, 당시 최고의 작곡가 중 한 명으로 명성을 확고히 다졌다. 그는 약 120편의 오페라 (일부에는 130편 이상을 제시)를 포함하여 소량 (smattering of other)의 성악 (vocal)과 기악 작품 (instrumental compositions)을 썼다.
그는 1728년 1월 16일 이탈리아의 바리 (Bari, Italy)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 (musical talent)을 보였으나, 10대 초반까지는 성직 (priesthood)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의 음악 교육 (musical education)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다소 혼란하지만 (some confusion about details), 1742년 나폴리의 산 오노프리오 음악원 (Napoli’s San Onofrio Conservatory)에 등록한 그는 레오나르도 레오 (Leonardo Leo, 1744년까지), 프란체스코 두란테 (Francesco Durante, 1754년까지)로부터 12년간 공부했다.
1754년 그는 첫 번째 오페라 – 모든 오페라 부파 (all comic operas) – 를 쓰기 시작했고 합리적인 성공 (reasonable success)을 거두었다. 1756년은 개인적 (personally)으로나 직업적 (professionally)으로 작곡가의 중요한 해 (pivotal year)였다. 그는 자신의 성악 학생의 하나인 빈첸차 시빌라 (Vincenza Sibilla)와 결혼하였고, 그의 첫 오페라 세리아 〈Zenobia〉(1756)에 출연한 그녀와 나폴리에서 열렬한 환영 (enthusiastic reception)을 받았다. 그에게 로마의 권위 있는 위탁 (Prestigious commissions)이 뒤따랐고, 그는 그들에게 〈Alessandro nelle Indie〉(1758)와 앞서 언급한 〈La buona figliuola〉를 썼다.

그는 최성기 (meteoric career)를 구가했던 1758 ~ 1773년에 50편 이상의 오페라를 작곡했고, 이후에도 상당한 수의 위탁 (numerous commissions)을 지속적으로 받았으며, 나폴리 (Napoli)와 로마 (Rome)의 나머지 시기에는 30편이 넘는 오페라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그의 이름은 177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유럽 국가 (throughout most of Europe)에서 알려졌으며, 프랑스 궁정 (French Court)은 그를 파리로 정중하게 초청했다. 그는 그것을 받아들였고 1776년 말 파리에 도착 (arrived in Paris)했다.
그의 〈Roland〉(1778)는 프랑스 관객 (French audiences)과 비평가 (critics)를 제치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글루크리스트들 (contentious Gluckists)에게도 호감을 나타냈다. 그는 〈Didon〉(1783)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에서 더 많은 성공 (several further successes)을 거두었고, 곧 그는 사키니 (Antonio Maria Gasparo Sacchini), 살리에리 (Antonio Salieri, 1750 ~ 1825) 및 다른 사람들과 경쟁을 벌였다. 그의 예술적 운명의 쇠퇴 (declining artistic fortunes) – 〈Pénélope〉(1785)는 비참한 실패를 안겨준 작품이다 – 와 프랑스 혁명 (French Revolution)의 결과로서 근절된 연금의 손실 (loss of a pension eradicated)에 따라 그는 1791년에 나폴리로 돌아왔다. 이탈리아는 그를 따뜻하게 맞이했지만 (greeted warmly) 나중에 그의 딸이 프랑스의 자코뱅당원 동조자 (French Jacobin sympathizer)와 결혼으로 인해 정치적 어려움 (political difficulties)을 초래했다. 작곡가는 4년 동안 (1794 ~ 1798) 가택 연금 상태 (under house arrest)로 살았고, 이로 말미암아 빈곤 상태 (into poverty)에 빠졌다. 그는 1798년 파리로 돌아왔지만 재정적 (financial)으로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일이 마침내 개선되었을 때는 그의 건강이 극도로 쇠약해져 있었다. 그는 1800년 5월 7일에 사망했다.

○ 생애 및 활동
그는 1728년 1월 16일 아풀리아 지역 (Apulia region)의 바리 (Bari)에서 태어났으며, 산 오노프리오 음악원 (S. Onofrio Conservatory)의 레오나르도 레오 (Leonardo Leo, 1694-1744)와 프란체스코 두란테 (Francesco Durante, 1684 ~ 1755)의 문하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런데 그의 아버지는 그 자신이 음악가 (musician)임에도 아들이 같은 음악가의 길을 선택하는 것 (same career)에 반대하였고, 이 과정에서 바리 주교의 중재 (intervention of the Bishop of Bari)가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의 첫 번째 오페라 작품인 〈Le donne dispettose〉는 1755년에 초연되었으며, 1760년 생애 초기의 걸작 (chef d’œuvre of early life)으로서 카를로 오스발도 골도니 (Carlo Osvaldo Goldoni, 1707 ~ 1793)의 대본을 토대로 오페라 부파(opera buffa) 〈La Cecchina, ossia la buona Figliuola〉를 로마에서 작곡했다. 음악사는 이 작품에 대해 “로마 (Roma)에서 2년 동안 공연되었고 (enjoyed a two-year run), 모든 중요한 유럽의 수도 (all the important European capitals)에서 연주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18세기의 가장 인기 있는 오페라 부파 (most popular opera buffa)라고 할 수 있다… [훨씬 더 그 이상으로 even more than]…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Giovanni Battista Pergolesi, 1710-1736)의 〈La serva padrona〉… 새로운 시대 (new era)의 첫 번째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1752 ~ 1791)의 명작 (masterworks)을 남긴다.”고 적었다.

〈La buona figliuola〉는 희극 (comedy)이 새로운 극적인 힘 (new dramatic force)을 취하기 시작한 18세기 음악사 (history of music)에서 특별한 시기 (special moment)를 의미한다. 이것은 오페라 대본가 (opera’s librettist) 카를로 오스발도 골도니 (Carlo Osvaldo Goldoni)가 자의적으로 감상적인 연극 구상 (self-consciously sentimental theatrical project)에서 고전주의로 진보하는 음악 언어 (developing musical language of classicism)와 접합한 것 (married)이다. 특히 이는 체키나 (Cecchina)의 2막 아리아 (Act II aria) “Una povera ragazza”의 감성적인 노랫말 (sensitive writing)에서 볼 수 있다.
오페라는 드레스 (dress), 상점 (shops) 및 주택 (houses)이 모두 체키나 (La Cecchina)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으로 성공적이었다. 또한 새로운 감상적인 양식 (new sentimental style)의 장점에 대한 논쟁 (debate)이 시작되면서, 특히 영국의 경우 보수적인 반론 (conservative reactionaries)으로 최신 이탈리아 음악 (modern Italian music)의 여성화된 경향 (feminizing influence)에 대해 경계하고 있었다.
1768년 비평가인 주세페 마르칸토니오 바레티 (Giuseppe Marc’Antonio Baretti, 1719 ~ 1789)는 이탈리아의 오페라를 선호 (enthusiasts of Italian opera)하는 사람들이 “미뉴에트의 미적 감각을 느끼고 (feel its minuet niceties), 당연히 피치니의 쇠약해져가는 체키나에 열중하고 (to be of course in rapture with the languishing Cecchina’s of Piccini [sic])” 있었으며, “무게와 배려의 (of weight and consideration)” 개인 (individuals)이 “그 신사 숙녀 여러분 (those puny gentlemen)”을 매도한 것에 대해 비난되어서는 안 된다고 논평했다. 이 최신 음악에 대해 바레티 (Giuseppe Marc’Antonio Baretti)는 “더욱 담대해지거나 남자다운 덕목을 가진 것과는 거리가 있는 반면에 유약하고 비겁한 경향이 있다 (far from having any power of increasing courage or any manly virtues, has on the contrary a tendency towards effeminacy and cowardliness)”고 비판했다.

6년 후 그가 프랑스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Queen Marie Antoinette, 1755 ~ 1793)에 의해 파리에 초청되었다. 그는 장-밥티스트 륄리 (Jean-Baptiste Lully, 1632 ~ 1687) 이후 프랑스 왕실로부터 부름을 받아 왕립 음악 아카데미 (Academie Royale de Musique)의 오페라를 작곡한 최초의 이탈리아인이었다. 그는 시인 (poet)이자 극작가 (dramatist)인 장-프랑수아 마르몽텔 (Jean-François Marmontel, 1723 ~ 1799)과 함께 오페라 개혁 (operatic reform)을 위한 운동을 촉진시키도록 구상된 여러 입안들 (several projects designed)에 협력했다. 마르몽텔 (Jean-François Marmontel)의 첫 대본 (first librettos)은 필립 키노 (Philippe Quinault, 1635 ~ 1688)가 륄리 (Jean-Baptiste Lully)를 위해 쓴 〈Roland〉(1778)와 〈Atys〉(1779)의 텍스트를 토대로 시작한 원본 텍스트 (original texts)로서 〈Didon〉의 후속 작업 (subsequent efforts)이었다. 그의 모든 후기 작품들 (later works)은 성공했으나, 그랜드 오페라의 감독 (directors of the Grand Opera)들은 은연중에 그를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 ~ 1787)와 상반된다는 인식을 하였고, 두 작곡가로 하여금 같은 주제 (same subject) – 〈Iphigénie en Tauride〉 – 를 동시에 다루도록 설득했다. 따라서 파리 시민들 (Parisian public)은 두 경쟁자 진영 (two rival parties)으로 나뉘어졌는데, 이들은 글루크 지지자 (Gluckists)와 피치니 지지자 (Piccinnists)의 이름으로 비열하고 (unworthy) 불명예스러운 전쟁 (disgraceful war)을 벌였다.
글루크 (Gluck)의 완숙한 〈Iphigénie en Tauride〉는 1779년 5월 18일에 초연되었다.
피치니 (Piccinni)의 〈Iphigénie〉는 1781년 1월 23일에 뒤를 이어 공연되었다.
1780년 글루크 (Gluck)가 파리를 떠난 이후에도 경쟁자 진영의 적대감 (antagonism of the rival parties)은 계속되었고, 이후 안토니오 마리아 가스파로 사키니 (Antonio Maria Gasparo Sacchini, 1730 ~ 1786)와의 새로운 경쟁 구도 (inaugurate a new rivalry)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는 여전히 인기가 있었고, 1787년 글루크 (Gluck)의 죽음에 글루크 지지자 (Gluckists)의 지원을 거부해 그의 추도를 위한 공적 기념비 (public monument)를 세울 것을 제안했다.

1784년 그는 국립 음악 학교에서 교수 (professor Royal Music School)가 되었는데, 1794년 콩세르바투아르 (Conservatoire)가 설립된 기관 중 하나이다.
1789년 프랑스 혁명 (French Revolution)이 발발하자 그는 나폴리 (Napoli)로 돌아와 페르디난드 4세 국왕 (King Ferdinand IV)으로부터 처음에는 환영을 받았으나, 그의 딸과 프랑스 민주당원 (French democrat)의 결혼은 그를 곤혹스럽게 만들었고, 결국 그는 혁명적 (revolutionary)이라고 고발을 당해 4년 동안 가택 연금 상태 (placed under house arrest)에 빠지게 했다.
그로부터 9년 동안 그는 베네치아 (Venezia), 나폴리 (Napoli)와 로마 (Roma)에서 불안정한 생활을 지속했다.
그러나 그는 1798년에 파리 (Paris)로 돌아 왔고, 대중은 열정적으로 그를 맞이했으나 그의 수입까지 녹록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1800년 5월 7일 파리 인근 (near Paris)의 파시 (Passy)에서 72세로 세상을 떠났다.
자신의 생애 동안 그는 피에트로 안토니오 도메니코 트라파시 (Pietro Antonio Domenico Trapassi, 1698 ~ 1782)를 포함하여 그의 시대에서 가장 위대한 대본가들 (greatest librettists)과 함께 일했다. 사후에 바리 (Bari)의 생가에는 그의 기념비 (memorial)가 세워졌다.
그는 1756년 자신의 제자 (pupil)이자 가수 (singer)인 빈첸차 시빌라 (Vincenza Sibilla, 1742 ~ ?)와 결혼을 하였고, 결혼 후에는 그녀에게 자신의 오페라 무대에는 출연하지 못하게 했다. 손자 (grandson)인 루이 알렉산드레 피치니 (Louis Alexandre Piccinni, 1779~ 1850)는 파리에서 성공적인 오페라 가수 교습자 (successful repetiteur)이며 작곡가로 활동했다. 그의 작품 중 가장 완전한 목록 (most complete list)은 『이탈리아 음악 리뷰 (Rivista musicale italiana, viii. 75.)』에 정리되어 있다. 그는 80편이 넘는 오페라를 공연했으나, 그의 후기 작품 (later work)은 프랑스 (French)와 독일 무대 (German stage)의 영향을 보여주지만 18세기의 전통 이탈리아 악파 (conventional Italian school)에 속한다.

○ 주요 작품 목록 (알파벳 순)
A
Alessandro nell’Indie
Alfin quella dal cielo
Gli amanti mascherati
Antigono
Artaserse
L’astrologa
Atys
B
Il barone di Torreforte
La bella verità
La buona figliuola
C
Caio Mario
La capricciosa
Catone in Utica
Il cavaliere per amore
Cesare in Egitto
Ciro riconosciuto
Le contadine bizzarre
Contino amabilissimo
La corsara
Il curioso del suo proprio danno
D
Demetrio
Demofoonte
Didone abbandonata
Didon
La donna di bell’umore
Le donne vendicate
Dov’è la morte perché non viene

E
Ecco Alcide, ecco l’eroe
Enea in Cuma
Ercole al Termedonte
F
La finta baronessa
Le finte gemelle
Il finto turco
La furba burlata
G
Gelosia per gelosia
Le gelosie
Gionata
Giove piacevole nella regia di Partenope
Il gran Cid
La Griselda
I
L’incostante
Ipermestra
Iphigénie en Tauride
L
La locandiera di spirito
M
Ma che? de’ cenni miei
Madama Arrighetta
La molinarella
N
Nitteti
La notte critica
O
L’Olimpiade
L’Origille

P
Pénélope
La pescatrice
R
Il re pastore
Il regno della luna
Roland
S
La scaltra letterata
La schiava seria
Il sordo
La sposa collerica
Gli sposi perseguitati
Lo sposo burlato
Gli stravaganti
T
Tigrane
Le trame zingaresche
V
Veo a’ buje
I viaggiatori
Le vicende della sorte
Vittorina
Z
Zenobia

○ 작품 목록 (Composizioni)
- 오페라 (Opere liriche)
Le donne dispettose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Palomba, 1754, Napoli; ripresa anche come Le trame per amore e La massara spiritosa)
Il curioso del suo proprio danno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Palomba, basato sul Don Chisciotte di Miguel de Cervantes, 1755-6, Napoli)
Le gelosie (opera buffa, libretto di Giovanni Battista Lorenzi, 1755, Napoli; ripresa anche come Le gelosie, o Le nozze in confusione)
Zenobia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56, Teatro San Carlo di Napoli)
Mitteti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57, Napoli)
L’amante ridicolo (intermezzo, libretto di Pioli, 1757, Napoli; ripreso anche come L’amante ridicolo deluso, L’amante deluso, L’amante ridicolo
e deluso)
La schiava seria (intermezzo, 1757, Napoli; ripresa anche come Die Slavinn)
Caio Mario (opera seria, libretto di Gaetano Roccaforte, 1757, Napoli)
Alessandro nell’Indie (1a versione)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58, successo al Teatro Argentina di Roma; ripresa anche come
Alessandro e Poro)
Madama Arrighetta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Palomba, basato su Monsieur Petiton di Carlo Goldoni, 1758, Napoli; ripresa anche come
l’intermezzo Petiton e Monsieur Petiton)
La scaltra letterata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Palomba, 1758, Napoli; ripresa anche come La scaltra spiritosa)
Gli uccellatori (opera buffa, libretto di Carlo Goldoni, 1758, Napoli o Venezia)
Il finto pazzo (opera buffa, 1758, Burgtheater di Vienna)
Ciro riconosciuto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59, Teatro San Carlo di Napoli)
Siroe re di Persia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59, Napoli)
La Cecchina ossia La buona figliuola (dramma giocoso,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0, Roma; ripresa anche come La buona figliuola puta,
La baronessa riconosciuta, Cecchina nobile, o La buona figliuola, Das gute Mädchen, The Accomplish’d Maid, Der fromme Pige e La bonne fille)
L’Origille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Palomba, 1760, Napoli)
La canterina (intermezzo, 1760, Napoli)
La furba burlata (opera buffa, 1760, Napoli; musicata in collaborazione con Nicola Bonifacio Logroscino)
Il re pastore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60, Firenze)
Le beffe giovanili (opera buffa,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0, Napoli)
Le vicende della sorte (intermezzo, libretto di Giuseppe Petrosellini, basato su I portentosi effetti della madre natura di Carlo Goldoni, 1761, Roma)
La schiavitù per amore (intermezzo, 1761, Roma)
Olimpiade (1a versione)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61, Roma)
Demofoonte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61, Reggio Emilia)
La buona figliuola maritata (opera buffa,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1, Bologna; ripresa anche come La baronessa riconosciuta e maritata,
La Cecchina maritata e La buona moglie)
Lo stravagante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Villani, 1761, Napoli)
L’astuto balordo (opera buffa, libretto di Giovanni Battista Fagiuoli, 1761, Napoli)
L’astrologa (opera buffa, libretto di Pietro Chiari, 1761-2, Venezia)
Le avventure di Ridolfo (intermezzo, 1762, Bologna)
Artaserse (opera seria,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62, Napoli)
La bella verità (opera buffa,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2, Bologna)
Antigono (opera seria in tre atti, libretto di Pietro Metastasio, 1762, Teatro San Carlo di Napoli con Diamante Maria Scarabelli)
Il cavalier parigino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Palomba, 1762, Napoli)
Il cavaliere per amore (opera buffa, libretto di Giuseppe Petrosellini, 1762, Napoli; ripresa anche come Il fumo villano)
Amor senza malizia (opera buffa, 1762, Norimberga)
Le donne vendicate (intermezzo,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3, Roma; ripresa anche come Il vago disprezzato)
Le contadine bizzarre (opera buffa, libretto di Giuseppe Petrosellini, 1763, Venezia; ripresa anche come La contadina bizzarra, La
sciocchezza
in amore, Le contadine astute e Le villanelle astute)
Gli stravaganti, ossia La schiava riconosciuta (intermezzo, 1764, Teatro Valle di Roma con Venanzio Rauzzini; ripresa anche come La
schiava, Gli stravaganti, ossia I matrimoni alla moda, L’eslave, ou Le marin généreux e Die Ausschweifungen)
La villeggiatura (opera buffa,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4, Bologna)
Il parrucchiere (intermezzo, 1764, Teatro Valle di Roma con Venanzio Rauzzini)
L’incognita perseguita (opera buffa, libretto di Giuseppe Petrosellini, 1764, Venezia)
L’equivoco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Villani, 1764, Napoli)
La donna vana (opera buffa, libretto di Antonio Palomba, 1764, Napoli)
Il nuovo Orlando (opera buffa, libretto basato sull’Orlando furioso di Ludovico Ariosto, 1764, Modena)
Il barone di Torreforte (intermezzo, 1765, Roma)
Il finto astrologo (intermezzo,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5, Teatro Valle di Roma con Venanzio Rauzzini)
L’orfana insidiata (opera buffa, 1765, Napoli)
La pescatrice, ovvero L’erede riconosciuta (intermezzo, libretto di Carlo Goldoni, 1766, Roma; ripre
Radamisto (opera seria, libretto di Antonio Marchi, 1776, Napoli)
Vittorina (opera buffa, libretto di Carlo Goldoni, 1777, Londra)
Roland (tragédie lyrique, libretto di Jean-François Marmontel, dopo Philippe Quinault, 1778, Académie Royale de Musique di Parigi con Rosalie Levasseur)
Phaon (drame lyrique, libretto di C. H. Watelet, Choisy, 1778)
Il vago disprezzato (opera buffa, 1779, Parigi)
Atys (tragédie lyrique, libretto di Jean-François Marmontel nach Philippe Quinault, 1780, Académie Royale de Musique di Parigi con la Levasseur)
Iphigénie en Tauride (tragédie lyrique, libretto di Alphonse du Congé-Dubreuil, 1781, Académie Royale de Musique di Parigi)
Adéle de Ponthieu (tragédie lyrique, libretto di Jean-Paul-André des Rasins de Saint-Marc, 1781, Académie Royale de Musique di Parigi)
Didon (tragédie lyrique, libretto di Jean-François Marmontel, 1783, Fontainebleau)
Le dormeur éveillé (opéra comique, libretto di Jean-François Marmontel. 1783, Parigi)
Le faux lord (opéra comique, libretto di Giuseppe Maria Piccinni, 1783, Versailles; ripresa anche come Der verstellte Lord)
Diane et Endymion (opéra, libretto di Jean-François Espic Chevalier de Liroux, 1784, Académie Royale de Musique di Parigi)
Lucette (opéra comique, libretto di Giuseppe Maria Piccinni, 1784, Parigi)
Pénélope (tragédie lyrique, libretto di Jean-François Marmontel, 1785, Fontainebleau)
Clytemnestre (tragédie lyrique, libretto di L. G. Pitra, 1787, Parigi)
La serva onorata (opera buffa, libretto di Giovanni Battista Lorenzi, basato su Le nozze di Figaro di Lorenzo da Ponte, 1792, Napoli)
Le trame in maschera (opera buffa, 1793, Napoli)
Ercole al Termodonte (opera seria, 1793, Teatro San Carlo di Napoli; ripresa anche come La disfatta delle Amazzone)
La Griselda (dramma eroicomico per musica, libretto di Angelo Anelli, 1793, Venezia)
Il servo padrone, ossia L’amor perfetto (opera buffa, libretto di Caterino Mazzolà, 1794, Venezia)
I Decemviri (opera seria)
Il finto turco (opera buffa)

- 불확실한 작품 (Opere dubbie)
Berenice (opera seria, libretto di Benedetto Pasqualigo, 1764 ca., Napoli)
Il conte bagiano (intermezzo, 1770, Roma)
La lavandara astuta (opera buffa, 1772, Lucca)
L’enièvement des Sabines (1787, Parigi)
Der Schlosser (1793)
Sermiculo (intermezzo)
La pie voleuse, ou La servante de Valaiseau
Les mensonges officieux (opéra comique, libretto di Giuseppe Maria Piccinni, Parigi)
Les fourberies de marine (opéra comique, Parigi)
I portentosi effetti (opera buffa)
Le donne di teatro
Amante in campagna (intermezzo)
Le Cigisbé (opéra comique, Parigi)
- 관현악 작품 (Lavori per orchestra a fiati)
Hymne a l’Hymen
1799 Hymne a l’hymne pour la célébration des mariages – Testo: Pierre-Louis Ginguené
Concerto per Flauto Traverso e orchestra/pianoforte (1769)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