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7년 4월 12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 (Charles Messier, 1730 ~ 1817) 별세
샤를 메시에 (Charles Messier, 1730년 6월 26일 ~ 1817년 4월 12일)은 프랑스의 천문학자이다. 1774년 성운과 성단, 은하 등의 목록을 출간하였다. 목록의 출간 목적은 혜성을 찾는 사람들이 쉽게 천구에서 움직이는 천체와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를 지키는 천체를 쉽게 구별하도록 함이었다.
혜성관측 때 혼동하기 쉬운 천체인 성운과 성단을 가려내기 위하여 목록 (메시에목록)을 작성하기 시작하여 1771년 45개, 1781년 103개를 수록하였다. 성운과 성단을 표시할 때의 등록번호 (기호 M)가 지금도 통용된다.
바동비레르에서 태어났다. 1754년 프랑스 해군천문대의 전임사무관이 되었다. 1759년 핼리혜성의 회귀 (回歸)를 프랑스에서는 처음 관측한 후, 혜성연구에 전념하여 15개 이상의 새로운 혜성을 검출하였다. 1760년 혜성관측 때 혼동하기 쉬운 천체인 성운 (星雲)과 성단 (星團)을 가려내기 위하여 목록 (메시에목록)을 작성하기 시작하여 1771년 45개, 1781년 103개를 수록하였다. 성운과 성단을 표시할 때의 등록번호 (기호 M)가 지금도 통용된다. 1764년 영국의 왕립학회 외국인회원으로 추대되었으며, 1770년 파리 과학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 샤를 메시에 (Charles Messier)
.출생: 1730년 6월 26일, 프랑스 바동빌레
.사망: 1817년 4월 12일, 프랑스 파리
.분야: 메시에 천체
.직업: 천문학자
.배우자: Marie-Francoise de Vermauchampt (1770 ~ 1772)
.자녀: 안토인 찰스 메시에
.발견 천체: Lexell’s Comet, C/1769 P1, C/1780 U2, C/1798 G1, C/1773 T1, C/1785 A1, C/1771 G1 등
.저서: The Messier Catalogue of Charles Messier
프랑스 로렌 지방에서 니콜라 메시에와 프랑수아 그랑블레즈의 12 자식 중 10번째 아이로 태어났다. 형제자매 중 여섯은 어려서 죽었고, 아버지도 1741년 죽었다. 1744년 여섯 꼬리가 발달한 대혜성을 관측하고, 1748년 7월 25일, 마을에서 금환일식을 관측한 경험에서 자극받아 천문학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1751년 프랑스 해군 천문대의 조제프 니콜라 들릴 밑에서 천체 관측을 시작했다. 메시에의 첫 관측 기록은 1753년 5월 6일의 수성의 일면통과였다.
1764년에 왕립학회의 일원이 되었으며, 1769년 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의 일원으로 선출되었다. 1770년 6월 30일, 프랑스 과학한림원에 선출되었다.
○ 생애 및 활동
- 어린 시절
1730년 프랑스 로렌 지방의 바동빌레 (Badonviller)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니콜라 메시에 (Nicolas Messier, 1682-1741)와 어머니 프랑수아 그랑블레즈 (Francoise b. Grandblaise, ?~1765) 사이에서 12남매 중 10번째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니콜라 메시에가 법원에서 일하는 데다 지역의 영주인 살름 공작의 관리자였던 덕에 집안은 부유했으나 12남매 중 6남매가 어려서 죽는 등 다사다난 하였고, 1741년 메시에가 11살이 되던 해에 아버지인 니콜라 메시에도 사망한다. 그리하여 24세의 가장 큰 형인 히아신스 메시에가 집안의 가장이 되었다.
히아신스는 낭시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다 아버지가 하던 일을 물려받기 위해 1740년에 바동빌레로 돌아온다. 같은 해에 샤를 메시에는 집의 창문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는 사고를 당하기도 하였으며, 형인 히아신스가 8년간 집에서 여러 교육을 시켰다. 형에게 여러 교육을 받는 동안 샤를 메시에는 정확한 관찰에 대한 감각과 그 이후의 경력에서 중요시 되는 세밀한 부분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샤를 메시에는 어려서부터 밤하늘에 별과 천문현상을 관측하는 등 흥미를 느꼈다. 그가 14살 때 꼬리가 6개 달린 혜성을 관측하고 1748년 7월 25일에 고향에서 일어난 일식을 보며 그에게 천문학에 대한 자극을 주었던 것 같다.
- 천문하자로서의 발자취
.프랑스 해군에서 근무
1751년 프랑스가 재편되면서 살름 공작은 바동빌레에서 철수했으며, 히아신스 메시에는 살름 공작을 따라 바동빌레를 떠나게 된다. 이때 샤를 메시에는 21세로 막 직업을 찾던 중이였고, 친구였던 Abbé Thélosen과 그의 가족 덕분에 직업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하나는 프랑스 파리에서 큐레이터로 일하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천문학자였다.
샤를 메시에는 1751년 9월 23일 바동빌레를 떠나 10월 2일 파리에 도착했다. 좋은 손글씨 덕에 그는 프랑스 해군 소속의 천문학자인 조셉 니콜라 데슬리에게 고용되어 그의 밑에서 일하게 되었다. 첫 일감은 중국 지도를 복사하는 일이었는데 지도가 매우 크다 보니 왕립 대학의 긴 복도에서 주로 작업을 하였다. 그러던 와중에 프랑스 해군 천문대 (Hôtel de Cluny observatory)를 소개받고 그곳에서 일하며 관측자료를 기록하는 일을 맡아서 하였다. 이 천문대에서 메시에가 관측에 사용하던 망원경은 4” 굴절망원경이었다.
.혜성 사냥꾼 시절의 기록과 그 외
샤를 메시에가 최초로 문서화한 관측은 1752년 5월 6일 일어난 수성의 태양면 통과현상이였다. 그 후 여러 관측을 하며 기록을 남기던 그는 1757년 핼리혜성을 찾기 시작했다. 1757년 그는 안드로메다 은하와 위성은하이자 훗날 M32라고 불릴 은하를 관측한다. 1758년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된 핼리혜성을 찾기 위해 데슬리는 핼리 혜성의 예상 경로를 계산했고, 메시에는 그 계산을 바탕으로 차트를 만들고 관측을 한다. 다만 데슬리의 계산에 오류가 있어서 메시에는 다른 위치만을 관측하게 된다.
핼리혜성은 마침내 1758년 크리스마스 밤에 독일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요한 게오르그 팔리치 (1723 ~ 1788)가 발견하였고, 샤를 메시에도 4주 뒤, 데슬리의 계산을 미심쩍어 하던 때인 1759년 1월 21에 독자적으로 발견한다. 하지만 데슬리는 그 사실을 믿지 않았고, 그의 발견을 발표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결국 그는 1759년 4월 1일, 데슬리에게 충성 서약 비슷한 걸 한 뒤에야 겨우 발표를 할 수 있었는데 프랑스의 천문학자들은 그 사실을 믿지 않았다. 만우절 유래1770년 6월 30일에는 마침내 모국 프랑스의 파리 과학 학회에 선출되는 등 계속해서 저변을 넓혀갔다. 또한 1770년 11월 26일 40세가 된 샤를 메시에는 37세의 Marie-Françoise de Vermauchampt와 결혼하였다. 이 둘은 메시에가 프랑스 대학에 기거할 때부터 15년 동안 알던 사이였다.
1771년 1월 10일 메시에는 그해에 가장 밝고 큰 혜성을 공동으로 발견하였고, 2월 16일 샤를 메시에는 후대에 메시에 천체 목록이라 불리는 Catalog of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의 첫 버전을 파리 과학 학회에서 발표하였다. 이것은 그가 파리 과학 협회에서 발표할 수많은 발표 중 처음으로 알려져 있다. 4월 1일에는 혜성 C/1771 G1을 발견하였다. 그가 독자적으로 발견한 혜성 중 12번 째이자 최초로 발견한 7번째 혜성이다. 9월 30일 마침내 공식적으로 프랑스 해군의 천문학자가 되었고 매달 1,700프랑의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774년에 2,000프랑으로 급여가 오른다).
1771년 10월 31일 샤를 메시에와 그의 아내는 그동안 살던 프랑스 대학 내 데슬리의 아파트에서 프랑스 해군 천문대인 Hôtel de Clugny로 이사했다.
1772년 3월 15일 샤를 메시에는 두 아들 앙투안과 샤를을 얻었지만, 두 아들과 아내가 모두 그 달에 숨졌다. 여담이지만 그는 아내의 죽음보다, 그가 13번째로 발견할 뻔한 혜성을 놓친 것을 더 슬퍼하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혜성에 미친 놈에게 편지를 써 축하를 전했다. 이 관측 기록은 프랑스 파리 고등법원의 재판장이자 천문학자, 수학자였던 드 사론 (Jean Baptiste Gaspard Bochart de Saron)에게 보내져 궤도 등이 계산되었는데 천왕성은 근일점 부근을 지나는 중이며, 혜성이 아니다라는 결론이 내려진다. 거기에 더해 천왕성이 토성 궤도 밖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것이 밝혀졌다. 다른 천문학자들과 천왕성에 대한 계산을 하면서 이즈음 발견한 메시에 천체들에 대한 추가 검사를 소홀히 하게 되었다.
같이 협업하던 피에르 메셍은 1781년 6월 28일과 10월 9일 각각 혜성을 하나씩 발견하였다.
1781년 11월 6일 메시에는 25피트 정도 높이의 얼음 저장고에 빠져 심한 부상을 당한다. 그는 1782년 11월 9일까지 제대로 서지 못할 정도였다.
부상에서 회복된 지 3일 후인 1782년 11월 12일 메시에는 수성의 태양면통과를 관측했다. 그 후 계속 혜성 관측을 위해 부지런히 관측활등을 계속 했지만 더 이상 메시에 천체 목록을 위한 성운, 성단 관측에 대한 노력은 기울이지 않았다. 윌리엄 허셜이 메시에가 하던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데다 그가 이 활동에 관심을 잃은 것일수도 있다. 다만 개인 기록지에 있는 프레세페 성단과 플레이아데스 성단, 안드로메다 은하와 그 동반자들에 대한 스케치를 그리기도 하고 위치 수정을 하는 등 활동을 하였다.
1785년 이후로 많이 나타난 혜성들을 관측하였다. 1785년 1월 7일 6.5등급의 혜성 Messier-Méchain을 발견했다. 동업자 메셍은 1785년 3월 11일 다른 혜성을 발견했고, 1786년 1월 17일 엥케 혜성 (comet Encke)을 관측하였다.
1798년 4월 12일 메시에는 또 다른 혜성을 발견한다.
1801년 3월 30일부터 5월 24일까지 71세가 된 샤를 메시에는 처녀자리 알파 (α)인 스피카가 달에 의해 가려지는 엄폐 현상 관찰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7월 12일에는 공동으로 혜성 폰즈 (comet Pons)를 발견했는데 이것이 메시에의 혜성 사냥꾼 시절 마지막 사냥감이 되었다. 또 새로 발견된 행성인 세레스와 팔라스를 관측하였다.
메시에의 마지막 혜성 관측은 1807년이다. 이때 나이 77세.
메시에가 발견한 혜성은 13개다.
C/1760 B1 (Messier) c/2760
C/1763 S1 (Messier)
C/1764 A1 (Messier)
C/1766 E1 (Messier)
C/1769 P1 (Messier)
D/1770 L1 (Lexell)
C/1771 G1 (Messier)
C/1773 T1 (Messier)
C/1780 U2 (Messier)
C/1788 W1 (Messier)
C/1793 S2 (Messier)
C/1798 G1 (Messier)
C/1785 A1 (Messier-Méchain)
또한 혜성 C/1801 N1은 폰스, 엠체인, 부바르드와 공동으로 발견했다.
- 메시에 천체 목록 작성
1758년 8월 14일 핼리혜성을 찾다가 다른 혜성을 관측하는 데 성공하였고 11월 2일까지 그 혜성을 추적하며 관측했다. (이 혜성은 C/1758 K1 De La Nux 혜성이며 De La Nux가 1758년 5월 26일에 먼저 발견하였다.) 이 혜성을 관측하던 1758년 8월 28일 샤를 메시에는 황소자리에서 혜성과 같은 물체를 관측하게 된다. 다만 이 물체는 움직임이 전혀 없었기에 혜성이 아닌 것이라 판단하였다. 1758년 9월 12일, 샤를 메시에는 혜성과 닮은 천체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여 기록하였는데 이 천체가 바로 메시에 천체 목록의 첫 번째 천체인 M1 게 성운이다.
1760년 9월 11일 이전에 장-도미닉 마랄디가 발견했던 M2를 독자적으로 재발견한 후 이를 차트에 기록하였다.
이후 1764년 혜성을 찾는 중 M3을 최초로 발견하면서 그는 혜성과 혼동할 만한 천체들을 찾아 기록하는 것을 혜성 관측과 같이 하기로 한다. 이것은 자신보다 한 세대 앞 천문학자인 르 장티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기존에 이미 알려져 있던 천체를 찾아 기록하는 것부터 새로운 천체를 찾아내는 것까지 가리기 위해 좀 더 꼼꼼히 밤하늘 구석구석을 찾기 시작한다.
샤를 메시에가 메시에 천체 목록을 작성하면서 기존의 자료를 많이 이용하였는데 그 목록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에드먼드 핼리의 여섯 천체 목록 (Edmond Halley’s list of 6 objects)
요한 헤벨리우스의 별 목록 (Hevelius’s star catalog)를 추출해서 만든 윌리엄 더햄의 목록 (The catalog of William Derham)
Prodomus Astronomiae라는 책의 프랑스어 번역판
니콜라 라카유의 1755년 남쪽하늘의 성운들 목록 (Catalog of Southern “Nebulae” of 1755)
장 도미닉 마랄디의 천체 목록
르 장티의 천체 목록
드 셰소의 천체 목록
그는 1764년 한 해 동안 M3을 찾아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여 M40까지 찾아서 위치와 생김새를 기록하였다.
1765년 초에는 산개성단 M41을 발견했다. 이 해에 데슬리는 은퇴하였고, 샤를 메시에는 그의 업무까지 맡아 호텔 드 클루니 천문대 (Hôtel de Cluny observatory)에서 계속 관측을 이어갔다.
1769년 3월 4일 기존의 M41까지의 관측 자료와 추가로 관측한 M42부터 M45까지의 천체를 추가한 첫 번째 버전의 메시에 천체 목록을 완성하였다.
1771년 2월 16일 샤를 메시에는 후대에 메시에 천체 목록이라 불리는 Catalog of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의 첫 버전을 파리 과학 학회에서 발표하였다. 이것은 그가 파리 과학 협회에서 발표할 수많은 발표 중 처음으로 알려져 있다. 발표 3일 후 그는 M46부터 M49까지 4개의 천체를 더 발견하여 관측하였다. 그러나 이 중 M47과 M48은 메시에의 기록 중 부호를 잘못 적는 실수 때문에 약 200년간 실종되다시피 하였다. 그러다 1959년 T.F.모리스가 오류를 정정하여 겨우 제자리를 찾게 된다. M49는 최초로 발견된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한 은하다. 다만 이때에는 은하라는 개념이 없던 때라 단순히 별이 없는 성운 정도로 생각했다.
1771년 6월 7일에는 M62를 발견하지만 대략적인 위치만 측정하고 넘어갔다가 1779년에 다시 관측하였다.
1772년 4월 5일 M50을 발견하여 위치 및 생김새를 기록하였다.
1773년 8월 10일 그는 안드로메다 성운의 동반자인 M110을 발견하였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메시에 천체 목록에는 추가하지 않았다.
1774년 그는 M51과 M52를 발견하였다.
1777년까지 샤를 메시에는 그 어떤 혜성과 성운, 성단들을 발견하지 못했다. 1777년 샤를 메시에는 2년 전 요한 엘레르트 보데(Johann Elert Bode)가 발견한 M53을 관측하고 목록에 작성하였다.
1778년 그는 1764년에 과거 라카유 (Lacaille)가 찾았다고 보고했던 성운들을 찾았지만 실패했던 M54와 M55를 찾는 데 성공하였다.
1779년 1월 19일 보데와 공동으로 혜성을 찾은 이후 5월 19일 까지 처녀자리부근의 처녀자리 은하단을 살피며 M56부터 M61까지 6개의 천체를 찾아내는 데 성공한다. M61은 1779년 5월 5일 Oriani라는 천문학자가 처음 발견하였고 메시에도 같은 날 찾았지만 그는 M61을 혜성으로 착각하였다가 5월 11일 혜성이 아님을 알아낸다.
1779년 1771년에 놓친 M62를 다시 관측하여 목록에 기록한다. 6월 14일 피에르 프랑소와즈 앙드레 메케인 (Pierre François André Méchain)이 처음 발견한 M63을 혜성을 찾기 위해 하늘을 훝던 중 비슷한 시간에 발견하게 된다.
1780년 1월 에드워드 피곳 (Edward Pigott)과 요하네스 엘레르트 보데 (Johann Elert Bode)가 1779년에 찾은 M64를 독자적으로 발견하였다. 또한 M65와 M66도 이 해에 발견한다. 1773년 한 혜성이 M65와 M66 사이로 관통하고 지나가는 것을 메시에는 관측했지만 이때에는 이 두 천체를 알아채지 못한 것 같다. 4월에는 메시에 67과 M68을 발견하여 목록에 기재하였고 이로써 메시에 천체 목록의 두 번째 버전에 대한 관측이 완료되었다.
두 번째 버전의 메시에 천체 목록은 M68까지의 천체를 포함하여 1780년 프랑스 연감에 발표되었고, 부록으로 M69와 M70을 추가하여 같은 해에 Connaissance des Temps 1783호에 발표되었다.
1780년 8월 말부터 샤를 메시에는 피에르 메셍 (Pierre Méchain)과 같이 더 많은 성단과 성운을 기록하기 위해 활발히 노력하였다. 이때 M69와 M70을 발견하였다. 1780년 말에 샤를 메시에는 M79를 발견해 기록하였다.
1781년 4월까지 메시에 천체 목록은 M100까지 100개로 늘어났다.
1781년 3월, 피에르 메셍이 발견한 M105를 찾다가 간과하여 놓친 뒤 최종 메시에 천체 목록에서 누락되기에 이른다.
1781년 메시에 천체 목록의 최종 버전이 Connoissance des Temps 1784호에 실려지며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 때 발표된 천체의 수는 103개인데 원래는 100개를 발표하려다 피에르 메셍에 의해 관측된 M101~M103을 추가로 검증하지 않고 올려 최종적으로 103개가 되었다. 이는 1781년 3월 13일 윌리엄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했다는 소식이 전해져 새로이 관측하며 검증 및 계산을 하느라 새로운 메시에 천체에 대한 추가 검사가 소홀해졌기 때문이다.
1781년판이 출판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781년 5월 11일 샤를 메시에는 M104를 발견한 후 M102와 M103의 위치기록까지 개인기록지에 옮겨둔다. 이렇게 개인적으로 기록한 된 천체들은 M97과 M108, M109가 더 있다.
1782년 4월 피에르 메셍이 마지막으로 M107을 발견하였다.
이후 103개의 메시에 천체 목록은 후대의 천문학자들이 메시에의 개인 기록 등을 찾아 연구하며 오류를 정정하고, 관측과 기록은 했지만 추가 검수를 하지 않아 누락되거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빠진 7개의 천체를 포함하여 1966년 최종적으로 110개가 되었다.
- 말년
말년에 1769년 나폴레옹의 탄생에 대혜성을 연결하는 소책자를 직접 출판했다.
1815년 샤를 메시에는 뇌졸중으로 쓰러지며 왼쪽 반수가 마비가 된다. 부분적으로 회복 되었고 그는 한두 개의 학회 회의를 다녔지만 일상 생활은 점점 더 힘들어진다. 그러던 1817년 4월 12일 새벽, 프랑스 파리의 자택에서 만 86세로 숨을 거둔다. 그의 시신은 4월 14일 파리의 페르 라셰즈 묘지 11구역에 묻히게 되었다.
묘지는 희미하게 새겨져 있으며, 근처에 프레데리크 쇼팽의 무덤이 있다.
○ 업적
- 메시에가 발견한 13개의 혜성
C/1760 B1 (Messier) c/2760
C/1763 S1 (Messier)
C/1764 A1 (Messier)
C/1766 E1 (Messier)
C/1769 P1 (Messier)
D/1770 L1 (Lexell)
C/1771 G1 (Messier)
C/1773 T1 (Messier)
C/1780 U2 (Messier)
C/1788 W1 (Messier)
C/1793 S2 (Messier)
C/1798 G1 (Messier)
C/1785 A1 (Messier-Méchain)
또한 혜성 C/1801 N1은 폰스, 엠체인, 부바르드와 공동으로 발견했다.
- 메시에 천체 목록
메시에는 밤하늘에 혜성으로 착각하여 보일 수 있는 천체들을 정리했다. 메시에 목록은 그의 친구이자 조수인 피에르 메셍과 협력하여 작성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은하, 4개의 행성상 성운, 7개의 다른 종류의 성운 그리고 55개의 성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목록은 프랑스 파리의 클루니 국립 박물관에서 100mm 굴절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된 천체가 기록되어 있다. 관측된 천체는 천구의 북극에서 부터 적위 -35.7°에 분포하고 있으며, 천체의 종류나 위치 등의 과학적인 체계로 따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다.
1774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학술지에 출판된 메시에 목록의 첫판에는 45개의 천체가 등재되어 있었다. 최종판인 1781년 판에는 그 수가 늘어 103개 천체가 올라 있었다. 그 후 천문학자와 역사학자 등이 메시에와 그의 친구, 조수인 피에르 메생 등이 일곱 천체를 더 관측했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 일곱 천체를 목록에 추가하여 M1부터 M110까지를 공식적인 메시에 천체라 부르며 전문가 및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 기타
달의 메시에 크레이터 (Crater Messier)와 소행성 7359 메시에 (Asteroid 7359 Messier)는 그의 업적을 기려 이름이 붙여졌다.
1996년 1월 16일에 클렛 천문대에서 찾은 소행성 7359의 이름 또한 ‘메시에’이다.
메시에 천체 목록에 수록된 천체들은 대체로 정확하지만 메시에도 사람인지라 오류가 존재했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