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5년 4월 8일, 독일의 철학자•교육학자•정치가•베를린대학교 공동설립자 ‘빌헬름 폰 훔볼트’ (Friedrich Wilhelm Christian Carl Ferdinand von Humboldt, 1767 ~ 1835) 타계
프리드리히 빌헬름 크리스티안 카를 페르디난트 폰 훔볼트 (Friedrich Wilhelm Christian Carl Ferdinand von Humboldt, 1767년 6월 22일 ~ 1835년 4월 8일)는 독일의 철학자, 교육학자, 정치가이다. 그는 베를린 대학교의 공동설립자이기도 하다.
교육학, 언어학, 정치학 등 다방면에 걸쳐 박학다식했던 인물로, ‘인간의 인간다움 그 자체만을 위한 주체적 자아 형성을 위한 교육’이라는 대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보편주의적, 인본주의적, 이성주의적 교육관을 흔히 훔볼트 모델이라 칭한다.

– 프리드리히 빌헬름 크리스티안 카를 페르디난트 폰 훔볼트 (Friedrich Wilhelm Christian Carl Ferdinand von Humboldt)
.출생: 1767년 6월 22일, 독일 포츠담
.사망: 1835년 4월 8일 (68세), 독일 테겔
.학력: 괴팅겐 대학교 (1788년–1789년)
.저서: The Sphere and Duties of Government, Briefe an Eine Freundin 등
.자녀: 가브리엘레 폰 뷜로, Adelheid von Hedemann, 캐롤라인 폰 훔볼트
.형제자매: 알렉산더 폰 훔볼트
1767년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인 베를린 근교에 위치한 포츠담에서 부유한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프로이센 개혁 시대이자 이른바 ‘괴테의 시대’를 살았던 그는 평생에 걸쳐 인간의 본성을 중심에 둔 교육, 언어 그리고 국가의 역할을 탐구한 인본주의 사상가이자 교육가,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가였다. 유년 시절부터 당대의 유명한 지성인들을 가정교사로 두고 고전어와 현대어, 수학, 경제학, 통계학, 법학 등 학문 전 분야에 걸쳐 세심하고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그의 교육관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독일 최초의 근대식 대학으로서 계몽주의 이념이 지배적이던 괴팅겐 대학에서는 철학과 역사, 고전어를 전공했다. 실러, 괴테 등 바이마르 고전주의자들과 긴밀히 교제했으며, 특히 실러를 자신의 학문적 이상으로 삼았다.
1801년부터 프로이센의 교황청 주재 외교 사절로 로마에서 6년을 보냈는데, 로마에서의 경험들은 인간적인 만족과 행복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영원한 영감을 제공했다. 귀국 후에는 문화교육국장으로 임명되어 당대 프로이센의 교육 제도를 개혁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교육의 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무엇보다 인간의 자유를 최우선으로 두었으며, 개개인의 능력을 균형 잡힌 최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 과정에서 모든 국가적 통제가 배제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그가 주도한 교육 개혁 정책에 반영되었으며, 훗날 훔볼트 대학으로 개칭된 베를린 대학의 설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정치가로서 현역에서 물러난 후에는 베를린 근교의 테겔 성에서 15년간 지내면서 20세기 언어학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비교 언어 연구에 몰두했고, 1835년에 향년 68세로 활동과 관조가 조화를 이룬 생애를 마쳤다.
○ 생애 및 활동
프리드리히 빌헬름 크리스티안 카를 페르디난트 폰 훔볼트 (Friedrich Wilhelm Christian Carl Ferdinand von Humboldt, 1767년 6월 22일 ~ 1835년 4월 8일)는 대학 설립을 주체적으로 건의해서 관철시킨 명실상부한 대학 창립자다.
예나 대학교에서 수학하면서 저명한 문학가 실러와 평생 계속될 교분을 맺었다. 문학적 명성을 얻은 훔볼트는 1801년 교황령 주재 프로이센 공사의 직책을 맡게 되었다. 로마에서도 예술과 문학을 아낌없이 후원하여 그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으며 1809년에는 본국으로 돌아와 교육장관을 맡게 되었다.
이어 1812년에는 오스트리아 주재 프로이센 대사로 임명되었다. 빈에 부임한 훔볼트는 1813년 열린 프라하 회의에서 당시 나폴레옹의 아내이며 합스부르크가의 일원인 마리 루이즈 (신성로마제국 황제 프란츠 1세의 장녀)의 문제로 참전을 주저하고 있던 메테르니히를 설득하여 오스트리아를 러시아와 프로이센의 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후 빈 회의에 하르덴베르크 공작을 수행하여 프로이센의 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석하였다.
언어학자로서 그의 명성은 외교관 생활 말년 (1817년경) 바스크어에 대하여 연구하여 이 분야에 대한 학계의 주목을 환기한 것으로 유명하다. 자바 섬의 고대 카위 어에 대한 그의 연구는 생전에 끝나지 못했는데, 그의 동생과 부슈만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척시켜 1836년 간행했다.
정치가로서 현역에서 물러난 후에는 베를린 근교의 테겔 성에서 15년간 지내면서 20세기 언어학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비교 언어 연구에 몰두했고, 1835년에 향년 68세로 활동과 관조가 조화를 이룬 생애를 마쳤다.
그의 남동생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지질학자, 박물학자, 탐험가로 유명하였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강사로 활동했다. 대학 창립 멤버로 소개되곤 하지만 실제로는 형인 빌헬름을 설립자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독일 베를린에 있는 공립대학교이다. 현지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약칭은 “하우 (HU)”와 “훔볼트”.
빌헬름 폰 훔볼트에 의해 1810년 베를린 대학교 (Universität zu Berlin)로 창립되었으며, 1826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이름을 따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대학 본관이 자리잡고 있는 거리명을 따서 운터덴린덴 대학교 (Universität unter den Linden)라 부르기도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학 소재지가 소련군 점령지역에 속하게 되었고, 이후 수립된 독일민주공화국 (동독) 치하에서 프로이센 국왕의 이름을 계속 달고 있을 수는 없었으므로 1949년에 대학 창립자였던 훔볼트 형제를 기념하여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로 명칭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공산주의에 반대하던 대학 관계자들이 1948년 서베를린에 세운 대학이 베를린 자유대학교다. 사실상 양 대학은 근원이 같은 셈이다.

○ 저서들
대표작으로 ‘국가 활동의 한계 규정 시도를 위한 생각들’, ‘역사 저술가의 과제에 대하여’, ‘자바섬의 카위어에 대하여’ 등이 있다.
– Bibliography
Socrates and Plato on the Divine (orig. Sokrates und Platon über die Gottheit). 1787–1790
Humboldt. On the Limits of State Action, first seen in 1792. Ideen zu einem Versuch, die Grenzen der Wirksamkeit des Staates zu bestimmen, p. ii. Published by E. Trewendt, 1851 (German)
Ueber den Geschlechtsunterschied. 1794
Ueber männliche und weibliche Form. 1795
Outline of a Comparative Anthropology (orig. Plan einer vergleichenden Anthropologie). 1797.
The Eighteenth Century (orig. Das achtzehnte Jahrhundert). = 1797.
Ästhetische Versuche I. – Ueber Göthes Herrmann und Dorothea. 1799.
Latium und Hellas (1806)
Geschichte des Verfalls und Untergangs der griechischen Freistaaten. 1807–1808.
Pindars “Olympische Oden”. Translation from Greek, 1816.
Aischylos’ “Agamemnon”. Translation from Greek, 1816.
Ueber das vergleichende Sprachstudium in Beziehung auf die verschiedenen Epochen der Sprachentwicklung. 1820.
Ueber die Aufgabe des Geschichtsschreibers. 1821.
Researches into the Early Inhabitants of Spain with the help of the Basque language (orig. Prüfung der Untersuchungen über die Urbewohner Hispaniens vermittelst der vaskischen Sprache). 1821.
Ueber die Entstehung der grammatischen Formen und ihren Einfluss auf die Ideenentwicklung. 1822.
Upon Writing and its Relation to Speech (orig. Ueber die Buchstabenschrift und ihren Zusammenhang mit dem Sprachbau). 1824.
Notice sur la grammaire japonaise du P. Oyanguren (1826), a review of Melchor Oyanguren de Santa Inés’s Japanese grammar, read online.
Ueber die unter dem Namen Bhagavad-Gítá bekannte Episode des Mahá-Bhárata. 1826.
Ueber den Dualis. 1827.
On the languages of the South Seas (orig. Über die Sprache der Südseeinseln). 1828.
On Schiller and the Path of Spiritual Development (orig. Ueber Schiller und den Gang seiner Geistesentwicklung). 1830.
Rezension von Goethes Zweitem römischem Aufenthalt. 1830.
The Heterogeneity of Language and its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Mankind (orig. Ueber die Verschiedenheit des menschlichen Sprachbaus und ihren Einfluss auf die geistige Entwicklung des Menschengeschlechts). 1836. New edition: On Language. On the Diversity of Human Language Constru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Human Spe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nd rev. edition 1999.
– Collected writings
Humboldt, Wilhelm von. Gesammelte Schriften. Ausgabe der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Vols. I–XVII, Berlin 1903–36. (Cited as GS; the Roman numeral indicates the volume and the Arabic figure the page; the original German spelling has been modernized.)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