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6년 2월 21일, 프랑스의 작곡가 레오 들리브 (Clément Philibert Léo Delibes, 1836 ~ 1891) 출생
클레망 필리베르 레오 들리브 (프: Clément Philibert Léo Delibes, 1836년 2월 21일 ~ 1891년 1월 16일)은 프랑스의 작곡가이다.

– 클레망 레오 들리브 (Clément Philibert Leo Delibes)
.출생: 1836년 2월 21일, 프랑스 사르트
.사망: 1891년 1월 16일, 프랑스 파리
.국적: 프랑스
.배우자: 레온틴 에스텔 데나인 (1871년)
.형제자매: 미셸 들리브스
.학력: 파리 음악원
.대표작: 발레곡 <코펠리아>, <실비아>, 오페라 <라크메> 외에 가곡 등
파리 음악원에서 아당 등에게 배워 1853년 테아트르 리릭의 반주자 및 교회 오르가니스트가 되었으나 이윽고 오페라 코미크나 오페레타, 발레 음악의 작곡가로서 유려한 작풍으로 널리 애호되고 알려졌다.
1881년에 음악원 작곡법 교수, 1884년에 예술원회원이 되었다.
대표작으로는 발레곡 <코펠리아>, <실비아>, 오페라 <라크메> 외에 가곡 등이 있다.
한편 그와 거의 같은 세대의 극음악 작가로 에르네스트 레이에 (1823 ~ 1909), 테오도르 뒤부아 (1837 ~ 1924), 샤를마리 비도르 (1845 ~ 1937) 등이 있다.

○ 생애 및 활동
들리브 (Leo Delibes, 1836 ~ 1891)는 1836년 2월 21일, 19세기 프랑스 발레극 작곡가로 전형적인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래서 그는 자연스럽게 음악을 익힐 수 있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23년 동안 오페라 가수로 노래를 했으며, 삼촌은 오르간 연주자였다.
또 어머니는 결혼 후 활동을 중단하기는 했지만 호평을 받던 음악가로, 들리브의 천부적인 음악적 재능을 키워 주기 위해 온 가족을 파리로 이사까지 시키는 열의를 보였다.
그리하여 12세가 된 들리브는 파리 음악원에서 오르간을 배우고, 발레극 <지젤>의 작곡가인 아돌프 아당 (Adolphe Adam)에게서 작곡을 배웠다.
27세 때 리리크의 반주자가 되는 동시에 교회 오르간 연주자의 자리에 오른 들리브는 수많은 작품을 썼으나 파리 오페라 극장 발레단의 지휘자가 되면서 발레 음악 작곡가로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1870년 5월 25일, <코펠리아>가 파리 오페라 극장에 처음으로 공연되면서부터 들리브는 이름을 떨치기 시작했다. 이 발레극은 독일 낭만주의 문학가인 호프만 (E. T. A. Hoffmann)의 소설 <밤의 신>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인형을 만드는 한 장인이 자신의 작품인 코펠리아에게 도취되어 일어난 사건을 익살스럽고 재치있게 그려 내고 있다.
헝가리 민속 무용인 차르다시가 이 공연에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시작으로 각국의 민속 무용이 발레에 쓰이게 되었다.
오늘날 연주되는 그의 대표작으로는 발레 음악 <코펠리아>, <실비아>, 오페라 <리크메> 등이 있다.
들리브는 오페라도 작곡했지만 지금은 대부분 잊혀졌고 가끔이나마 공연되는 것은 <라크메 (1883)>가 유일하다. 19세기 영국 통치하의 인도가 배경인데, 바라문 고승의 딸인 무녀 (巫女) 라크메와 인도 주둔 영국군 장교 제럴드의 금지된 사랑이 그 내용이다.
가장 유명한 곡은 1막에 나오는 ‘꽃의 이중창’이다. 라크메가 시녀 말리카와 함께 연꽃을 따러 배를 타고 가면서 부르는 곡으로, 이국적인 선율이 독특한 화성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아름답고 신비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오펜바흐의 ‘호프만의 이야기’ 중 ‘베네치아의 뱃노래’와 쌍벽을 이룰 만한 소프라노와 메조소프라노의 멋진 이중창이다.

○ 작품
대표작으로는 발레곡 <코펠리아>, <실비아>, 오페라 <라크메> 외에 가곡 등이 있다.
A
À ma mignonne S
Agnus Dei
Arioso
Au bord de l’eau
Ave maris stella
Ave verum
Avril
B
Blanche et rose
Bonjour, Suzon!
C
Chanson de Barberine
Chanson de l’oiseleur
Chanson hongroise
Chanson slave
Chant de l’almée
Chrysanthème
Chœur des frileuses
Coppélia
D
Départ
Deux vieilles gardes
Dumka
E
Églogue
Épithalame
F
Faut-il chanter?
G
Grande nouvelle
H
Heure du soir
Hymne de Noël
J
Jean de Nivelle
Jours passés
K
Kassya

L
Lakmé
La cour du roi Pétaud
La mort d’Orphée
La source
La fille du golfe
Les filles de Cadix
L’écheveau de fil
L’écossais de Chatou
Leçon à déchiffrer pour la contrebasse
Le meilleur moment des amours
Les animaux de Grandville
Les norvégiennes
Les nymphes des bois
Le jardinier et son seigneur
Le roi l’a dit
Le roi s’amuse
Le rossignol
Le serpent à plumes
Les trois oiseaux
L’omelette à la Follembuche
M
Marche de soldats
Messe brève
Monsieur Griffard
Morceau à déchiffrer pour la harpe
Morceau à déchiffrer pour la trompette
Morceau à déchiffrer pour le trombone
Myrto
P
Pas de fleurs
Peine d’amour
Q
Quand je la vis pour la première fois
Que l’heure est donc brève!
R
Regrets!
Rigaudon
S
Sancta Maria mater Christi
Sérénade à Ninon
Sérénade de Ruy-Blas
Six demoiselles à marier
Sylvia
V
Voyage enfantin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