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0년 5월 13일, 프랑스의 소설 작가 ‘알퐁스 도데’ (Alphonse Daudet, 1840 ~ 1897) 출생
알퐁스 도데 (Alphonse Daudet)는 1840년 5월 13일 프랑스 님에서 태어나 1897년 12월 16일 파리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소설 작가이자 극작가이다.
프랑스 남부의 랑그도크 지방의 님 (Nîmes)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뱅상 도데는 비단 제조업을 하고 있었지만 불운을 부르는 사람이었고 하는 일마다 실패해서 알퐁스 도데의 어린 시절은 상당히 불우했다. 알퐁스 도데는 자라서 리용 (Lyon)을 떠나 알레스 (Alès)로 가서 교사 생활을 했지만 말을 잘 듣지 않는 학생들 때문에 심한 노이로제에 시달렸다고 한다. 결국 1년여 만에 교사직을 그만두었으며 후에 그의 회고로는 “알레스를 떠난 몇달 뒤에도 나 자신이 말을 듣지 않는 학생들 가운데 서 있는 듯한 오싹한 느낌을 받았다”라고 말하고 있다.
교사 생활을 그만둔 뒤 3살 연상의 형과 함께 살았는데 형은 파리에서 기자가 되고 싶어했다. 알퐁스도 형을 따라서 시를 썼는데 쓴 시들을 모아 ‘사랑하는 여자들’을 출판했다. 이는 나름대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르 피가로지’가 도데를 기자로 기용했고, 2~3편의 희곡을 써서 장래성을 주목받았다. 한편으로 나폴레옹 3세의 대신이자 입법회의 의장인 샤를 드 모르니 후작의 후원을 받아서 모르니 후작이 사망하는 1865년까지 모르니 후작의 비서로서 활동했다.
1866년, 첫 소설을 써서 크게 성공하게 된 그는 이후 소설가의 길을 걸었다. 1868년에 ‘Le Petit Chose’라는 첫 자전적 장편 소설을 썼지만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이후 ‘밝은 타타린’과 3막짜리 희곡 ‘아를의 여인’을 썼지만 역시 흥행에 실패한 뒤, 집필한 희곡 ‘프로몽과 리제르’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프랑스뿐만 아니라 영어권에도 주목을 받을 정도였다.
이후로 ‘나바브’ 등의 여러 편의 소설과 희곡을 쓰는 등 작가로서의 위상은 뚜렷해졌다. 1867년에 쥴리아 아라드와 결혼했는데 그의 부인도 문학적 재능이 있었다고 한다.
1883년 도데는 자신이 아카데미 회원이 될 가능성이 없다고 쓴 기자와 결투를 벌였고 자신의 부인에 대한 안좋은 기사를 쓴 기자와도 결투를 신청할 정도였다고 한다. 말년에는 건강이 악화되어 약을 잘못 쓴 탓에 불면증에 시달리다가 1897년 12월 16일에 세상을 떠났다.

– 알퐁스 도데 (Alphonse Daudet)
.출생: 1840년 5월 13일, 프랑스 님
.사망: 1897년 12월 16일 (56세), 프랑스 파리
.직업: 작가, 극작가, 시인, 소설 작가, 시나리오 작가
.국적: 프랑스
.필명: 피콜로
.부모: 父) 뱅상 도데, 母) 아들린 도데
.배우자: 쥘리아 도데
.자녀: 레옹 도데, 뤼시앵 도데, 에드메 도데
.주요 작품: 타라스콩의 타르타랭, 방앗간 편지, 소소한 이야기, 스갱 아저씨의 염소, 아를의 여인
.영화: Letters from My Windmill, The Little Thing, La Mujer sin Alma, Inspiration
.연극: L’Arlésienne
.영향 받은 인물: 에밀 졸라, 에드몽 드 공쿠르
알퐁스 도데 (Alphonse Daudet)는 남프랑스 님에서 출생. 리옹의 고등중학교에 들어갔으나 가업이 파산하여 중퇴하고, 알레스에 있는 중학교 사환으로 일하면서 청소년 시절을 보냈다. 1857년 형이 있는 파리에 가서 문학에 전념하며 시집인 ‘사랑에 빠진 연인들 : Les Amoureuses’을 발표, 이것이 당시의 입법의회 의장 모르니 공작에게 인정받아 비서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문학에 더욱 정진하게 되었다. 그 후에 남프랑스의 시인 미스트라르를 비롯하여 플로베르, 졸라, E. 공쿠르, 투르게네프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아내 쥘리의 내조로 행복한 57년의 생애를 파리에서 보냈다. 그는 친교를 맺은 문인들과 더불어 자연주의의 일파에 속했으나 선천적으로 민감한 감수성, 섬세한 시인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시적인 면이 넘치는 유연한 문체로 불행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고향 프로방스 지방에 대한 애착심을 주제로 하여 인상주의적인 자신만의 작풍을 세웠다. 그의 문장은 보여 줄 것이 많은 예술가의 문장이자 시니컬하면서도 동정심을 담은 시인의 문장이다. 익살스런 농담에서부터 더없이 섬세한 환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재치를 가지고 있었기에 학자들부터 군중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독자층을 매혹했다. 자신을 과시하지 않는 경험담으로 작품에 활기를 부여할 줄 알았던 그는, 세월이 흘렀어도 빛바래지 않은 다양한 작품으로 “아름다운 문학”을 느끼게 한다.

○ 생애 및 활동
알퐁스 도데는 1840년 5월 13일 프랑스 님에서 정통왕당파이던 가톨릭 가문의 자식으로 태어났다.
세벤 출신의 아버지 뱅상 도데는 방직공이자 비단 상인이었고. 어머니 아들린은 아르데슈 출신의 부유한 상인, 앙투안 레노의 딸이었다. 도데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님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마을 브주스에서 보낸다. 이후 그는 카니베 사립학교에서 수업을 받는다. 도데의 아버지가 방직 공장을 그만 운영하게 되며 도데 가족은 1849년 리옹으로 이사하고, 도데는 리옹의 앙페르 고등학교에 6학년으로 들어간다. 1855년 아버지가 완전히 파산하자 도데는 바칼로레아 입시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도데는 알레스 중학교의 교사가 된다. 이 고된 경험은 그로 하여금 형의 죽음과 같은 허구와 사실이 섞인 자신의 첫 소설, ‘소소한 이야기’ (1868)을 쓰는데에 영감을 주었다.
문학 활동을 꿈꾸던 도데는 1857년 11월 파리에서 형 에르네스트 도데와 재회한다. 도데는 무일푼이었으나 행복하게 자유분방한 삶을 누린다. 그러나 외제니 황후 주변의 부인들과 어울리면서 그는 평생 동안 고통을 안겨준 심각한 매독 증상, 특히 이동성 운동실조증을 얻게 되며 걸을 때면 목발을 짚어야 했다. 여러 신문사 (특히 파리주르날, 뤼니베르셀, 르 피가로)에 몸을 담으며 도데는 1858년 운문 모음집 ‘연인들’을 출간하고, 같은해 방탕한 어린 모델이던 마리 리외와 관계를 가진다. 리외는 도데의 공식 정부가 되며, 도데의 소설 ‘사포’에 영감을 준다. 다음 해 도데는 작가 프레데릭 미스트랄과 만나고, 이는 최고의 우정의 시작이 되었다. 40년 가까이 두 사람이 주고받은 두툼한 분량의 편지는 도데가 ‘아를의 여인’ (1869)과 남프랑스 기질의 풍자가 담긴 소설 ‘뉘마 루므스탕’ (1881)을 출간할 때가 되서야 색이 바랬다.
– 프로방스의 작가
프로방스 작가의 전형이라 불리는 알퐁스 도데는, 현재 관광객들이 찾는 방앗간에 한번도 간 적이 없으며, 퐁비에유에서는 단 몇달밖에 살지 않았으나, 어찌됐든 그가 ‘방앗간 편지’에서 프로방스에 관한 놀라운 견문을 보여준 것은 사실이다. 더욱이, 도데를 통해 인기를 얻은 글 들 가운데 몇몇은 주로 폴 아렌, 레옹 아라르, 블랑쇼 드 브르나와 도데의 아내 쥘리아 도데같은 다를 작가들과의 공동 작업물이다.
– 반유대주의
정치적으로는 아버지도 왕당파였고 도데 자신도 나폴레옹 3세의 대신의 비서를 지낼 정도로 보수적인 위치에 서있는게 분명해 보인다. 또 반유대주의적인 면모까지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물려받은 그의 아들 레옹 도데는 극우 정치 단체 악시옹 프랑셰즈의 회원이었고 비시 프랑스를 옹호하고 나치에 부역하기까지 했다.

○ 대표작
알퐁스 도데의 소설은 서정적이며 그의 소설 속의 등장인물들은 현실성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소설의 서정성은 그가 남프랑스 출신이라는 점과도 깊은 연관을 갖는 듯하다.
생전에 알퐁스는 찰스 디킨스와 스타일이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도데 자신은 디킨스와 다르다고 주장했다.
디킨스와 비교해 보면 유사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도데가 디킨스를 모방한 건 아니며 분명하게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가 있다.
정치적으로는 아버지도 왕당파였고 도데 자신도 나폴레옹 3세의 대신의 비서를 지낼 정도로 보수적인 위치에 서있는게 분명해 보인다.
또 반유대주의적인 면모까지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물려받은 그의 아들 레옹 도데는 극우 정치 단체 악시옹 프랑셰즈의 회원이었고 비시 프랑스를 옹호하고 나치에 부역하기까지 했다.
그의 소설 중 마지막 수업과 별은 한국 교과서에 오랫동안 실려 있으며 특히 보불전쟁을 다룬 소설이 많다.
말년엔 ‘황금 뇌를 가진 사나이’라는 소설을 썼다.
줄거리는 황금 뇌를 가진 아이가 머리를 다칠 때 피에 황금 조각이 발견되었을 때 어머니는 누가 유괴해 갈까봐 비밀에 부치다가 나중에 아들에게 알려줬다.
그러자 아들은 뇌에 든 황금을 막 쓰다가 정신이 나쁘게 변했고 중간에 황금이 바닥나게 되면 결국 자기 생이 온전치 않게 되리라는 걸 알고 황금 쓰기를 자제한 적도 있었으나, 아들과 친한 친구 중 한 명이 아들의 뇌가 황금이라는 사실을 어쩌다가 알아내고는 몰래 밤중에 기어 들어와서 뇌 속의 황금을 조금 남겨두고 훔쳐갔다.
그후에도 예쁜 여성을 만나 사랑에 빠졌을 때 불행히도 그 여자가 허영심이 많아서 머리의 황금을 계속해서 썼으며 어느 날 여성이 사망하자 그녀의 장례식을 위해 모든 황금을 쓰게 된 남자는 기억력이 희미해져서 여인의 죽음을 잊어버리고 구두를 선물로 사주기 위해 머리에 붙은 황금 부스러기와 바꾼 뒤 그의 모습을 다시 볼 수 없었다는 슬픈이야기다.

○ 연보
– 연도 / 사건
1840 5월 13일 : 님에서 비단 상인 뱅상 도데와 아들린 레노의 아들, 알퐁스 도데가 태어남. 알퐁스는 두명의 형이 있었음. 1832년 태어난 앙리와 1837년 태어난 에르네스트
1845-1847 기독교 형제단 학교의 학생
1849 도데 가족이 리옹으로 이사감
1850 앙페르 고등학교 진학
1855 알레스 중학교의 복습교사
1858 도데, 파리 상경
1859 Les Amoureuses. Rencontre de Frédéric Mistral à Paris.
1860 모르니 공작의 비서
1861 Daudet vit avec Marie Rieu, rue d’Amsterdam. Il tombe gravement malade et part pour le Midi.
1862 코르시카 여행
1865 Alphonse Daudet écrit les Lettres de mon moulin à Clamart, où il réside avec son ami Paul Arène.
1866 방앗간 편지 12편이 레배느망에 실림
1867 쥘리아 알라르와 결혼
1868 소소한 이야기. Premier séjour à Champrosay, hameau de Draveil
1869 방앗간 편지 출간
1871 4월 25일 : alors que la Commune est proclamée, Daudet quitte Paris pour Champrosay.
1872 아를의 여인, 타라스콩의 타르타랭
1873 Contes du lundi.
1874 Les femmes d’artistes.
1876 Jack.
1879 Il est atteint d’une maladie incurable de la moelle épinière.
1882 알퐁스 도데의 모친 사망

1887 Achat de la maison de Champrosay, où il recevra de nombreux hommes de lettres. Son ami Edmond de Goncourt y mourra en
1896 en France.
1891 Mariage de Léon Daudet, fils aîné d’Alphonse Daudet et un des futurs meneurs de l’Action française, avec Jeanne Hugo, la petite-fille de Victor Hugo.
1895 아들 부부 레옹과 잔 도데의 이혼. 도데 가족은 마르셀 프루스트와 친분을 맺음. 소교구 출간.
1896 Mort de Paul Arène, ami de Daudet, âgé de 53 ans. Publication de La Fédor.
1897 Publication du Trésor d’Arlatan.
Dernier déménagement des Daudet, rue de l’Université. En automne, l’affaire Dreyfus éclate. Daudet affiche ses convictions antidreyfusardes. 12월 16일 : Daudet meurt brusquement en son domicile parisien (41, rue de l’Université). Il avait 57 ans. Après des obsèques religieuses à Sainte-Clotilde, Émile Zola, au Père-Lachaise, prononce le discours d’usage. Les funérailles nationales, demandées par Georges Clemenceau, sont refusées.
○ 인용문
‘그러다 세 시쯤 하늘이 맑게 개고 산이 물기와 햇빛으로 환하게 반짝일 무렵, 나뭇잎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와 강이 불어 넘쳐흐르는 소리 사이로 부활절 종소리만큼이나 맑고 경쾌한 노새의 방울 소리가 들려 왔습니다.’
‘아가씨가 비탈진 산길로 사라졌을 때 노새의 발굽에 차여 뒹구는 자갈돌 하나하나가 내 심장 위로 떨어져 내리는 것 같았습니다. 그 소리는 오래도록 내 귓가에 맴돌았습니다. 나는 꿈이 깨져버릴까 봐 해가 질 때까지 몽롱한 상태 그대로 꼼짝 않고 앉아 있었습니다.’
‘우리 주위의 수많은 별들은 유순한 양떼처럼 소리 없는 운행을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그 별들 가운데에서 가장 아름답고 빛나는 별 하나가 길을 잃고 내려와 내 어깨에 머리를 기댄 채 잠들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_ <별> 중에서

○ 작품들
1857년 파리에서 시집 『사랑하는 여자』로 문단에 데뷔하였다. 1866년에 발표한 걸작 단편집 『풍차방앗간 편지』는 고향 프로방스 지방의 인물과 풍토를 추억하며 쓴 작품이며, 「프티 쇼즈」 또한 자전적인 이야기를 쓴 것이다. 그 후에 발표한 「쾌활한 타르타랭」은 「알프스의 타르타랭」과 「타라스콩 항구」등과 함께 3부작을 이룬다. 그는 자연주의 사실주의 작가로 불리기도 하나, 어느 유파에도 속하지 않는 독자적 경지를 이룩하였다. 그의 작품은 재치 있고 가벼운 아이러니와 인생에 대한 온정적인 공감과 유연한 감수성을 풍긴다.
그의 회상록 『어느 문필가의 회상』은 당시의 문단을 알 수 있는 귀중한 문헌이다.
주요 작품으로 「월요 이야기」, 「젊은 프로몽과 형 리슬레스」, 「자크」, 「나바브」, 「파리 30년」, 「누마 루메스탕」, 「전도사」, 「사포」, 「아를의 여인」등이 있다.
– Works
Major works, and works in English translation (date given of first translation).
Les Amoureuses (1858; poems, first published work).
Le Petit Chose (1868; English: Little Good-For-Nothing, 1885; or Little What’s-His-Name, 1898).
Lettres de Mon Moulin (1869; English: Letters from my Mill, 1880, short stories).
Tartarin de Tarascon (1872; English: Tartarin of Tarascon, 1896).
L’Arlésienne (1872; novella originally part of Lettres de Mon Moulin made into a play)
Contes du Lundi (1873; English: The Monday Tales, 1900; short stories).
Les Femmes d’Artistes (1874; English: Artists’ Wives, 1896).
Robert Helmont (1874; English: Robert Helmont: the Diary of a Recluse, 1896).
Fromont jeune et Risler aîné (1874; English: Fromont Junior and Risler Senior, 1894).
Jack (1876; English: Jack, 1897).
Le Nabab (1877; English: The Nabob, 1878).
Les Rois en Exil (1879; English: Kings in Exile, 1896).
Numa Roumestan (1880; English: Numa Roumestan: or, Joy Abroad and Grief at Home, 1884).
L’Evangéliste (1883; English: The Evangelist, 1883).
Sapho (1884; English: Sappho, 1886).
Tartarin sur les Alpes (1885; English: Tartarin on the Alps, 1891).
La Belle Nivernaise (1886; English: La Belle Nivernaise, 1892, juvenile).
L’Immortel (1888; English: One of the Forty, 1888).
Port-Tarascon (1890; English: Port Tarascon, 1890).
Rose and Ninette (1892; English: Rose and Ninette, 1892).
Batisto Bonnet (1894), Un paysan du Midi. Vie d’enfant (in French), translated by Alphonse Daudet, Paris: E. Dentu, p. 503
La Doulou (1930; English: In The Land of Pain, 2003; translator: Julian Barnes).
The Last Lesson (Excerpt from Contes du Lundi)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