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0년 5월 6일,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우표 페니 블랙 (Penny Black) 유통 시작
페니 블랙 (Penny Black)은 1840년에 영국에서 발행된 세계 최초 우표의 통칭이다. 바스의 퍼킨스 베이컨 (Perkins, Bacon & Co)에서 인쇄, 1840년 5월 1일에 영국 우정에서 발행되어 같은 달 6일부터 사용이 시작되었다. 덧붙여서 동시에 발행된 2 펜스 우표는 파란색이기 때문에 2 펜스 블루라고 한다.

– 페니 블랙 (Penny Black)
.세계 최초 우표의 통칭
.첫 인쇄: 1840년 5월 1일
.첫 유통: 1840년 5월 6일
.인쇄소: 퍼킨스 베이컨 (Perkins, Bacon & Co)
인쇄 색상은 검은색으로, 도안에는 빅토리아 여왕의 옆모습이 인쇄되어 있다. 이 초상은 윌리엄 와이언 (William Wyon)이 여왕의 시청 방문 기념으로 만든 메달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또한, 이듬해 1 페니 우표는 적갈색 (페니 레드)으로 변경되었다.
색상이 변경된 이유는 검은색 잉크가 화학 변화에 강하기 때문에 소인을 제거하고 재사용하는 등 횡행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있다.
페니 블랙 버전은 제 1판에서 제 11판까지 또 1판에는 두 종류가 있으며, 총 12개의 버전이 존재한다.
페니 블랙은 현재에도 상당수가 존재하고 있지만, 수집가의 인기는 높아 상당히 고액의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고 있다.
○ 우표의 역사
근대사에 걸쳐 우편 요금을 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쓰였다.
1680년에 런던에서 활동하던 잉글랜드 상인 윌리엄 도크라와 그의 동업자였던 로버트 머리는 1 페니를 받고 런던 시내에서 편지와 소화물들을 배달해주는 런던 페니 포스트를 세웠다. 요금을 냈다는 것은 우편물에 도장을 찍어 나타냈다.
1835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슬로베니아인 관료 로브렌츠 코시르는 ‘우편 세금 표’를 붙이는 것을 제안했고 관료들도 상세히 고려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 세계 최초의 우표인 페니 블랙
1836년에 영국의 국회의원 로버트 월러스는 롤런드 힐에게 우편 제도와 관련된 다양한 책과 문서들을 주었다. 롤런드 힐은 연구 끝에 1837년 1월 4일 영국의 재무장관 토머스 스프링 라이스에게 「우편 개혁: 그 중요성과 실행 가능성」이라는 소책자를 냈다.토머스 스프링 라이스는 롤런드 힐을 불러들여 개정판에 실릴 개선할 것과 바뀌어야 할 것을 제안했고, 롤런드 힐은 1837년 1월 28일에 개정판을 정식으로 제출했다. 1837년 2월 13일 롤런드 힐은 우체국 심리 위원회에 증인으로 참석해 ‘도장을 찍을 수 있을 만큼의 작은 종이와 그 뒷면에 얇은 접착제 막을 입혀서’ 우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것은 오늘날의 접착식 우표를 최초로 분명하게 표현한 묘사가 됐다. 곧이어 토머스 스프링 라이스에게 제출한 것과 우체국 심리 위원회에 증인으로 참석해 언급한 것을 포함한 롤런드 힐의 소책자 증보판이 대중들에게 공개됐다. 우표를 발행하고 무게에 따라 우편 요금을 내는 롤런드 힐의 발상은 곧 자리를 잡았고, 1840년 5월 1일에 우편 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세계 최초의 우표인 페니 블랙 우표가 발행됐다. 우편 요금은 받는 사람이 아닌 보낸 사람이 내도록 했지만 여전히 먼저 내지 않고 보낼 수도 있었다. 페니 블랙으로는 반 온스보다 가벼운 편지를 영국 어디로든 보낼 수 있었다. 페니 블랙과 5월 8일부터 발행된 2 펜스 블루 우표는 모두 빅토리아를 도안으로 했으며, 가위로 잘라서 썼기 때문에 천공이 없었다. 또한 최초의 우표는 발행한 나라의 이름을 나타낼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우표에는 발행한 나라의 이름이 적히지 않았고, 영국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우표에 발행국 이름을 적지 않고 영국의 군주를 도안으로 쓰고 있다.
- 영국에 이어 다른 나라들의 우표 발행
영국에 뒤이어 다른 나라들도 우표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스위스의 취리히주는 1843년 3월 1일에 4, 6 라펜 우표를 발행했다. 브라질은 1843년 8월 1일에 우표를 발행했는데, 페드루 2세의 얼굴 대신 추상적인 무늬를 도안으로 써서 소인이 페드루 2세의 얼굴에 찍히지 않게 했다. 1854년에는 최초로 천공이 있는 우표가 발행됐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