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1년 9월 8일, 체코의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작 / 안토닌 레오폴트 드보르자크 (Antonín Leopold Dvořák, 1841 ~ 1904) 출생
안토닌 레오폴트 드보르자크 (체: Antonín Leopold Dvořák, 1841년 9월 8일 ~ 1904년 5월 1일)은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한 체코의 작곡가로, 관현악과 실내악에서 모국의 보헤미안적인 민속 음악적 작품성 풍색과 선율을 표현하였다.

– 안토닌 레오폴트 드보르자크 (Antonín Leopold Dvořák)
.출생: 1841년 9월 8일, 보헤미아 왕국 넬라호제베스
.사망: 1904년 5월 1일 (62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라하
.국적: 보헤미아 왕국
.직업: 작곡가
.배우자: 안나 세르마코바(Anna Čermáková)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에 의하여 확립된 체코 민족주의 음악을 세계적으로 만든 음악가이다.
스메타나와 함께 체코를 대표하는 클래식 작곡가로 손꼽히는 인물로, 소위 ‘국민악파’ 라고 불리는 19세기 중후반 민족주의 악파의 거두이기도 하다.

○ 생애 및 활동
드보르작은 오스트리아 제국 프라하 (현재는 체코 공화국) 근처 넬라호제베스에서 태어나서, 생애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드보르작은 즈로니체에 있는 외삼촌과 리마 선생이 부친을 설득한 보람으로 1857년 16세에 프라하의 오르간학교에 입학하여 정식으로 음악가가 되는 길을 걷게 되었다. 프라하에서는 오르간 학교에서의 교육보다도 학우이며 훗날의 지휘자 칼레르 벤달과 친교를 맺고, 재학 중부터 오케스트라에 가담하여 바이올린을 켜서 수확을 올렸다. 특히 그 오케스트라가 당시 명성을 얻고 있던 바그너를 영입하고 있던 관계도 있어 드보르작은 퍽 오래도록 바그너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드보르작은 바그너식의 오페라나 음악극의 체코판을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라 바그너의 멜로디나, 특히 화성의 특징을 자기 나름대로 소화하여 받아들였다. 드보르작은 꽤 노력형이어서 학생시절부터 친척집에 기숙하면서 침식을 잊고 공부하였다.
졸업 후에는 프라하의 일류 호텔이나 레스토랑에 출연하고 있던 갈레루 코므자크 악단에 가담하여 비올라를 켜게 되었으나 1862년에 체코인을 위한 국민극장이 건설될 때까지의 임시극장이 개관되어 악단과 더불어 이 극장 전속 오케스트라의 핵심이 되어 약 10년간 근속하였다. 1866년부터 스메타나가 이 극장의 오페라 감독에 취임, 자작의 오페라 등을 지휘하게 되었으므로 바그너, 슈베르트나 베토벤의 영향과 함께 스메타나의 민족주의적인 음악사상이 그의 작품을 채색하게 되었다. 드보르작은 오케스트라 동료들로부터 작곡 같은 것을 해서 무엇하느냐고 핀잔을 받았으나 묵묵히 작곡을 하였으며 특히 1861년 (20세 때)부터 실내악의 대곡 (작품 1의 현악 5중주곡)을, 또 1865년부터 교향곡(제1과 제2를 이해에)을 작곡한 것은 당시의 슬라브계의 민족음악의 작곡가들이 스메타나를 비롯하여 대체로 이와 같은 순음악보다도 표제 음악이나 오페라에 끌려 있던 것과 대조적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드보르작의 이러한 순음악에 대한 열정은 죽기 약 9년 전인 1895년까지 계속된다. 후기 낭만적 음악의 화성조직이나 색채적인 오케스트라의 사용법이라든가 그러한 개개의 기법에 이끌렸어도 고전적인 음악형식을 저버리려고 하는 그 무렵의 작곡계의 일반적인 경향에는 반대였고 새로운 고전주의를 목표로 한 점에서 독일의 대작곡가 브람스의 생각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어 사실 브람스에게는 매우 총애를 받아 드보르작의 작품이 1877년 이후 베를린의 지므로크 음악출판사를 통해 출판되었고, 체코 이외의 나라에서 연주하게 된 것도 브람스의 소개로 된 것이었다.
브람스를 비롯하여 지휘자이며 피아니스트인 한스 폰 뷜로, 지휘자인 한스 리히터, 당시 빈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한 평론가 한슬리크 등 독일,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음악인 지위를 얻게 된 것도 드보르작의 명성과 작품을 세계적으로 만드는 데 큰 힘이 되었다. 독일, 오스트리아뿐만 아니라 1884년 말 영국에도 9번 방문하여 영국을 위해 <유령의 신부> 및 <교향곡 제7번 D단조>를 쓰고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드보르작은 국제인으로서 사는 것을 바라지 않고 끝까지 체코인으로 살아갔다. 빈으로 이주하도록 재삼 권유된 것을 거절한 것도 그의 신념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빈 정부에 대해 독립투쟁을 밀고 있던 동포들을 버리고 자신만 빈에서 안일하게 생활을 한다는 것은 생각도 하지 않았다.
1890년부터 프라하 음악원에서 작곡과 그 밖의 것을 가르치고 있었으나, 1892년의 51세 때 뉴욕의 국민음악원의 원장으로 초빙되었다.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 현악 4중주곡 <아메리카> 등 오늘날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드보르작의 작품이 미국에 머무르는 동안에 작곡되었다. 그러나 1894년의 여름 휴가로 귀국 (이 때 피아노 독주곡, 8개의 <유모레스크>를 작곡했다. 그 중에서 7번째 곡이 바이올린으로 편곡되어 유명해지자 다시 미국으로 가기가 싫어졌지만 일단 돌아가서 결국 다음해 봄 많은 사람들이 좀 더 오래도록 미국에 머물러 있을 것을 바라는데도 불구하고 계약을 중도파기하고 귀국했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에는 슬라브풍의 음악에 흑인과 인디언의 멜로디를 조화하며 작곡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귀국 후 만년의 약 10년간은 일반 민족주의 음악의 작곡가와 같이 오페라와 교향시에 주력하여 <루살카> (1901 초연)와 같은 귀여운 오페라도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창작력이 그 정상에 달한 것은 이 이전, 특히 도미 직전인 수년간으로 추측된다. 피아노 3중주곡 <도무키> (1890-1891)가 그 좋은 한 예이듯이 종래의 독일류의 음악형식에 구속되지 않은, 슬라브인의 변화와 대조를 좋아하는 민족성에 한층 잘 맞는 새로운 형식적 질서를 낳은 것도 그 무렵이었다. 1901년엔 빈의 종신 상원의원으로 귀족이 되었고, 같은 해 프라하 음악원의 원장이 되기도 한, 독립 전의 체코의 문화인으로서는 최고의 영예를 받은 뒤 1904년 뇌일혈로 사망, 국장으로 모셔졌다.
드보르작은 이른바 귀재형의 음악가는 아니며 굳이 말하자면 평범 속에 위대성이 있는 사람이라는 평이 있다.
– 일화
철도광이었던 그는 딸의 연인이었던 요제프 수크 (드보르작의 제자로, 후에 프라하 음악원 원장. 바이올린니스트인 수크는 그의 손자)에게, 새로운 기관차의 제조 번호를 조사해 오도록 부탁하였지만, 기관차에 익숙하지 않은 수크는 잘못된 번호를 보고하였다. 드보르작은 진지하게 화내, 딸에게 “너는 이런 멍청이와 정말로 결혼할 생각이냐?”라고, 진심으로 결혼을 반대하였다.

○ 작품
- 교향곡
교향곡 1번 다단조 ‘즐로니체의 종’(1865)
교향곡 2번 내림 나장조(1865)
교향곡 3번 내림 마장조(1873)
교향곡 4번 라단조(1874)
교향곡 5번 바장조(1875)
교향곡 6번 라장조(1880)
교향곡 7번 라단조(1885)
교향곡 8번 사장조(1889)
교향곡 9번 마단조 ‘신세계로부터 (From The New World)’ (1893)
- 관현악곡
.교향시
교향시 가단조(1874)
물의 정령(1896)
한낮의 마녀(1986)
황금 물레(1986)
들비둘기(1986)
영웅의 노래(1897)
.서곡
비극적 서곡 내림 나단조(1870)
나의 집 서곡 다장조(1882)
후스교도 서곡 다단조(1882)
사육제 서곡 가장조(1891)
오셀로 서곡 올림 바단조(1892)
.그 밖의 관현악곡
교향 변주곡 다장조(1877)
3개의 슬라브 광시곡(1878)
체코 모음곡 라장조(1879)
스케르초 카프리치오소 내림 라장조(1883)
- 관악·현악 합주곡
현악 세레나데 마장조(1875)
관악 세레나데(1878)
-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사단조(1876)
바이올린 협주곡 가단조(1879, 1880년 1차 개정, 1882년 2차 개정)
첼로 협주곡 가단조(1865)
첼로 협주곡 나단조(1894~5)

- 실내악
.현악 4중주
1번 가장조(1862)
2번 내림 나장조(1869)
3번 라장조(1869~70)
4번 마단조(1870)
5번 바단조(1873)
6번 가단조(1873)
7번 가단조(1874)
8번 마장조(1876)
9번 라단조(1877)
10번 내림 마장조 ‘슬라브’(1878~9)
11번 다장조(1881)
12번 바장조 ‘아메리칸’ (1893)
13번 사장조(1895)
14번 내림 가장조(1895)
.피아노 3중주
1번 내림 나장조(1875)
2번 사단조(1876)
3번 바단조(1883)
4번 마단조 ‘둠키’(1890~1)
.현악 5중주
1번 가단조(1861)
2번 사장조(1875)
3번 내림 마장조 ‘아메리칸’(1893)
.피아노 4중주
1번 라장조(1875)
2번 내림 마장조(1889)
.바이올린과 피아노
로망스 바장조(1873~7)
카프리치오(1878)
소나타 바장조(1880)
발라드 라단조(1884)
낭만적 소품(1887)
소나티나 사장조(1893)
.첼로와 피아노
폴로네즈 가장조(1879)
론도 사단조(1891)
.그 외
현악 6중주 가장조 Op.48(1878)
바가텔 Op.47(바이올린2, 첼로, 하모니움)(1878)
현악 3중주 다장조(2대의 바이올린&비올라, 1887)
팡파르 B.167(트럼펫4, 팀파니)(1891)
- 피아노
드보르작의 유머레스크
슬라브 춤곡 제1집(1878)
6개의 소품(1880)
10개의 전설(1881)
보헤미아의 숲에서(6개의 소품, 1883)
유머레스크 올림 바장조(1884)
슬라브 춤곡 제2집(1886)
짧은 소품 내림 마장조 B.158(1888)
8개의 유머레스크(1894)

- 가곡
사이프러스(18개의 가곡, 1865)
모라바 이중창 제1집(5개의 가곡, 1876)
모라바 이중창 제2집(9개의 가곡, 1876)
저녁 노래(1876)
모라바 이중창 (제3집)(4개의 가곡, 1877)
아베마리아(1877)
집시의 노래(7개의 가곡, 독일어, 1880)
2개의 체코의 시(1885)
성서의 노래(10개의 가곡, 1894)
- 합창
스타바트 마테르(1876~7)
성 루드밀라(오라토리오, 1885~6)
체코 농민의 송가(1885)
미사 라장조(1887)
레퀴엠 내림 마단조(1890)
테 데움(1892)
- 오페라
알프레드(1870)
고집스러운 정부(情婦)(1874)
반다(Vanda)(1875)
영리한 농민(1877)
디미트리(1881~2)
왕과 숯쟁이(1887, 최종)
야코빈(1888)
루살카(1900)
아르밀다(1903)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